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국악정보 검색결과
-
-
[KBS국악한마당 방송안내] 4월 1일 (土) 오후 12시 10분 (이선희,박자연,백나현,김보연,김리한,나선진,정준호,이성준 등 출연)
- ● 남도잡가<흥타령, 육자배기> 이선희 박자연 백나현 거문고/ 나선진 반주/ 이음회 ● 판소리<춘향가 中 하루 가고 이틀 가고>이선희고수/ 정준호● 입체창<춘향가 中 농부가~박석고개 대목>이몽룡/ 이선희농부들/ 박민정 박자연 백나현 홍서영 김미성반주/ 이음회● 경기민요<사철가, 태평가, 양산도>김보연 박영희 김리한반주/ 이음회● 이성준 구성 이아민 편곡선소리산타령 <앞산타령, 자진산타령>김보연대금/ 이성준 25현가야금/ 김나영● <서울굿 中 부정거리>김보연 박기량반주/ 이음회● 경기민요<창부타령>김보연 이선희반주/ 이음회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KBS국악한마당 방송안내] 4월 1일 (土) 오후 12시 10분 (이선희,박자연,백나현,김보연,김리한,나선진,정준호,이성준 등 출연)
-
-
국립국악원, 종묘제례악 국내 최초 전막 순회공연 시작해 하반기 해외로 무대 옮겨
- 국내로, 해외로… 국립국악원, 종묘제례악 국내 최초 전막 순회공연 시작해 하반기 해외로 무대 옮겨 세종, 서울, 대전, 대구, 울산 등 5개 도시, 헝가리‧폴란드로 관객 만나는 종묘제례악□ 국립국악원이 오는 3월 11일(토) 세종시 공연을 시작으로 국가무형문화재 ‘종묘제례악’을 국내외에 널리 알린다.□ 국립국악원(원장 김영운)은 최근 파리와 독일 등 해외 관객의 호평을 잇달아 받은 종묘제례악을 많은 국민도 접할 수 있도록 연중 총 5개 도시의 순회공연을 진행하고, 오는 9월에는 폴란드와 헝가리 공연으로 해외 관객을 만날 예정이다.국내 5개 지역 극장에서 선보이는 종묘제례악, 최초로 전막 국내 순회공연!세종시 비롯해 서울, 대전‧울산‧대구 등 5개 도시 관객 만나쉽고 재미있는 김영운 국립국악원장의 해설로 종묘제례악 친근하게 전해□ 국립국악원이 종묘제례악으로 국내 순회공연을 진행하는 것은 최초로, 오는 3월 11일(토) 세종예술의전당 공연을 시작으로, 6월 14일(수)부터 16일(토)까지 국립국악원 예악당, 7월 7일(금) 대전연정국악원, 7월 15일(토) 울산문화예술회관, 9월 1일(금)부터 2일(토)까지 대구오페라하우스에서 각각 공연을 올릴 예정이다.□ 세종시를 제외하면 광역시급 이상의 도시에서 순회공연으로 진행하며, 순회공연 연주단 규모로는 총 70여 명에 이르는 대규모 공연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아울러 공연의 쉽고 재미있는 이해를 위해 김영운 국립국악원장이 직접 무대에 올라 종묘제례악의 해설과 진행을 곁들여 관객들에게 색다른 배움의 즐거움도 선사할 계획이다.오는 9월 헝가리, 폴란드 극장으로 무대 옮기는 ‘종묘제례악’주헝가리한국문화원 ‘2023 한국문화제’의 주제로 ‘국악’ 선정해 ‘종묘제례악’ 초청해폴란드 국립바르샤바필하모닉홀의 시즌 프로그램으로 ’종묘제례악‘ 선정되기도□ 9월 대구 공연을 마지막으로 국내 순회공연을 마치면 오는 9월에는 헝가리와 폴란드로 무대를 옮겨 동유럽 관객들에게 종묘제례악을 소개한다. 주헝가리한국문화원은 올해 ‘한국문화제’의 주제로 ‘국악’을 선정하고 국립국악원의 ‘종묘제례악’을 초청해 국립국악원은 오는 9월 21일(목) 1,800석 규모의 헝가리 부다페스트 에르켈극장에서 종묘제례악을 선보인다.□ 9월 25일(월)에는 1,200석 규모의 폴란드 국립바르샤바필하모닉홀로 무대를 옮겨 현지 관객을 만난다. 