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5-31(수)

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국악정보 검색결과

  • [KBS 국악한마당 방송안내] 12월 17일 (土) 오후 12시 10분 (박솔지,신정혜,정지수,이성현,흥청,정신혜,한나예,방영기,고금성 등 출연)
    ♛ 제20회 대한민국 어린이 국악큰잔치 대상 ● <최종실류 소고춤>박솔지♛ 제22회 공주 박동진판소리 명창‧명고대회 판소리 명창부 대상● 판소리<심청가 中 곽씨 부인 유언 대목>신정혜, 고수/ 고정훈♛ 제16회 온나라전통춤경연대회 최우수상● 정재<춘앵전>정지수♛ 제32회 KBS국악대경연 대상● 판소리<춘향가 中 박석고개 넘는 대목>이성현, 고수/ 추지훈♛ 제32회 KBS국악대경연 단체부문 금상● 오채림‧김연희 작사 오채림 작곡창작 판소리를 위한 <제례>흥청♛ 2022 KBS국악대상 무용상● 이정호 작곡 정신혜 안무<무화(舞和)>정신혜❏ 작고 명인 추모- 진주삼천포농악 박염 명인- 제주칠머리당영등굿 김윤수 명인- 선소리산타령 최창남 황용주 명창● 선소리산타령<앞산타령, 자진산타령>방영기, 고금성, 김보연, 윤현숙, 안재현, 김주현, 노우경, 김아령★ 꿈나무한마당● 판소리<수궁가 中 고고천변>한나예 (서울구룡초 6학년), 고수/ 고정훈♛ 2022 Permission to Enjoy K-Tradition 온라인 페스티벌● Black Mood 절정; 絶頂그림(The 林)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22-12-14
  • 한해를 빛낸 수상자를 만나는 '2022 KBS국악대상' - 지민아,이은혜,김율희,이호진,이지혜 등 10명 수상자 선정 (대상은 한국무용가 정신혜)
    “한해 국악계를 돌아보는 KBS국악대상” 2022년 한 해 동안, 공연 및 방송 등의 활동을 통해 국악발전에 이바지한 국악인을 시상하는 KBS국악대상에서 올해를 빛낸 10명의 수상자를 선정해 발표했다.1982년부터 시작해 4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KBS국악대상은 지난 9월부터 해당 분야의 음악가, 공연기획자, 국악 관련 방송인, 음악평론가, 교수 등의 전문가로 구성된 소위원의 두 차례 회의와 본심사위원의 엄정한 최종 심사 과정을 거쳐가악, 민요, 판소리, 연주 관악, 연주 현악, 작곡, 무용, 단체, 출판 및 미디어, 특별공로상까지 총 10개 부문의 수상자를 선정했다.<가악상> 전통과 창작을 넘나드는 활동으로 정가의 매력을 널리 알린 가객 지민아 (모던가곡 동인·국가무형문화재 가곡 이수자)<민요상> 경기민요를 기반으로 만요, 음악극으로 영역을 확장한 소리꾼 이은혜 (국립부산국악원 성악단원·국가무형문화재 경기민요 이수자)<판소리상> 탄탄한 전통과 참신한 창작으로 방송과 무대를 오간 소리꾼 김율희 (우리소리 바라지 동인·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이수자)<연주 관악상> 우직한 학습과 연주 실력으로 민속악을 대표하는 피리연주자 이호진 (국립국악원 민속악단원)<연주 현악상> 뛰어난 기량과 섬세한 해석으로 가야금을 전해온 연주자 이지혜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수석)<작곡상> 묵직한 고민과 철학으로 국악관현악의 품격을 높인 작곡가 이정호 (부산대학교 한국음악학과 교수·작곡가)<무용상> 대중과 예술을 아우르는 연출·안무로 영남춤의 지평을 넓힌 무용가 정신혜 (국립부산국악원 무용단 예술감독) - 대상<단체상> 전통예술을 뿌리로 국악 창작극의 영역을 넓히며 도전해 온 단체 타루 (2001년 창단)<출판 및 미디어상> 다양한 국악 관련 콘텐츠 개발 및 기획과 제작, 유통 영역을 아우르며 전통문화 활성화에 힘쓴 기획사 ㈜예술숲 (2016년 설립)<특별공로상> 품격있는 소리로 국악을 국내외로 널리 알려온 예인. 국악의 예술성과 가치를 지켜온 대한민국 대표 명창(國唱) 안숙선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춘향가) 보유자)올해 주인공인 가악상의 지민아 씨, 민요상의 이은혜 씨, 판소리상의 김율희 씨, 연주 관악상의 이호진 씨, 연주 현악의 이지혜 씨, 작곡상의 이정호 씨, 무용상과 전체 대상의 정신혜 씨, 단체상의 타루, 출판 및 미디어상의 (주)예술숲은 코로나 19의 여파로 문화예술계가 정체되어있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국악계를 이끌어왔다.“2022년 국악계를 모두 담은 성대한 축제 한마당”12월 10일(토) 오후 7시, KBS홀에서 열리는 <2022 KBS국악대상>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인기 소리꾼 박애리와 끼 넘치는 판소리 듀오 <바투> (김봉영 이상화)가 진행을 맡았다. 이 시간을 통해 올해 부문별 수상자들의 무대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시간뿐 아니라 연희와 스카의 만남으로 유쾌한 신명을 선사하는 <유희스카>와 의 성대한 축하 무대가 펼쳐지며, 현장에서 영예의 <대상> 수상자가 발표된다.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22-12-03
  • 설 연휴는 송가인과 함께…2월 1일 KBS 2TV '조선팝어게인 송가인'
    KBS는 다가오는 설 연휴 가수 송가인의 무대를 담은 '조선팝어게인 송가인'을 방송한다고 1월 8일 밝혔다. 방송에서는 송가인이 창극, 판소리 등 국악뿐 아니라 '리사이틀 쇼'를 통한 트로트까지 다양한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 송가인 프로필 어머니 송순단 명창과 진도씻김굿을 부르는 모습을 방송에서 처음 공개하며 스승인 박금희 (박방금) 명창, '국민 소리꾼' 남상일 명창, '2021KBS국악대상' 대상에 빛나는 김준수 씨와도 무대를 꾸민다. 이외에도 동갑내기 소리꾼들과 남도민요와 창극을 노래하고 KBS국악관현악단, 세종 채향순 전통예술단, 국악밴드 억스 (AUX) 등 다양한 이들과 협업할 예정이다. 공개 방청은 1월 10일 오후 6시까지 ☆ 클릭 ▶ '조선팝어게인 송가인' 공식 홈페이지 에서 신청할 수 있다. 방송은 2월 1일 KBS 2TV에서 방송될 예정이다. ▶ 해당기사 원문보기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22-01-09
