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국악정보 검색결과
-
-
12월 5일, 오정해와 함께하는 국립부산국악원 ‘아리랑’
- 1. 공연명 :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2주년 기념 <대한민국 아리랑 대축제>2. 장소 : 부산 연지동 국립부산국악원 대극장 (연악당)▶지도보기3. 날짜 : 2014년 12월 5일 (금요일)4. 시간 : 오후 7시 30분 5. 티켓료 : 전석 무료초대6. 문의 : 051-811-00407. 공연정보 더보기 ▶ http://me2.do/5UIjudTN◆ 공연내용 : 영남을 중심으로 전국 각지의 전통 아리랑 및 무용 등 다양하게 변주된 아리랑으로 구성된다. 내용은 <길놀이>, <꽃나부풍장>, <영남성주굿>, <한반도 아리랑-긴아리랑, 정선아리랑, 구아리랑, 본조아리랑, 강원도아리랑, 밀양아리랑>, <밀양백중놀이>, <국악관현악- ‘아리랑’>, <국악관현악-‘아리랑 연곡’(상주아리랑, 구아리랑, 어랑어랑, 해주아리랑, 밀양아리랑, 진도아리랑>의 7작품으로 마지막에는 모두 함께 아리랑을 부른다.
-
- 국악정보
- 아리랑소식
- 아리랑뉴스
-
12월 5일, 오정해와 함께하는 국립부산국악원 ‘아리랑’
공연소식 검색결과
-
-
1월 매주 토요일 국립부산국악원 ☆ 굿(GOOD)이로구나!
-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연명 굿(GOOD)이로구나! <동해안별신굿> 장소 부산 연지동 국립부산국악원 예지당 ▶ 지도보기 날짜 2018년 1월 매주 토요일 시간 오후 3시 티켓료 A석 10,000원, B석 8,000원 * 공연당일은 공연 1시간 전부터 티켓구매 가능 출연진 김영희(동해안별신굿 보존회장, 명예보유자) 김용택(동해안별신굿 보유자) 김영숙(동해안별신굿 전수교육조교) 김동연(동해안별신굿 전수교육조교) 김정희(동해안별신굿 전수교육조교) 정연락(동해안별신굿 전수교육조교) 김동열(부산·기장오구굿 보유자) 김동언(부산·기장오구굿 보유자) 김진환(부산·기장오구굿 전수교육조교) 문의전화 051-811-0114 공연정보 더보기 ▶ https://goo.gl/m4xaiY 국가무형문화재 제82-1호 동해안별신굿 공연내용 1. 부정굿: 굿당과 주변을 깨끗이 정화하고, 나쁜 부정을 가려내는 굿 2. 골메기굿: 마을의 수호신인 골맥이 신을 청하는 굿 3. 세존굿: 아이의 출산, 수명과 재복을 관장하는 세존 신을 위하는 굿 4. 성주굿: 집안의 수호신 중 가장 큰 신인 성주신을 모시고 가정의 평안을 기원하는 굿 5. 뱃노래: 망자를 반야용선에 태워 극락세계로 가시라는 굿
-
- 공연소식
- 부산,경남
-
1월 매주 토요일 국립부산국악원 ☆ 굿(GOOD)이로구나!