국립바르샤바필하모닉홀은 2015년 쇼팽 국제 콩쿠르에서 피아니스트 조성진이 우승한 장소로 유명한 곳으로, 이번 ‘종묘제례악’ 공연은 국립바르샤바필하모닉홀의 2023-2024 시즌 프로그램으로 선정돼 그 의미를 더한다.찬란하고 고결한 궁중제례의 대표 문화유산 ‘종묘제례악’국내외에 국악의 더 큰 울림 전하기를□ 종묘제례악은 조선 역대 왕들의 신위를 모신 종묘에서 제례를 올릴 때 연주하는 의식 음악으로, 연주와 함께 추는 무용인 일무(佾舞)와 노래 등이 어우러져 악, 가, 무 일체의 전통예술을 담고 있다. 또한, 종묘제례악은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으로 국가무형문화재, 유네스코에 최초로 등재된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그 가치를 국내외로 인정받은 바 있다.□ 국립국악원의 종묘제례악은 먼저 해외 공연 무대에서 큰 호응을 얻어 2000년과 2007년 각각 일본과 유럽지역(독일, 이탈리아)에서 선보여 주목받았다. 2015년에는 해외 공연으로는 최대 규모로 파리 국립샤이오극장의 시즌 개막작으로 전회 매진으로 선보여 큰 관심을 받았으며, 2022년에는 한·독 문화협정 체결 50주년을 기념해 독일 4개 도시(베를린, 함부르크, 뮌헨, 쾰른)의 순회공연을 성공리에 마쳤다.□ 김영운 국립국악원장은 “이번 종묘제례악 공연을 계기로 국내를 넘어서 해외에 국악의 더 큰 울림을 만들어내길 기원한다.”고 밝히며 “전통 문화유산의 소중한 가치가 미래의 희망이 되어 이 시대 국민들의 일상에 살아 숨 쉴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언급했다.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국립국악원, 종묘제례악 국내 최초 전막 순회공연 시작해 하반기 해외로 무대 옮겨
-
-
[KBS 국악한마당 방송안내] 1월 14일 (土) 오후 12시 10분 (이음회,유태평양,이성현,김초아,최민정,고금성,김보연,조요림 등 출연)
- ● <경기시나위> ● <경기시나위> 이음회● <비나리, 성주풀이>유태평양, 이성현, 김기진연희컴퍼니 유희, 이음회● 황해도 무가<명타령, 쑹거타령, 자진쑹거타령>김유리, 김초아, 최민정이음회● 서도민요<연평도 난봉가, 풍구타령>김유리, 김초아, 최민정이음회● <서울굿, 액맥이타령>고금성, 김보연, 윤현숙, 최아림, 김아령이음회✰ 꿈나무한마당● <한영숙류 태평무>조요림 (상신초 4학년)● 황태인 안무<낙화동춘(落花冬春)>황태인, 이도윤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KBS 국악한마당 방송안내] 1월 14일 (土) 오후 12시 10분 (이음회,유태평양,이성현,김초아,최민정,고금성,김보연,조요림 등 출연)
-
-
[祝] 제1회 동아주니어국악콩쿠르, 중등부 성악 이시은, 현악 윤준서 등 4개 부문 금상 9명 등 43명 수상
- “어른이 되면 동아국악콩쿠르에서 상을 타고 싶었는데 동아주니어콩쿠르가 생겨서 생각보다 일찍 꿈을 이루게 됐어요. 너무 기쁩니다.” 올해 처음 열린 동아주니어국악콩쿠르 본선에서 경기잡가 ‘제비가’를 불러 성악 초등부 금상을 수상한 윤지은 양(11·서울태랑초 5년)이 12월 30일 소감을 밝혔다. 동아일보사와 정효문화재단(대표 주재근)이 주최하고 국악방송(사장 백현주)과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사장 김삼진)이 후원한 이번 콩쿠르는 20∼29일 예선을 거쳐 50명이 본선에 올랐다. 서울 서초구 정효아트홀에서 29, 30일 열린 본선에서 각 부문 금상 9명 등 43명이 수상했다. 