  • [祝] 2021 KBS국악대상 대상에 국립창극단 소리꾼 '김준수'…역대 최연소 수상
    올해 KBS국악대상 대상 수상자로 국립창극단 단원인 소리꾼 김준수(30)가 선정됐다. 1982년부터 시작된 KBS국악대상의 역대 최연소 수상자다. ▶ 김준수 프로필 중앙대학교 음악극과를 졸업한 김준수는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수궁가 이수자로, 동아국악콩쿠르 일반부 판소리 금상 및 국립국악원 온나라 전국국악경연대회 일반부 금상을 수상했다. 국립창극단 단원으로 활동하며 창극 ‘흥보展’ 속 흥보, ‘트로이의 여인들’ 헬레네, ‘춘향’의 몽룡, ‘배비장전’ 배비장, ‘패왕별희’ 우희 등을 노래하며 우리 소리의 다채로운 멋을 알렸다. 또 유태평양과 함께 수궁가를 보다 젊고 참신하게 소개한 ‘절창’에서 판소리 기량을 선보였고 방송과 뮤지컬 무대 등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며 국악의 대중화에 힘썼다는 호평을 받았다. 최근 종영한 JTBC ‘풍류대장’에서도 준우승을 차지했다. 김준수는 “올해 초 어머니가 암 판정을 받으면서 활동을 중단하고 어머니를 보필하려고 했는데 어머니께서 활동을 이어가라고 하셨다”면서 “어머니 덕분에 올 한 해 열심히 달려오다 보니 상을 받게 된 것 같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앞으로 다양한 활동들을 하면서 우리 소리를 많은 분들께 알리고 올곧게 제 뿌리를 지켜나갈 수 있는 소리꾼이되도록 정진하고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올해 KBS국악대상에서는 또 가악상에 박진희 국립국악원 정악단원, 민요상은 김무빈 국가무형문화재 서도소리 이수자, 연주관악상은 김선호 이음회 대표, 연주현악상에 박순아 서울대학교 국악과 강사가 이름을 올렸다. 작곡상은 함현상 작곡가, 무용상은 장현수 국립무용단 부수석, 단체상은 판소리공장 바닥소리, 출판 및 미디어상은 나우판코리아가 수상했고 특별공로상은 국악계 1세대 작곡가인 고 정철호에게 돌아갔다. ▶ 해당기사 원문보기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2021-12-27
  • [신간안내] 한국전통무용 에세이 '우리춤 특유의 매력을 알기 쉽게 설명한 해설서' - 우리춤 클리셰 (저자 박성호)
    도서출판 우리에뜰 우리춤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그것도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갖고 있는 전통춤이라면 아마도 온라인 검색창에 검색부터 해볼지 모르겠다. 국내 포털의 검색 결과는 대동소이하다. 백과사전의 딱딱한 정의부터 시작하여, 공연 소식 그리고 그 춤을 봤다는 블로그의 글들과 관련 동영상이 전부이다. 세상에 춤을 본 사람들의 이야기는 많지만, 정작 춤을 추는 사람의 이야기는 찾아보기 힘들다.<우리춤 클리셰>는 30년 가깝게 무용수, 안무가, 교육자로 살아온 저자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담백하게 우리춤을 이야기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저자가 말하고 싶은 춤은 어렵거나 무거운 대상이 아닌 삶을 가볍게 하고 윤이 나게 하는 행위이다. 아울러 우리춤 특유의 매력을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길잡이 역할도 하고 있으며, 책 말미에는 평생을 춤추며 살아온 여섯 명의 춤꾼을 직접 인터뷰한 내용까지 수록하고 있다. 춤에 대한 이야기가 빈곤한 현실에서 이 책은 지금까지 춤을 모르고 살았던 이들에게 춤을 즐길 수 있는 안목을 줄 것이고, 이미 춤을 추고 있는 사람에게는 자신의 춤에 대한 이해와 함께 더 나은 춤을 출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지은이 소개박성호 30년 가깝게 무용수, 안무가, 교육자로 일하고 있다. 국가무형문화재 제29호 <승무>, 제97호 <살풀이춤> 이수자이고 ‘전통예술Lab HO’ 대표다. ‘KBS국악경연대회’ 무용부 장원, ‘KBS국악대상’ 무용상을 수상했다. 국립국악원 주역무용수로 활동하며 ‘무용가 박성호’의 이름으로 출연, 안무, 연출 부분에서 다양한 국내외 활동을 한다. 책속에서 어느 날 거울에 비친 생명력 잃은 웃음을 보고는 맥빠졌던 경험이 있습니다. 내가 지금 뭘 하고 있나, 하고 말이지요. 이를 누구의 탓으로 돌릴 수는 없습니다. 그저 각성 없이 쳇바퀴 돌리기를 반복했기에 치러야 할 대가로 받아들일 뿐입니다. 귀중한 나의 시간은, 매분 매초 새롭게 보거나 비판을 통해 거듭나도록 수고를 아끼지 않아야 합니다. 만약 이를 외면한다면 일상은 클리셰에 점령당하고 맙니다. 그래서 매일, 바쁘지만 동시에 심심하기 이를 데 없는, 불균형한 일과만을 꾸역꾸역 재생산하고 맙니다. 하지만 우리는 새로움으로 가득한 일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마음만 먹는다면 말이지요. 나는 매일 반복되는 우리춤을 통해 클리셰의 역설을 배웁니다. 우리춤은 같은 것이라도 항상 새롭게 보고 생각하고 비판하고 수정하며 ‘살아가는 순간’을 지속하라고 말합니다. 이런 춤의 마음, 여럿과 나누고 싶은 간절함을 글에 담았습니다. 이 글에는 평범하면서 한편으로 독특하기도 할, 춤을 통해 사는 일상이 담겨 있습니다. 그리고 일상에 담긴 춤에 나름의 비기(技)를 알알이 박아 소개했습니다. 사실, 세상사에 비기가 어디 있겠습니까. 그저, 평소 ‘이것이 내 춤을 만든다’ 자평할 만한, 나 스스로를 옥죄이기도 불편하게도 하는, 조금은 독특하고 예민한 생각과 생활을 글에 담고자 했습니다. 춤계의 미래를 향한 거대한 시사점을 담은 글은 아니지만, 공감을 통해 새로움을 나눌 수 있으리라 기대합니다. 평소 춤에 애정을 가졌던 사람이나, 딱히 그렇진 않아도 낯선 것에 자신을 비춰보고자 하는 이가 이글을 봐주면 좋겠습니다. 이 글로 만나게 된 귀한 인연에게 동전 한 닢만큼이라도 도움이 되길 소망합니다. 스승들은 예술길이 마침표 없는 쉼표의 연속이라고 일렀습니다. 막상 긴 쉼표에 서니 그 말이 참인 줄 알겠습니다. 책상에 묵묵히 앉아있으니 오히려 힘이 생깁니다. 