-
-
7월 9일 인천광역시립박물관 - 풍물패 더늠 ‘광대의 꿈’ 공연
-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공연명 : 풍물패 더늠 ‘광대의 꿈’2. 장소 : 인천광역시립박물관 1층 석남홀 ▶ 지도보기3. 날짜 : 2017년 7월 9일 (일요일)4. 시간 : 오후 4시 5. 티켓료 : 무료초대 (7월 5일 오전 9시부터 예약)6. 문의 : 032-440-67357. 예약하기 :▶http://goo.gl/k7gfSz8. 프로그램 : 1. 길놀이, 문굿_풍물길놀이, 지신밝기 덕담(성주굿), 비나리 공연2. 대포수 놀이_잡색의 대포수 춤 공연3. 사자놀이_사자춤 공연4. 소리공연_태평가, 노들강변, 청춘가 등5. 도둑잽이굿_호남우도굿 일광놀이판을 중심으로 한 해학적인 굿판6. 풍물판굿_부포놀이, 채상소고놀이, 열 두발 상모놀이, 버나놀이, 설장고7. 대동놀이_광대들과 관객이 어울리는 난장마당◆ 출연진 : 성창훈, 이찬영, 고범철, 김정민, 백승철, 이연호, 김기현, 김태훈, 황진삼, 이경옥, 최승집, 이미리
-
- 공연소식
- 인천,경기
-
7월 9일 인천광역시립박물관 - 풍물패 더늠 ‘광대의 꿈’ 공연
-
-
10월 11일 국립부산국악원원 화요공감무대 최고의 풍물잡이 강신일
-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공연명 : 강신일 <영남 매귀악>2. 장소 : 부산 연지동 국립부산국악원 예지당 ▶ 지도보기3. 날짜 : 2016년 10월 11일 (화요일)4. 시간 : 오후 7시 30분 5. 티켓료 : A석 10,000원, B석 8,000원6. 문의 : 051-811-01147. 공연내용 : 영주성주굿’, ‘영남채상설장구’, ‘살풀이춤’, ‘영남판굿’, ‘소고춤’, ‘개인놀이’로 구성된다. 또한, 사물놀이와 전통춤, 장단이 어우러진 무대를 만들기 위해 부산농악회원과 동료 국악인들이 함께 출연한다.◆ 출연진 : 강신일은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6호 부산농악의 상쇠보유자이며 영남 풍물의 대표주자이다. 중학교 시절부터 농악에 입문하여 36년째 풍물잡이 외길인행을 살아오며 완숙한 연주력으로 부산농악 놀이판을 이끌어가는 리더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임방울국악제 대상, 부산민속예술출제 개인연기상 등을 수상했으며 현재 매구놀이마당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본 공연은 강신일이 가지고 있는 영남풍물연희의 예술성과 그 가치를 인식하고 토속 풍물장단의 투박한 맛을 널리 알리고자 한다. 사물놀이에 쓰이는 전라도 풍물가락과 충청도 지역의 웃다리풍물은 많이 보급되어 있는 반면에 영남풍물가락은 잊혀져 가고 있는게 현실이다. 36년간 인고의 세월을 거쳐 강화시켜온 영남 풍물의 대표 쇠잽이 강신일의 역량으로 영남풍물가락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젊은 예술가들에게 우리지역의 맛깔나는 풍물가락을 제안하고자 한다.
-
- 공연소식
- 부산,경남
-
10월 11일 국립부산국악원원 화요공감무대 최고의 풍물잡이 강신일
-
-
[민속극장풍류] The History, 위대한 유산 (10.6.-10.20. 매주 목. 오후8시)
-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연명 The History, 위대한 유산 장소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 민속극장 풍류 날짜 2016.10.6~10.20. 시간 매주 목요일. 오후8시 티켓료 전석 5,000원 출연진 문의전화 02-3011-2178 공연정보 더보기 http://www.chf.or.kr/c1/sub9.jsp The History, 위대한 유산 10. 6. 목. 오후8시 강릉단오제: 축원祝願의 예술 무예巫藝 10. 13. 목. 오후8시 남사당놀이: 종합예술 유랑집단의 명맥 10. 20. 목. 오후8시 택 견: 유柔와 강强을 품은 무예武藝 l 전석5,000원 l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 민속극장 풍류 (9호선, 분당선 선정릉역 3번출구) l 주최한국문화재재단 l 후원문화재청 l 온라인예매http://yeme.chf.or.kr/reservation/page2.jsp l 공연문의02-3011-2178 www.chf.or.kr l 페이스북www.facebook.com/pungryu 10. 6. 목. 