주요 입상자에게는 독주회와 국악방송 출연 등 특전이 주어진다. 내년 1월 9일부터 콩쿠르 홈페이지(http://www.donga.com/concours/juniorgugak)에서 심사 결과와 심사평을 확인할 수 있다. 본선 연주 동영상은 1월 16일부터 볼 수 있다. 다음은 수상자 명단(장려상 명단은 홈페이지 참조). ◇현악 ▽중등부 △금상 윤준서(16·국립전통예중 3년) △은상 차유진(12·국립국악중 1년) △동상 임예성(15·국립국악중 3년) ▽초등부 △금상 김유림(12·매여울초 6년) △은상 황민경(10·덕송초 4년) △동상 이연두(10·삼미초 4년) ◇관악 ▽중등부 △금상 이규린(15·국립국악중 3년) 허윤진(14·국립국악중 3년) △동상 김단아(15·국립전통예중 3년) ▽초등부 △금상 강나윤(12·부천중앙초 6년) △은상 김태린(12·고양화정초 6년) △동상 이서윤(12·유석초 6년) ◇성악 ▽중등부 △금상 이시은(15·국립국악중 3년) △은상 양준모(13·국립국악중 1년) △동상 이다겸(13·국립전통예중 1년) 김채영(14·국립국악중 2년) ▽초등부 △금상 윤지은 △은상 윤서희(12·심학초 6년) 김가온(12·서울송정초 6년) ◇무용 ▽중등부 △금상 김신희(15·위례한빛중 3년) △은상 정지인(14·계원예중 2년) △동상 주현아(14·영복여중 2년) ▽초등부 △금상 박하현(11·거여초 5년) △은상 최아임(12·오산고현초 6년) △동상 김유이(12·서울언북초 6년) ▶ 해당기사 원문보기
-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
[祝] 제1회 동아주니어국악콩쿠르, 중등부 성악 이시은, 현악 윤준서 등 4개 부문 금상 9명 등 43명 수상
-
-
[祝] 제13회 대한민국 대학국악제 대상에 '사하르' 수상
- 국악 그룹 사하르가 지난 12월 29일 서울 강북구 세종문화회관 꿈의숲 아트센터에서 열린 제13회 대한민국 대학국악제 본선 경연에서 대상을 받았다고 30일 국악제 측이 밝혔다. 대한민국 대학국악제는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열리는 창작 국악 경연대회로 서도밴드, 상자루, 소리꾼 김진아 등 젊은 국악인들을 배출한 대회다. 대상을 받은 사하르는 국악을 바탕으로 다국적 복합장르의 다원 예술을 선보이는 단체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학생들로 구성됐으며 가야금, 해금, 대금, 거문고, 장구 등 국악기 소리와 무용수의 절제된 움직임 등을 더한 작품으로 호평받았다. 금상은 팀 사미로가, 은상은 작당과 TIMY가 받았으며 거문고 앙상블 벗과 팀 일하가 동상에 이름을 올렸다. 대상 수상팀에는 상금 500만 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이 주어진다. ▶ 해당기사 원문보기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祝] 제13회 대한민국 대학국악제 대상에 '사하르' 수상
-
-
[KBS 국악한마당 방송안내] 12월 17일 (土) 오후 12시 10분 (박솔지,신정혜,정지수,이성현,흥청,정신혜,한나예,방영기,고금성 등 출연)