쉬는 자리에서 주춤거리지 않고, 내일을 다질 마음을 준 춤이 고맙습니다. 이런 춤의 마음, 당신과 함께하고 싶습니다.- <쉼표 위에 서서>에서 차례 쉼표 위에 서서 ... 7수다 1. 이런저런 이야기 ... 15괜찮아 ... 19추켜, 추어, 춰 ... 22장독대 ... 24비우기 ... 27거울아 거울아 ... 30흥연지유 ... 33악당 ... 36집 ... 40박쥐 갓 ... 44젊은 나무 ... 48바느질 ... 52분장과 쫑파티 ... 54앤디 그리고 현수와 지혜 ... 58편견 ... 62우리, 나 ... 65수다 2. 우리춤 설명서 ... 77아름다운 진짜 멋 ... 81준비하고 쏘세요 ... 83꾹 누르고 훅 놓고 ... 85들이쉬고 내쉬고 ... 88작은 것 ... 90멈추었지만 멈춘 게 아니다 ... 93끝은 시작으로 ... 97밑동과 뿌리 ... 99지구를 돌려라 ... 102들창 ... 105맥 ... 108귀환 ... 110 옷이 날개 ... 113물성 ... 116나의 전통 ... 118접속 ... 122음악 맞추기 ... 125청천하늘에 수심도 많다. ... 128일어나 ... 132마지막 잔치 ... 135훨훨 ... 139수다 3. 벌인 춤 ... 147전문예능인 춤으로 남은, 민속춤 ... 151미니멀의 극치, 정재 ... 175시대 고민, 춤 창작 ... 197수다 4. 우리도 그들처럼 ... 209늙은 소년의 물빛 시선 ... 211몸, 그 익숙한 낯설음을 향해 ... 225그녀의 스펙트럼 ... 237반짝이는 시선, 저 먼 시작점 ... 249천 길을 향한 미롱 ... 259드러난 미소로 읽히는 서린 춤결 ... 269 도서출판 우리에뜰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21-08-05
  • [祝] 한 해 국악계를 돌아보는 '2020 KBS 국악대상' - 대상은 소리꾼 '이봉근' 수상
    한 해 국악계를 돌아보는 '2020 KBS 국악대상'이 비공개로 치러졌다.2020년 한 해 동안 공연 및 방송 등의 활동을 통해 국악발전에 이바지한 국악인을 시상하는 '2020 KBS 국악대상'이 12월 10일 (목) KBS별관에서 진행됐다. 올해는 코로나19의 여파로 전염병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사회적 거리 두기를 준수하며 비공개로 치러졌다.1982년부터 시작해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KBS 국악대상은 지난 10월부터 해당 분야의 음악가, 국악 관련 방송인, 공연기획자, 음악평론가, 교수 등의 전문가로 구성된 소위원회의 두 차례 추천 과정과 본심사위원회의 엄정한 최종 심사과정을 거쳐 총 10개 부문의 수상자들을 선정했다. 이날 시상식에서는 부문별 수상자들의 인터뷰와 무대를 소개한 후 최종적으로 대상 수상자를 선정했다.'2020 KBS 국악대상' 대상의 주인공은 방송뿐 아니라 공연 및 영화에서 활약하며 주목받은 '판소리상' 부문 수상자 이봉근에게 돌아갔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음악과를 졸업한 소리꾼 이봉근 씨는 동아국악콩쿠르 일반부 판소리부문에서 금상을 받은바 있는 실력 있는 재원이다. 올해는 판소리 영화 '소리꾼'의 주연을 맡아 판소리의 매력을 관객들의 마음 깊이 각인시켰으며 코로나19로 인한 제약된 상황 속에서도 '이봉근과 적벽'팀으로 활동하며 온라인 콘서트 등을 통해 관객들과 소통했다. 그뿐만 아니라 이봉근은 KBS 2TV '불후의 명곡', '옥탑방의 문제아들' 등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해 판소리를 대중과 가깝게 만드는 데에 앞장서며 판소리 엔터테이너로 활약을 펼치기도 했다.이봉근은 대상 수상 후 "올해는 특히나 문화예술인들에게 어렵고 힘든 해였는데, 그분들의 노고와 열정을 대신해서 받는 상이라고 생각합니다."라는 뜻깊은 소감을 밝혔다. 또한, 이봉근은 2017년 작고한 스승 성창순 명창을 떠올리며 “사제간의 정을 넘어 따스한 정을 나눈 성창순 명창은 제가 스승 이상, 가족 같은 분이었습니다. 얼마 전 제 꿈에 나오셨는데, 제가 이 상을 받길 응원해주신 것 같습니다. 스승의 이름을 더 널리 알릴 수 있는 소리꾼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라고 말하며 눈시울을 붉혔다.마지막으로 올 한해 활발하게 활동한 수상자를 선정한 '2020 KBS 국악대상'은 수상자들의 무대를 정리하며 국악계의 1년을 담아냈다. 한편, '2020 KBS 국악대상' 수상자들은 12월 29일 (화) 오후 12시 55분부터 KBS 1TV에서 방송으로 만나볼 수 있다. (KBS미디어 박채원)'2020 KBS 국악대상' 부문별 수상자는 아래와 같다.△대 상 판소리상 - 이봉근(소리꾼 / 영화 '소리꾼' 주연)△ 가악상 - 안정아(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이수자)△ 민요상 - 성슬기(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이수자)△ 연주 관악상 - 김상연(전남대학교 국악학과 교수)△ 연주 현악상 - 박세연(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수석)△ 작곡상 - 김창환(작곡가/평창동계올림픽 개폐회식 음악 조감독)△ 무용상 - 장인숙(희원 무용단 대표)△ 단체상 - 이날치(2019년 창단한 7인의 단체)△ 출판 및 미디어상 - (주)레이블소설(2018년 설립)△ 특별공로상 - 정화영 (1943년生/서울시 무형문화재 제25호 판소리고법 보유자) ▶ 해당기사 원문보기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20-12-30
  • [謹弔] ‘국악 연구가’ 권오성 한양대 명예교수 별세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인 권오성 한양대 국악과 명예교수가 11월 3일 오전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79세. 고인은 서울대 국악과와 동 대학원 국악과를 졸업하고 KBS에서 프로듀서와 제작부장 등을 지냈다. 1982년부터 한양대 음악대학 국악과에서 조교수, 교수를 맡아 후학을 양성했다. 한국국악학회 이사장과 국제전통음악학회 한국본부장, 아·태 민족음악학회 회장, 세종문화회관 이사,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등으로도 활동했다. 국악 연구와 활발한 활동으로 1970년 옥조근조훈장을 비롯해 한국음악상, 한국방송공사 KBS국악대상 특별공로상, 은관문화훈장 등을 수훈했다. ▶ 해당기사 더보기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2020-11-03