오후8시 강릉단오제 : 축원祝願의 예술 무예巫藝 강릉단오제는 단옷날을 전후하여 펼쳐지는 강릉 지방의 축제로 천년을 이어왔다. 이 축제에는 산신령과 남녀 수호신들에게 제사를 지내는 다관령국사성황모시기 등을 포함한 강릉 단오굿이 열린다. 4주 동안 계속되는 단오제는 신에게 바칠 술을 담그고 굿을 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며, 이 굿에서는 신목(神木), 그리고 깃털·종·대나무 등으로 만든 제물인 화개(花蓋)가 중심 역할을 한다. 제례 의식 외에 관노가면극을 중심으로 한 민속놀이도 활발해 사람들을 한 데 어우르는 축제가 된다. 이번 공연은 강릉단오제의 가장 핵심인 ‘단오굿’을 바탕으로 구성했다. 국가무형문화재 제13호인 강릉단오제는 2005년 11월 25일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공연내용 문굿 – 성주굿 – 무악(드렁갱이) - 등노래굿 - 삼도무속사물놀이 ○출연진 - 무녀 : 빈순애(국가무형문화재 제13호 강릉단오제 인간문화재) 김은영, 신희라, 박순여(국가무형문화재 제13호 강릉단오제 이수자) 박혜미(국가무형문화재 제13호 강릉단오제 전수자) - 악사 : 김명대, 김운석, 설희수, 김일현, 정지용, 이건환(국가무형문화재 제13호 강릉단오제 이수자) 성휘경(국가무형문화재 제13호 강릉단오제 전수자) - 사회 : 황루시(가톨릭관동대학교 명예교수) 10. 13. 목. 오후8시 남사당놀이 : 종합예술 유랑집단의 명맥 남사당놀이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그 흔적을 엿볼 수 있는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유랑곽대극으로, 원래 유랑예인들이 널리 행하던 다방면의 민속공연이다. 남사당놀이는 덜미(인형극), 덧뵈기(가면극), 살판(땅재주), 버나(대접돌리기), 어름(줄타기), 풍물(농악놀이) 등 여섯 종목으로 구성된다. 다양한 곡예, 재담, 음악이 곁들여져 풍성한 공연이 된다. 남사당놀이는 야외 마당에서 연희자들을 둘러 싸는 관객들을 즐겁해할 뿐 아니라 중요한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개가 되기도 했다. 국가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된 남사당놀이는 2009년 9월 30일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등재되었다. ○공연내용 덜미(꼭두각시놀음, 박첨지놀음) - 살판(땅재주) - 버나(쳇바퀴 돌리기, 대접 돌리기) - 풍물놀이 ○출연진 - 출연 : 박용태(국가무형문화재 제3호 남사당놀이 인간문화재) 진명환(국가무형문화재 제3호 남사당놀이 전수교육조교) 지운하, 남기문, 최종석(국가무형문화재 제3호 남사당놀이 이수자) 외 15명 - 사회 : 서연호(고려대학교 명예교수) 10. 20. 목. 오후8시 택 견 : 유柔와 강强을 품은 무예武藝 택견은 품밟기라는 독특한 보법에 의하여 능청거리기도 하고 때로는 우쭐거리기도 하며, 발로 차기도 하고, 다리를 걸어 넘어뜨리기도 하는, 서두르지 않고 여유가 있는 우리 민족 고유의 무예다. 특히, 택견의 몸놀림은 질박하고 섬세하며 부드러워 손발과 근육의 움직임이 일치하여 자연스럽게 방어할 수 있으며, 다른 무술에서 볼 수 없는 품밟기, 활개짓, 발질은 상대로 하여금 중심을 흐트러놓아 공격의 기세를 둔화 시킬 수 있고, 동작의 기본을 굼실댐으로써 충격을 완화시켜, 적의 공격으로부터 몸을 보호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2011년 11월 28일 무술분야에서는 세계 최초로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되었다. ○공연내용 본대뵈기 앞의 거리 8마당 – 마주메기기 - 본대뵈기 뒷의 거리 4마당 - 별거리 8마당 – 군무 - 옛 택견판 ○출연진 - 출연 : 정경화(국가무형문화재 제76호 택견 인간문화재)
-
- 공연소식
- 서울
-
[민속극장풍류] The History, 위대한 유산 (10.6.-10.20. 매주 목. 오후8시)
-
-
10월 29일 국립부산국악원에서 화요공감무대 최오성의 타악독주회 '四聲'
- 1. 공연명 : 최오성타악독주회 ′四聲′2. 장소 : 국립부산국악원 소극장(예지당) ▶ 공연장 지도보기 3. 날짜 : 2013년 10월 29일 (화요일) 4. 시간 : 오후 7시 30분 5. 문의 : 051-811-0040~41 6. 관람료 : 6,000원 프로그램1. 성주굿을 위한 관현악, 2. 모듬북 협주곡 ‘타’, 3. 경기 도당굿, 4. 판소리-춘향가 중 ‘옥중가’, 5. 판굿-아미북춤 공연 정보 더보기 ☞ http://me2.do/x5PF3WqO
