• 최종편집 2024-03-28(목)
 
우리 대중음악계에서 퓨전 국악의 존재감은 미미하기만 하다. 음악팬들로 하여금 국악을 쉽게 느끼게 하기 위해 대중음악과 결합을 감행했음에도 대부분이 청취자의 이목을 끌지 못하는 편이다.

주류 시장에는 달콤하고 흥겨운 노래들이 즐비하니 그에 비해 덜 감각적인 국악에 눈길이 오지 않는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게다가 국악이 대중에게 노출되는 일도 무척 드물어서 애초에 흥미를 갖기가 어렵다. 우리 것을 바탕에 두고 만들었지만 우리 땅에서 제대로 된 대접을 받지 못하는 현실이 눈물겨울 따름이다.

1993년 ‘태평소 능게’를 삽입한 서태지와 아이들의 ‘하여가’가 큰 인기를 끈 뒤로 국악과 퓨전을 행하는 사례가 늘긴 했다. 넥스트의 ‘코메리칸 블루스’(Komerican Blues)를 비롯해 원타임의 ‘쾌지나 칭칭’, 지누션의 ‘에이요’(A-Yo), 원썬의 ‘어부사(魚夫詞)’, 싸이의 ‘위 아 더 원’(We Are the One), 팝핀현준과 하주연의 ‘이어도사나’ 등 민요를 덧대거나 전통악기를 입힌 노래들이 간간이 나왔다.

아쉽게도 이들 작품이 모두 ‘하여가’에 버금가는 사랑을 받은 것은 아니다. 때문에 국악 퓨전이 트렌드로 부상하는 데에는 힘을 불어넣지 못했다. 몇몇 노래는 상업적으로 성공하긴 했으나 그 배경은 국악과 조합해 이룬 참신함보다는 해당 뮤지션이 축적한 인기 덕분이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퓨전 국악을 전문으로 하는 다수의 밴드가 까다롭지 않은 음악을 들려주는 데에 몰두했다. 팝이나 가요 히트곡을 리메이크하는 일이 다반사였다. 창작곡도 왈츠, 보사노바처럼 가볍게 느껴지는 장르와 혼합하는 경우가 흔했다. 얼마 안 되는 퓨전 국악의 영토는 익숙함과 편안함으로 물들었다. 어떻게든 음악팬들의 관심을 받기 위한 몸부림의 산물이다.

순함을 우선에 두는 경향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지만 최근 몇 년 사이 그와 성격과 분위기가 조금 다른 퓨전국악이 속속 나와 눈길을 끈다. 독창성과 탄탄한 작품성으로 2013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한국대중음악상을 수상한 잠비나이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지난 6월 출시한 2집 <어 에르미따쥬 (은서;隱棲)>(A Hermitage>에서 전과 다름없이 음습하고 오묘한 음악을 선사한다. 사이키델릭의 혼란스러운 정서를 기본으로 헤비메탈, 포스트 록, 때로는 힙합을 안으며 괄괄한 기운을 전달한다
 
 http://goo.gl/uVA7OT      <--   해당 기사 더보기  




▲ 퓨전국악 그룹 타니모션, 누모리, 잠비나이의 앨범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문화내시경] 눈에 띄는 퓨전국악 그룹 - 대중음악평론가 '한동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