  • 전남도립국악단 제7대 예술감독에 류형선 작곡가 위촉
    전남도는 3월 6일 국악분야 국내 최정상급 실력자인 류형선(55) 작곡가를 전남도립국악단 제7대 예술감독으로 위촉했다고 밝혔다. ▶ 류형선 프로필 류형선 신임 예술감독은 앞으로 2년 동안 전남도립국악단의 지휘·교육 및 공연기획을 이끌어 가게 된다. 전남도에 따름녀 음악적 역량과 악단 운영능력을 두루 갖췼다는 평가를 받은 신임 류 감독은 한양대 작곡과 음악학사 및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과 창작전공 예술전문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서울대 음대,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후학을 양성해오다 지난 2014년부터 2년간 국악분야 예술기관의 최고봉이라 할 수 있는 국립국악원에서 창작악단 감독을 역임하기도 했다. 또 지난 2011년부터 2년간 국악방송 ‘꿈꾸는 아리랑’을 진행한 바 있으며, 현재 서울 정동극장 이사와 숨 엔터테이먼트 예술감독으로 재직 중이다. 대표곡으로 ‘모두야 꽃이야’, ‘나무가 있는 언덕’, ‘비에 젖은 해금강’과 다큐멘터리 영화 ‘북간도의 십자가’ OST 등이 있으며, 이러한 실력을 인정받아 KBS국악대상과 기독문화대상을 수상한바 있다. ▶ 해당기사 더보기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2020-03-09
  • [KBS 국악한마당 방송안내] 2월 15일 (土) 오후 12시 10분 (이선,김홍섭,가야토리,조담,이아름 등)
    전통과 오늘을 잇-다 무심하고 무의미했던 것들이, 애착을 갖게 되면 그것의 사소한 부분조차도 남다른 의미를 가지게 되죠. 오늘은 전통이 지닌 그 ‘특별함’을 발견해, 그들만의 감성으로 만들어낸 예술가들의 무대로 함께 즐겨봅니다. ▸2019 KBS국악대상 대상 수상자 ● 가야금병창 적벽가 中 <조자룡 활 쏘는 대목> 가야금병창/ 이선 장구/ 김홍섭 ▸전통, 가야금병창으로 잇다 ● 이선 작사·작곡, 함현상 편곡 <가자! 바다로> 가야토리 ● 이정연 작사·작곡 <날개> 가야토리 ▸전통, 민속악으로 잇다 ● <대풍류> 전통음악집단 샛 ● <경서도濃> 전통음악집단 샛 ▸전통, 굿으로 잇다 ● <검무> 앙상블 본(本) ● <황홀경> 앙상블 본(本) ▸꿈나무한마당 ● 이건용 작곡 <한오백년> 25현 가야금/ 조담 (서울아주초 6학년) ● 이아름 작사, 노관우 작곡 <꽃 핀 그곳> 이아름 25현 가야금/ 이언화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20-02-11
  • [祝] 2019 KBS국악대상 '대상'에 가야금병창 연주자 '이선' 수상
    KBS는 올해 'KBS국악대상' 대상 수상자로 가야금병창 연주자인 이선 국악그룹 가야토리 대표를 선정했다고 12월 18일 밝혔다. ▶이선 프로필 이 대표는 전통을 기반으로 한 가야금병창에 영상과 연희를 추가해 새로운 시도를 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 대표는 "함께 가야금병창의 길을 걷고 있는 예인들에게 이번 수상이 작은 불씨가 되어 더 큰 불꽃이 일어나면 좋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지난 14일 여의도 KBS홀에서 열린 시상식은 오는 28일 낮 12시 10분 KBS 1TV에서 방송된다. 방송에서는 이 대표 외에도 10개 부문 수상자들을 만나볼 수 있다. ▶ 해당기사 원문보기.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2019-12-19

공연소식 검색결과

  • 창작국악그룹 '그림(The林)' 전시 및 공연 'Black Mood_여백의 반영' - 9월17~26일 서울 문화비축지 T4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국악세계화연구소에서 운영하는 글로벌 K컬처 플랫폼 '리틀코리아' ▶ http://koreanculture.kr 1. 공연명 : 그림(The林) 전시 및 공연 'Black Mood 여백의 반영'2. 장소 : 문화비축지 T4 (서울특별시 마포구 증산로 87) ▶ 지도보기 http://kko.to/lIbh1az4T3. 날짜 : 2021년 09월 17일(금) ~ 2021년 09년 26일(일)4. 공연시간 : 평일/주말 오후 3시 금요일 오후7시5. 문의 : 프로듀서 정혜미 010-4440-2128 ijustsay@naver.com6. 공연 예약 ▶ 네이버에서 'Black Mood' 검색◆ 출연진 : 그림(The林_신창렬, 김주리, 김민정, 이우영, 정진우, 장경희, 이나라, 김소리 ○ 함축된 근원의 심오한 색, 묵(墨). 전통 수묵화의 깊이를 음악으로 말하다. ○ 과거의 화공의 내면의 세계를 탐구하는 현재의 음악인, 그림The林 ○ 전통예술 장르의 경계를 음악으로 무너뜨린 ○ 'Black Mood_여백의 반영' 프로젝트의 완결판, 이번에는 전시다. 그림(The林)은 창작국악그룹으로 2001년 창단되었으며, 전통을 기반으로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창작과 각 예술장르의 특성들이 효과적으로 반영 된 융∙복합 형태의 음악 콘텐츠를 완성도 있는 공연물로 제작하고 발전시키고 있는 예술단체이다. 작곡, 연주, 연출, 그리고 제작까지 자체창작역량을 갖추어 2001년부터 4장의 앨범을 발표하였고, 2016 의정부국제음악극축제‘음악극어워드 대상’에 이어, 2017년에는 KBS국악대상에서 단체상과 대상을 동시에 수상하며 그 실력을 인정받고 있다. 그림(The林)의 대표 신창렬은 2021년 제15회 21c한국음악프로젝트 예술감독과 국악방송 ‘음악의 교차로’ 진행자로, 해금연주자 김주리는 ‘김주리밴드’로, 관악기연주자 정진우는 ‘ZINU’로, 가야금연주자 김민정과 타악기연주자 장경희는 다른 장르와의 협업하는 등 멤버들 모두 활발한 활동으로 각자의 음악세계를 선보이며 20년 동안 단체를 지속해오고 있다.