-
- 공연소식
- 부산,경남
-
10월 29일 국립부산국악원에서 화요공감무대 최오성의 타악독주회 '四聲'
-
-
11월 5일~ 설장고 명인 이부산, 풍물굿의 화려함 보여준다
- 설장고 명인 이부산 선생이 장구 인생 50주년을 맞아 제자들과 함께 기념 공연을 펼친다. ‘설장고 명인 <이부산> 예술인생 50주년기념공연’이 이부산설장고연구소 주최, 주관으로 다음 달 5일 영등포 아트홀에서 화려하게 열린다. 이 명인은 인간문화재 故 이준용선생의 아들로 5살 때부터 장구를 접하기 시작했다. 김덕수 사물놀이패와 쌍벽을 이루며 한 시대를 풍미했던 ‘두레패 사물놀이패’를 거쳐 현재경기도립 국악단에서 지도위원에 재직하고 있다. 또 중요무형문화재 제11호 진주·삼천포 농악 전수조교로 후진 양성과 국악의 대중화에 힘쓰고 있다.이 선생의 설장고는 전립을 쓰고 채상모짓을 하며 박진감 있게 ‘덩더쿵’ 가락으로 돌아가는 점으로 보면 영남 진주·삼천포식이나잔가락이 아기자기한 호남우도 설장고의 멋도 어우러져 있다. 공연은 대북합주 ‘한민족의 기상’으로 시작해 전설적인 쇠잡이 이광수선생의 ‘축원 비나리’, 평생지기 조갑용 선생과 함께하는 ‘성주굿과 호남우도굿’, 평생의 반려자이자 친구 김연자 선생과 연주하는 남도민요,30여 명 제자들과 영호남 풍묵판굿을 재구성한 ‘풍물판굿’ 등 화려한 무대로 준비된다. 문의) 070-8282-7119 관련정보 더보기 ☞ http://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155873
-
- 공연소식
- 서울
-
11월 5일~ 설장고 명인 이부산, 풍물굿의 화려함 보여준다
국악동영상 검색결과
-
-
부산농악 - 부산시 무형문화재 제6호
-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峨嵋洞)에 전승하는 농악.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6호. 1980년 2월에 지정되었다. 부산 농악의 발단은 해방 후부터 1950년 사이의 유삼용(柳三龍:1970년에 작고)의 '곱은돌이농악'이며, 이를 기초로 1953년 정초에 '아미농악단'이 창단되었다. 아미농악은 제21회 전국 민속예술경연대회를 비롯하여 여러 대회에서 입상함으로써 널리 알려졌다. 부산 농악의 특징으로는 집돌이 걸립농악을 바탕으로 하는 점, 지신밟기에 앞서 당산굿을 치면서 모듬굿과 기제(旗祭)를 지내는 점, 집돌이 때의 지신밟기 문서가 다양하게 발달한 점, 판굿의 연극적 농사굿과 북춤이 돋보이는 점, 버꾸놀음의 기능이 뛰어난 점 등이 꼽힌다. 굿꾼은 기수 3(농기 1, 영기 2)·꽹과리 4(상쇠, 부쇠, 종쇠, 끝쇠)·징 2(수징, 부징)·대북 4(수대북, 부대북, 종대북, 끝대북)·장구 4(수장구, 부장구, 종장구, 끝장구)·버꾸 8·소고 8·쇄납 1·가장 4(양반 광대, 포수, 각시, 화동)로 편성된다. 쇠가락에는 길굿·다드래기·사방굿·덧뵈기(늦은 삼채)·빠른 덧뵈기(자진 삼채)·마침굿가락·빠른 마침굿가락·마당굿가락·자진 마당굿가락이 있다. 지신밟기를 할 때는 먼저 당산굿(앞뜰에 기를 세우고 젯상을 차린 다음 굿꾼들을 모으기 위한 모듬굿을 침. 기제·길굿을 치면서 당산으로 가 이열횡대로 서서 당을 향하여 세 번 절한 다음 제자리에서 동서남북으로 절하고 지신밟기를 행함을 고함)을 치고 공동 우물에 도착하여 샘굿을 친 후 집돌이에 들어간다. 지신은 문굿·성주굿·조왕굿·장독굿·용왕굿·정랑굿(변소)·점방굿 순서로 밟는다. 판굿은 모듬굿·길굿·인사굿·맞춤굿·문굿·오방진·승전굿·마당굿·영산다드래기·호호굿·우물굿·농사굿·'ㄷ'자 대열의 풍년굿·소고놀음·개인놀이(쇠꾼의 상모놀이버꾸놀음장구춤대북춤열두발 상모 돌리기)로 구성된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농악.사물놀이
-
부산농악 - 부산시 무형문화재 제6호
-
-
경기굿 -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 경기지역의 성주굿 음악을 재국성한 무대로, ‘당악’과 ‘대취타’를 시작으로 신을 청하기 위해 부르는 무가 ‘청배’, ‘가래조’ 그리고 재복과 집안은 평안을 기원하는 ‘대감거리’를 서울, 경기음악 특유의 경쾌하고 섬세한 가락으로 표현한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굿.무악.종교
-
경기굿 -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