    • 공연소식
    • 서울
    2021-09-09
  • 제15회 '남미선 해금산조 : 김영재류 해금산조, 지영희류 해금산조' - 12월 1일(토) 서울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연명 제15회 '남미선 해금산조' 장소 서울 서초동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지도보기 날짜 2018년 12월 1일 (토요일) 시간 오후 5시 티켓료 무료초대 출연진 ▶ 남미선 프로필 ▶ 임현빈 프로필 문의전화 010-8569-1389 공연내용 산조는 서양 클래식의 독주곡과 유사한 우리 음악이다. 독주학기 하나. 반주악기 하나만으로 완성하는 텅 빈듯 꽉 찬 예술장르 그런데 사실은 산조와 클래식 독주곡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작곡가가 악보만을 남기는 클래식 독주곡과 달리 산조는 연주자가 자신의 이름을 걸고 작곡한 곡이 스승에서 제자로 전승되어 이어진다는 점이다. 그런점에서 제자가 스승의 곡을 연주한다는 것은 단순히 악보와 기법의 재현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산조는 스승의 인생을 통째로, 고스란히 전수하는 것이다. 스승의 음악적 삶과 호흡을 제자가 닮아가는 것이다. 산조는 사람이다. 활을 밀고 당기는 우아한 모습,품격있는 연주해석으로 ‘해금여신’이라 불리는 해금연주자 남미선이 열다섯번째 독주회를 연다. 남미선해금연주자는 지난 5월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에서 스승 김영재류 해금 산조 전바탕(1시간)을 선 보인바 있다. 이번 연주는 스승의 김영재류해금산조와 (35분) 지영희류해금산조 (12분)스승 김영재 작곡의 悲 (비)를 연주하며, 연주자가 직접 관객과의 소통을 위해 지면이 아닌 무대에 앉아 직접 악기에 대한 설명과 곡설명 산조에 대해 이야기를 쉽게 풀어낼 예정이다 장단에는 춘향국악대전 판소리명창부분대통령상과 kbs국악대상 판소리부분수상자이며,남원시립국악단 수석으로 있는 명창 임현빈씨와 함께 한다. 스승의 산조를 연주하는 것은 25년째 해금연주에만 천착해 온 남미선이 전통을 계승하는 방법이자 세상과 소통하는 커다란 창문을 내는 작업이다. 협찬 : 이서윤한복,고흥곤국악기연구소,국악포털아리랑후원 : 이서윤한복,고흥곤국악기연구원,소아다원
    • 공연소식
    • 서울
    2018-11-22
  • 10월 18일 국립부산국악원 화요공감무대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공연명 : <손혜영 아정무용단의 춤 - 열두자락 아라리요>2. 장소 : 부산 연지동 국립부산국악원 예지당 ▶ 지도보기3. 날짜 : 2016년 10월 18일 (화요일)4. 시간 : 오후 7시 30분 5. 티켓료 : A석 10,000원, B석 8,000원6. 문의 : 051-811-01147. 공연내용 : 차분하고 섬세하며 애절한 무태로 정중동을 고루 갖춘 춤의 묘미를 선보인다. 한국무용의 백미라고 일컬어지는 ‘승무’를 시작으로 ‘학춤’, ‘살풀이춤’, ‘가인여옥 벽파입춤’, ‘태평무’ 등을 고요하고 깨끗한 한영숙류의 전통춤으로 풀어냈고, 풍물판의 백미인 ‘소고춤’만 최종실류를 바탕으로 손혜영 예술감독이 신명나게 재구성했다. 이번 무대를 위해 손혜영 아정무용단 단원의 해설과 춤, 그리고 동료 국악인들의 반주가 함께한다. ◆ 출연진 : 손혜영은 명창 박록주 전국국악경연대회에서 종합대상(대통령상)을 비롯해 전주대사습, 동아콩쿨, KBS국악대상 등에서 상을 수상한 인정받은 춤꾼으로 현재 대구가톨릭대학교 겸임교수와 손혜영 아정무용단 예술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손혜영 아정무용단은 2001년 창단하여 한영숙류 전통 춤을 기본으로 정재와 더불어 민속춤, 창작 등 다양한 공연과 연구를 하는 단체로 제자 100여명이 단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공연소식
    • 부산,경남
    2016-10-13
  • 이승희 해금소리 김영재류 해금산조 '긴산조' - 11월 17일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예향홀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공연명 : 이승희 해금소리 - 김영재류 해금산조 '긴산조' 2. 일시 및 장소 : 2015년 11월 17일(화) 오후 7시30분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예향홀3. 티켓료 : 전석 무료초대 4. 문의 : 050-6620-8613 ▶ 이승희 프로필 지금까지 이승희는 다양한 형태로 전통음악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무대를 선보여왔다. 민요 가락을 해금으로 선뜻 풀어내는가 하면, 직접 탈춤 동작을 소화하며 탈춤의 재기와 해학이 가미된 해금 공연을 선보이기도 했다. 해금으로 보여줄 수 있는 멋과 더불어 직접 노래하고 춤을 추며 그만이 보여줄 수 있는 독보적인 무대를 이끌어왔다. 이번 이승희 해금소리는 전통음악의 시작이자 끝에 자리한 산조를 선보인다. 그녀의 해금 소리의 토양이 되었던 산조로 돌아가, 보다 깊고 농밀해진 그녀의 소리를 관객들 앞에 펼쳐낼 것이다. 한 시간의 산조 무대와 함께하며 관객은, 긴 여행, 풍경처럼 스치는 선율을 편안하게 즐길 수 있을 것이다. 산조 중에서도 조의 변화가 다양하고 장단감이 두드러지는 김영재류는, 지영희, 신쾌동, 성금연 등 산조 1세대 명인들의 선율이 고스란히 녹아들어 있어 더욱 풍성하고 다양한 멋을 느낄 수 있다. 특히 김영재 명인이 오랫동안 재직해온 전남대학교에서 연주되는 김영재류 해금산조는 더욱 깊은 의미를 갖는다. 이번 공연은 국립국악원 민속악단의 정준호가 장구반주를 맡는다. 2009년 월간 객석 차세대를 이룰 10인의 유망주에 선정되었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우리나라 예술계의 미래를 선동할 역량 있는 젊은 예술가를 발굴하는 프로젝트인 ‘영아트프론티어(AYAF) 1기’에 선정된 바 있는 이승희는 국립국악중,고등학교 졸업 후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전문사를 거쳐, 서울대학교 박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2003년부터 (사)정가악회의 단원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음악세계를 구축하였으며 동아국악콩쿠르 일반부 금상, 세계델픽대회에서 2현악기 부문 은상, KBS국악대상(단체부분 정가악회)을 수상하며 그 실력을 인정받은 연주자이다. 이승희는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전남대학교에 출강중이며 해금연구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FM국악방송 '고운님 고운음악' 진행자로 방송을 통해서도 만나볼 수 있다. 경희대학교, 서울예술대학 등에서 강사를 역임하였으며 다양한 연주회와 강연, 방송을 통해 국악인으로서 삶의 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승희의 음악은 ‘이승희 해금 줄풍류(악당이반,2009)’, ‘이승희 노래하는 해금(국악방송 새음원시리즈 34)(LOEN,2010)’ 그 외 정가악회의 다양한 음반을 통해서도 만날 수 있다.
    • 공연소식
    • 광주,전라
    2015-11-11
  • 이승희 해금소리 김영재류 해금산조 '긴산조' - 11월 24일 서울 국립국악원 우면당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공연명 : 이승희 해금소리 - 김영재류 해금산조 '긴산조' 2. 일시 및 장소 : 2015년 11월 24일(화) 오후 7시30분 서울 서초동 국립국악원 우면당▶지도보기3. 티켓료 : 전석 무료초대 4. 문의 : 050-6620-8613 ▶이승희 프로필 지금까지 이승희는 다양한 형태로 전통음악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무대를 선보여왔다. 민요 가락을 해금으로 선뜻 풀어내는가 하면, 직접 탈춤 동작을 소화하며 탈춤의 재기와 해학이 가미된 해금 공연을 선보이기도 했다. 해금으로 보여줄 수 있는 멋과 더불어 직접 노래하고 춤을 추며 그만이 보여줄 수 있는 독보적인 무대를 이끌어왔다. 이번 이승희 해금소리는 전통음악의 시작이자 끝에 자리한 산조를 선보인다. 그녀의 해금 소리의 토양이 되었던 산조로 돌아가, 보다 깊고 농밀해진 그녀의 소리를 관객들 앞에 펼쳐낼 것이다. 한 시간의 산조 무대와 함께하며 관객은, 긴 여행, 풍경처럼 스치는 선율을 편안하게 즐길 수 있을 것이다. 산조 중에서도 조의 변화가 다양하고 장단감이 두드러지는 김영재류는, 지영희, 신쾌동, 성금연 등 산조 1세대 명인들의 선율이 고스란히 녹아들어 있어 더욱 풍성하고 다양한 멋을 느낄 수 있다. 특히 김영재 명인이 오랫동안 재직해온 전남대학교에서 연주되는 김영재류 해금산조는 더욱 깊은 의미를 갖는다. 이번 공연은 국립국악원 민속악단의 정준호가 장구반주를 맡는다. 2009년 월간 객석 차세대를 이룰 10인의 유망주에 선정되었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우리나라 예술계의 미래를 선동할 역량 있는 젊은 예술가를 발굴하는 프로젝트인 ‘영아트프론티어(AYAF) 1기’에 선정된 바 있는 이승희는 국립국악중,고등학교 졸업 후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전문사를 거쳐, 서울대학교 박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2003년부터 (사)정가악회의 단원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음악세계를 구축하였으며 동아국악콩쿠르 일반부 금상, 세계델픽대회에서 2현악기 부문 은상, KBS국악대상(단체부분 정가악회)을 수상하며 그 실력을 인정받은 연주자이다. 이승희는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전남대학교에 출강중이며 해금연구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FM국악방송 '고운님 고운음악' 진행자로 방송을 통해서도 만나볼 수 있다. 경희대학교, 서울예술대학 등에서 강사를 역임하였으며 다양한 연주회와 강연, 방송을 통해 국악인으로서 삶의 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승희의 음악은 ‘이승희 해금 줄풍류(악당이반,2009)’, ‘이승희 노래하는 해금(국악방송 새음원시리즈 34)(LOEN,2010)’ 그 외 정가악회의 다양한 음반을 통해서도 만날 수 있다.
    • 공연소식
    • 서울
    2015-11-11
  • 월드뮤직그룹 루트머지 6번째 콘서트 ‘법고창신’ - 9월23일 광주문화예술회관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공연명 : 루트머지 '법고창신' 2. 장소 : 광주문화예술회관 소극장▶ 지도보기3. 날짜 : 2015년 9월 23일 (수요일)4. 시간 : 오후 7시 5. 티켓료 : 전석 20,000원6. 문의 : 062-444-07677. 공연정보 더보기 ▶ http://www.rootmerge.co.kr ◆ 루트머지의 여섯 번째 콘서트 ‘법고창신’에서 선보일 작품은 국창 임방울의 쑥대머리, 함동정월 명인의 <최옥삼류 가야금 산조 중 늦은 자진모리>, 만요 <오빠는 풍각쟁이>, 소규모아카시아밴드 김민홍의 <꽃길>이 선보여질 것이며, 또한 국내 활발히 활동 중인 많은 작곡가들의 위촉곡이 연주 된다. 해금연주자겸 작곡가인 “윤주희”의 해금을 위한 연주곡 <상실, 사랑의 이면>, 루트머지의 홍윤진 대표가 개발한 28현가야금을 위해 작곡 된 “김호주”의 곡 , 2011 KBS국악대상 작곡상의 “박경훈” 작곡, 정철 작사의 <사미인곡>, 황진이의 한시 ‘송별소양곡’에 왈츠풍의 밝은 멜로디를 얹은 에스닉 퓨전밴드 두 번째 달의 멤버 “최진경” 작곡의 <달빛 아래 오동잎 모두 지고>, 2013 ARKO 한국창작음악제 국악분야 선정 작곡가 “김대성” 작곡의 국악 타악과 드럼 그리고 베이스를 위한 연주곡 <맘속사랑>등 많은 초연 곡들이 현재 우리 모습을 다양하게 표현하고 미래를 향한 희망을 그리는 무대에서 펼쳐질 것이다.
    • 공연소식
    • 광주,전라
    2015-09-02
  • [공연] 여창가객 김나리 독창회 - 나비, 시간의 잔상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공연명 : 여창가객 김나리 독창회 - 나비, 시간의 잔상2. 장소 : 유시어터(서울 강남구 청담동 소재)3. 날짜 : 2015.4.21(화)4. 시간 : 오후8시 5. 티켓료 : 현매2만, 예매1만6. 문의 : 010-3739-94507. 공연정보 더보기 ▶ ◆ 출연진 : 여창가객 김나리 독창회 나비, 시간의 잔상 ○ 일시 : 2015년 4월 21일 (화) 오후8시 ○ 장소 : U Theater(유시어터, 서울 강남구 청담동) ○ 관람료 : 현장 2만원, 예매 1만원 ○ 문의 : 김나리 010-3739-9450 ○ 공연내용 낯선 시간의 기억, 흔적... 이 모든게 스미어 날아간다. -박승원의 ‘나비’에서 여기 낯선 노래가 있습니다. ‘버들은 실이 되고 꾀꼬리는 북이 되어 구십 삼촌에 짜내느니 나의 시름 누구서 녹음방초를 승화시라 허든고’ 베틀을 짜며 슬픔을 달래고, 누가 도대체 이 시절을 좋다하느냐고 한탄하는 조선시대 어느 여인의 한숨소리겠지요. 시간이 흐르고, 삶의 빛이 변해 이제는 잔상으로 남은 낯선 노래... 그 노래들로 시간을 더듬어 과거를 짐작해보고, 낯설지 않은 현재의 언어로 노래하고자 합니다. 오늘, 그렇게 태어난 나비를 띄웁니다. 살며시 나부낀 아침, 햇살에 꽃피고 다시 사랑이 찾아오길 소망합니다. 김나리 1997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 200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졸업 2014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 2015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대학원 박사과정 재학 중 1996 동아국악콩쿨 정가부문 학생부 금상 1999 동아국악콩쿨 정가부문 일반부 금상 2003 전국정가경창대회 대상 2006 KBS국악대경원 장원 2014 KBS국악대상 가악상 수상 現)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강사 중앙대학교 전통예술학부 강사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이수자 정가앙상블 Soul지기 대표 한국가곡보존회 회장 공연순서 1. 여창가곡 우조 이수대엽 ‘버들은’ (생황 김한길) 2. 바다위에 (작사/작곡 정신혜, 건반/코러스 정신혜, 코러스 김지선) 3. 모죽지랑가 (시 득오, 작곡 박승원, 건반 정신혜) 4. 언약이 늦어가니 (작사/작곡 정신혜, 정가앙상블 Soul지기) 5. 사랑 거즛말이 (작사/작곡 성예람, 정가앙상블 Soul지기) 6. 이 밤이 가기 전에 (작곡 조은영, 가사 여창가곡 ‘평롱’, 정가앙상블 Soul지기) 7. 늙은 갈대의 독백 (작곡 신창렬, 시 백석, 기타 최영훈, 코러스 정신혜) 8. 나비 (작사/작곡 박승원, 가야금 김민지, 건반 정신혜)