-
국립부산국악원 2017 새해맞이 굿시리즈 '동해안별신굿'
- 국가무형문화재 제 82-1 호 동해안별신굿동해안별신굿은 동해안의 어촌 마을에서 마을의 수호신을 모시고 마을의 평화와 안녕, 풍요와 다산, 배를 타는 선원들의 안전을 빌기 위해 무당들을 청해다가 벌이는 대규모 굿이다. 풍어제, 풍어굿, 골매기당제라고도 하는 동해안 별신굿은 1년 또는 2~3년마다 열린다. 굿은 집안 대대로 굿을 해 온 세습무당이 하며, 부정굿·골맥이청좌굿·당맞이굿·화해굿·각댁성주굿·천왕굿·심청굿·손님굿·황제굿·부인곤반굿·용왕굿·꽃노래굿·대거리굿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굿을 하는 시기는 마을마다 다르나 대체로 3∼5월, 9∼10월 사이에 주로 거행되며 굿청의 장식이 화려한데 비해 무당들이 입는 의상은 비교적 소박하다. 동해안별신굿은 굿에서 추는 춤이 다양하고 익살스런 대화와 몸짓 등 오락성이 강하다. ▶ 자료 출처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굿.무악.종교
-
국립부산국악원 2017 새해맞이 굿시리즈 '동해안별신굿'
-
-
조갑용의 성주굿과 신모듬 공연
- ▶조갑용 프로필 ▶이부산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농악.사물놀이
-
조갑용의 성주굿과 신모듬 공연
-
-
영남성주굿 (성주풀이) - 조갑용
- 성주굿을 위한 국악관현악 소리 및 꽹과리/조갑용 (강원도립예술단 제18회 국악관현악 정기공연) 조갑용의 영남성주굿은 영남의 독특한 소리 목으로 불러지고 있으며 그 맛은 곰삭아 감칠맛이 배어 있다.또한 소리의 흐름은 빠르면서도 조절되고 흥겨우면서도 억제되며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흥을 돋구어 내게 만드는 묘미가 있다. 양종승 (민속학박사,국립민속박물관 전문위원)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성악)
- 성악 기타
-
영남성주굿 (성주풀이) - 조갑용
-
-
동해안별신굿 - 1994년 영상
- 국가무형문화재 제 82-1 호 동해안별신굿동해안별신굿은 동해안의 어촌 마을에서 마을의 수호신을 모시고 마을의 평화와 안녕, 풍요와 다산, 배를 타는 선원들의 안전을 빌기 위해 무당들을 청해다가 벌이는 대규모 굿이다. 풍어제, 풍어굿, 골매기당제라고도 하는 동해안 별신굿은 1년 또는 2~3년마다 열린다. 굿은 집안 대대로 굿을 해 온 세습무당이 하며, 부정굿·골맥이청좌굿·당맞이굿·화해굿·각댁성주굿·천왕굿·심청굿·손님굿·황제굿·부인곤반굿·용왕굿·꽃노래굿·대거리굿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굿을 하는 시기는 마을마다 다르나 대체로 3∼5월, 9∼10월 사이에 주로 거행되며 굿청의 장식이 화려한데 비해 무당들이 입는 의상은 비교적 소박하다. 동해안별신굿은 굿에서 추는 춤이 다양하고 익살스런 대화와 몸짓 등 오락성이 강하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굿.무악.종교
-
동해안별신굿 - 1994년 영상
-
-
동해안별신굿 中 성주굿 - 국가무형문화재 제 82-1호
- 김석출·김유선·김용택·김영숙·정채란·김정희·김용업·오택근·김금자 명인 일행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굿.무악.종교
-
동해안별신굿 中 성주굿 - 국가무형문화재 제 82-1호
국악인프로필 검색결과
-
-
조갑용 - 농악, 풍물놀이
- ☆ 조갑용 프로필 (1953년 부산 출생) 사진 전공ㅣ분야 농악, 풍물놀이 수련과정ㅣ학력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최고지도자 과정 졸업 국가무형문화재 제11-가호 진주 삼천포농악 전수조교 활동 경력 국립국악원 사물놀이 수석 역임한국문화정책연구소 이사수원대학교 겸임교수서울예술대학, 경찰대학 출강 현재 경기도립국악단 타악 악장 수상 경력 1977년 전주대사습놀이 농악부 장원 1985년 전국농악경연대회 대통령상 홈페이지ㅣSNS 다음카페 ▶ http://cafe.daum.net/jklsamool 동영상 보기 http://youtu.be/kd_lBHNhpH4 [영남성주굿] 기타 일곱가지 기예를 두루 섭렵한 만능 음악인으로 영남 풍물놀이 부분에 독보적인 존재이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조갑용 - 농악, 풍물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