    • 공연소식
    • 서울
    2015-04-14
  • 중견가객 '황숙경'의 다큐멘터리 정가극 【허난설헌】, 11월 28일 대치동 한국문화의집 코우스
    1. 공연명 : 황숙경의 다큐멘터리 정가극 허난설헌 <시대를 앞서간 조선의 여인 허난설헌이 2014년 대한민국에 던지는 메시지> 2. 장소 : 서울 강남 대치동 한국문화의집 코우스 ▶ 지도보기3. 날짜 : 2014년 11월 28일 (금요일)4. 시간 : 오후 7시 30분 5. 티켓료 : 15,000원6. 문의 : 010-9240-3414◆ 출연진 : ▶황숙경 프로필, 이종호 2013 KBS국악대상 가악상에 빛나는 독보적인 중견가객 황숙경이 되살려내는 허난설헌의 이야기
    • 공연소식
    • 서울
    2014-11-17
  • 대금연주자 한충은씨 뉴욕 콘서트 '별이 내린 숲' - 7월 31일부터 8월 7일까지
    전통음악과 현대음악 대중가요 등을 넘나들며 활동하는 대금연주자 한충은(사진)씨가 뉴욕 콘서트 시리즈를 준비했다. ▶ 한충은 프로필 '별이 내린 숲'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시리즈는 오는 7월 31일 코리아소사이어티 공연을 시작으로 8월 6일 록우드뮤직홀(Rockwood Music Hall) 8월 7일 웨스트할렘 포엣츠딘시어터 (Poet's Dean Theater) 등지에서 공연된다. 한씨는 가야금 연주자 서라미씨와 듀엣 퓨전 재즈 공연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지난해 KBS국악대상 관악연주부문을 수상한 한씨는 전통 현대 팝 재즈 무용 영화 드라마 등 다방면에 걸쳐 국악을 녹여낸 음악을 선보인다. 현재 KBS국악관현악단 부수석 연주자 국악팝스오케스트라 '여민' 단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 See more at: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2674390#sthash.dpRSDCCo.dpuf
    • 공연소식
    • 해외
    2014-07-16
  • '전인삼·김광복 명인의 듀오음악회' 12월 8일 광주전통문화관서 열려
    ☞ 전인삼 프로필 ☞ 김광복 프로필판소리와 피리 명인이 함께 하는 특별한 음악회가 열린다.광주문화재단 전통문화관은 8일 토요상설무대에서 '전인삼·김광복 명인의 듀오 음악회'를 선보인다.☞공연장 지도보기판소리 명인 전인삼 전남대 교수는 중요무형문화재 판소리 흥보가 이수자로 제23회 전주대사습놀이전국대회 판소리 명창부 장원(대통령상)과 2003년·2011년 KBS국악대상(판소리상)을 수상했다. 피리 명인 김광복 전남대 교수는 중요무형문화재 구례향제줄풍류 전수조교로 제1회 문화예술진흥대상을 수상했고, 빛고을 국악관현악단 단장과 아시아민족음악교류협회 이사장을 맡고 있다.☎ 062-232-1501 ☞ 해당기사 더보기
    • 공연소식
    • 광주,전라
    2012-12-05

국악동영상 검색결과

국악인프로필 검색결과

  • 김선호 - 대금연주가
    ☆ 김선호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대금연주 수련과정ㅣ학력 중앙대학교 국악대학 국악관현악과 졸업 및 同 대학원 졸업 활동 경력 경기챔버오케스트라 악장 역임현재 민속악회 <수리> 음악감독 KBS 민속반주단 악장 수상 경력 한배 전국국악경연대회 일반부 대상 (장관상)제4회 지영희 전국국악경연대회 일반부 종합대상 (장관상)제80회 남원춘향제 일반부 관악 대상제8회 전국국악대전 일반부 최우수상 (장관상)제5회 국창 권삼득 추모 전국국악대제전 일반부 우수상 제7회 기산전국국악대전 일반부 종합대상 2021 KBS국악대상 연주관악상 홈페이지ㅣSNS ▶http://cafe.daum.net/su-ri [민속악회 수리 다음카페] 동영상 보기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2014-07-08
  • 채수현 - 경기민요
    ☆ 채수현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민요, 경기민요 수련과정ㅣ학력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졸업 및 同 대학원 수료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이수자 활동 경력 국립국악원 소리극 '황진이' , 가무악극 '서동의 노래' 등 주역 출연경기소리프로젝트그룹 '나비' 멤버민속악회 '수리' 단원국립국악원 민속악단 단원 수상 경력 제9회 경서도민요경창대회 일반부 대상 제28회 온나라국악경연대회 민요 금상 2017 KBS국악대상 '민요상' 수상 2018 제44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 민요부문 차상 2019 제45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 민요부문 장원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 https://youtu.be/36zzk5qtQSg [뱃노래] ▶ https://youtu.be/Mp7lY49FtP8 [경기민요 연곡]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14-05-04
  • 故 연정 임윤수 - 국악운동가
    ☆ 故 임윤수 프로필 (1917년 ~ 2004년, 호 연정) 사진 전공ㅣ분야 거문고연주, 국악운동가 수련과정ㅣ학력 경주 율객 최윤에게 거문고 풍류 및 '예기', '악기 등 예악 수학신은휴 선생에게 거문고 정악과 산조 사사 활동 경력 대전시립연정국악원 설립, 초대원장(1981-1988)으로 재직서울대학교 및 이화여자대학교 강사 역임 수상 경력 1980년 대전시 문화상 수상1986년 KBS국악대상 수상1994년 대한민국문화훈장 수상 홈페이지ㅣSNS https://han.gl/XgErm 동영상 보기 기타 경북 영천에서 태어나 충청도에 국악원을 설립했고, 전라도에서 풍류를 즐겨온 기인으로 평생 거문고와 시조를 벗하며 전국을 다녔다. 못다루는 악기가 없으며 해박한 국악 지식을 가지고 국악 보급 활동에 평생을 바친 국악운동가이다. 평생 동안 수집한 국악기 및 국악 관련 자료 2만 여점을 대전광역시에 기증하여 대전시립연정국악원을 설립하는 데 결정적인 공헌을 했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14-05-04
  • 故 최창남 프로필 - 선소리산타령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
    ☆ 故 최창남 프로필 1935년~2022년 10월 26일 사진 전공ㅣ분야 민요, 선소리산타령 (장구) 수련과정ㅣ학력 1952년 청구고전성악학원 입학 (이창배, 전득만에게 경서도창 사사)  국가무형문화재 제19호 선소리산타령 예능 보유자 (2009년 인정) 국가무형문화재 제19호 선소리산타령 명예보유자 (2021년 인정) 활동 경력 인천고전성악학원 창설 (1960년) 한국국악협회이사 역임 (1977년) 수상 경력 제2회 KBS국악대상 민요상 수상 (1983년) 제4회 KBS국악대상 민요상 수상 (1985년)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DREAZ2D-S5c [한류정보클립 - 최창남 선소리 발표회] https://youtu.be/mzm7k6SwyOQ [목포의 눈물] 기타 소리꾼들이 서서 노래한다고 하여 선소리라고 하며, 여러 명의 소리꾼들이 늘어서서 가벼운 몸짓과 함께 소고를 치며 합창하는 민속가요를 가리켜 산타령이라고 한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14-04-05
  • 류형선 - 국악작곡가, 예술감독
    ☆ 류형선 프로필 (1965년 전남 광주 출생) 사진 전공ㅣ분야 예술감독, 국악작곡 수련과정ㅣ학력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졸업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전문사 졸업 활동 경력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강사 역임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예술감독 역임 숨엔터테인먼트 예술감독 서울정동극장 이사 현) 전남도립국악단 예술감독 수상 경력 1995년 기독음악대상 수상  2008년 KBS국악대상 작곡상 수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라,마,바
    2014-04-01
  • 전영랑 - 경기민요
    ☆ 전영랑 프로필 1983년생 사진 전공ㅣ분야 민요, 경기민요, 무악 수련과정ㅣ학력 이춘희 선생 사사 서울국악예술고등학교 졸업국립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연희과 졸업이화여자대학원 한국음악 경서도 민요과 수료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이수자 활동 경력 사)김덕수사물놀이 한울림 단원 역임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출강겨레의 혼 <아! 아리랑> 주연프렐류드 & 전영랑 엘범 'Fly In 날아든다' 발매 (2014년) 수상 경력 2009 제9회 인천국악대제전 명창부 대상 2015 제21회 경기국악제 전국경연대회 대통령상 2019 KBS국악대상 '민요상' 수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 http://youtu.be/9mDpwozKBQk [밀양아리랑] ▶ https://youtu.be/i6ZHERBpa9k [회심곡] ▶ https://youtu.be/BC7ouhaSJ7w [상사화 - 보이스퀸] 기타 초등학생 때부터 민요를 배웠고 대학에서는 굿을 전공하면서 한국의 춤과 음악의 정서를 깊이 있게 체득한 영특한 소리꾼이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14-03-23
  • 채치성 - 국악작곡가
    ☆ 채치성 프로필 (1953년 서울 출생) 사진 전공ㅣ분야 국악작곡, 지휘자 수련과정ㅣ학력 용문고등학교 졸업서울대학교 국악학과 졸업중앙대 음악학 석사 졸업, 한양대 음악학 박사 수료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고법 이수자 활동 경력 한국방송공사(KBS) 프로듀서 (1981~1995)국악방송 편성제작팀장 (2000~2001)국악방송 방송본부장 (2004~2011)한국국악협회 감사, 서울특별시 문화재위원 (2011~ ) 국악방송사장 역임 수상 경력 1993년 대한민국작곡상 우수상 수상 1999년 KBS국악대상 작곡상 수상 2015년 난계악학대상 공로상 수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youtu.be/Ffz2L9Sgruc [채치성 지휘 - 신뱃놀이]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14-03-09
  • 전인평 - 국악작곡가
    ☆ 전인평 프로필 (1945년 충북 영동 출생) 사진 전공ㅣ분야 국악작곡, 학자, 대학교수 수련과정ㅣ학력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및 대학원 졸업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 활동 경력 중앙대학교 국악대학 학장 역임현재 중앙대학교 국악대학 명예교수아시아음악학회 회장영문학술지 Asian Musicology 발행인 수상 경력 1968년 서울대학교동창회 주최 작곡콩쿠르 입상1969년 동아음악콩쿠르 작곡 (국악) 부문 수상1981년 문화공보부 대한민국 작곡상 (국악관현악 두레)1996년 KBS국악대상 작곡상2004년 제18회 기독교문화대상 홈페이지ㅣSNS http://cafe.daum.net/asianmusicology [아시아음악학회 다음카페] 동영상 보기 기타 저서 - 국악작곡 입문, 새로운 한국음악사, 아시아음악의 이해, 동북아시아음악사’ 등 25권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14-03-02
  • 이선 - 가야금병창
    ☆ 이선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가야금병창 수련과정ㅣ학력 중앙대학교 대학원 한국음학학 박사 수료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수자 활동 경력 가야금병창 프로젝트그룹 '가야토리' 리더 세한대학교 전통연희학과 겸임교수, 서울예술대학 한국음악과 출강 수상 경력 2012 제36회 전국탄금대가야금경연대회 대상 (대통령상) 2019 KBS국악대상 판소리상 및 '대상' 수상 홈페이지ㅣSNS https://www.instagram.com/sun_0716 [인스타그램] 동영상 보기 ▶http://youtu.be/P-z7KisfxP8 [심청가] ▶ https://youtu.be/gnd-k74bUVw [가야금병창 창작곡 '따라간다'] 기타 1970년대부터 창작판소리 <성 안드레아 김대건전>과 <사명대사> 등 국악과 종교의 접목을 시도했던 故 용담 '이용배' 명창이 부친이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14-02-23
  • 양승환 - 국악작곡가
    ☆ 양승환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국악 작곡 , 피아노 수련과정ㅣ학력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서울대학교 국악과 졸업한국예술종합학교 전문사 과정 수료New York University 석사 졸업 활동 경력 한국청소년국악관현악단 전임 작곡가Korean Qawwalli Group 'TALL' 동인월드뮤직그룹 '바이날로그' 동인 2013년 전북브랜드공연 뮤지컬 춘향 작곡2014년 국립레퍼토리시즌 - 숙영낭자전 음악감독 및 작곡 수상 경력 2001 제41회 동아음악콩쿠르 국악작곡부문 금상2005 제2회 한국대종음악상 재즈크로스오버 후보2007 제4회 한국대종음악상 재즈크로스오버 후보2009 사마르칸트 국제음악제 샤르크타로날라리 2위2012 한국월드뮤직열전 소리프론티어 대상 2014 KBS국악대상 작곡상 수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bwz6dWLf9hA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14-02-12

관련사이트 검색결과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