- ♛ 제20회 대한민국 어린이 국악큰잔치 대상 ● <최종실류 소고춤>박솔지♛ 제22회 공주 박동진판소리 명창‧명고대회 판소리 명창부 대상● 판소리<심청가 中 곽씨 부인 유언 대목>신정혜, 고수/ 고정훈♛ 제16회 온나라전통춤경연대회 최우수상● 정재<춘앵전>정지수♛ 제32회 KBS국악대경연 대상● 판소리<춘향가 中 박석고개 넘는 대목>이성현, 고수/ 추지훈♛ 제32회 KBS국악대경연 단체부문 금상● 오채림‧김연희 작사 오채림 작곡창작 판소리를 위한 <제례>흥청♛ 2022 KBS국악대상 무용상● 이정호 작곡 정신혜 안무<무화(舞和)>정신혜❏ 작고 명인 추모- 진주삼천포농악 박염 명인- 제주칠머리당영등굿 김윤수 명인- 선소리산타령 최창남 황용주 명창● 선소리산타령<앞산타령, 자진산타령>방영기, 고금성, 김보연, 윤현숙, 안재현, 김주현, 노우경, 김아령★ 꿈나무한마당● 판소리<수궁가 中 고고천변>한나예 (서울구룡초 6학년), 고수/ 고정훈♛ 2022 Permission to Enjoy K-Tradition 온라인 페스티벌● Black Mood 절정; 絶頂그림(The 林)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KBS 국악한마당 방송안내] 12월 17일 (土) 오후 12시 10분 (박솔지,신정혜,정지수,이성현,흥청,정신혜,한나예,방영기,고금성 등 출연)
-
-
[祝] 제23회 상주전국민요경창대회, 김빛여울 씨 대통령상 수상
- 상주시와 상주문화원 주최로 열린 제23회 상주전국민요경창대회에서 명창부 대상(대통령상)에는 김빛여울(서울 은평구)이 수상의 영예를 차지했다. ▶ 김빛여울 프로필 전국의 유망 국악 신인들을 발굴·육성하여 등용기회를 제공하고 국악인구의 저변확대로 우수한 전통국악을 전승·보전하고자 1999년부터 개최해 왔으며 2015년부터 명창부 대상의 훈격이 대통령상으로 격상됐다.지난 11월 15일 상주문화원에서 열린 민요경창대회에 전국에서 102팀 137명이 참가해 성황을 이뤘다. 이날 일반부 대상(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은 이영미(전남 고흥군), 신인부 장원(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상)은 안종숙 외 9명(경북 상주시), 학생부 장원(경상북도교육감상)은 박소율 외 2명(상주 상산초등 4학년)이 수상하는 등 모두 4개 부문에서 17명이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 해당기사 더보기
-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
[祝] 제23회 상주전국민요경창대회, 김빛여울 씨 대통령상 수상
-
-
[祝] 조순자 가곡전수관장, 제29회 방일영국악상 받는다
- 1994년 국악의 해 기념해 제정된 국악 관련 국내 최고 권위 공로상가곡 분야 첫 선정...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후학 양성 등 공로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이며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인 가곡의 맥을 잇고 있는 조순자(78) 가곡전수관 관장이 국내 국악 관련 상으로는 최고의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방일영국악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 조순자 프로필 방일영국악상은 1994년 국악의 해를 기념해 제정된 공로상인데, 국악의 올바른 전승과 보급에 앞장서서 전통문화 창달에 이바지한 국악인들의 업적을 널리 기리는 것이 목적이다. 이 상은 매년 일생을 국악 분야에 헌신하면서 탁월한 업적을 남긴 1명을 선정해 11월에 발표하고 시상한다. 올해로 29회째를 맞았다. 조순자 관장은 "선정 이유가 우리 전통 가곡이 비인기 종목인데 제가 경상도에 가서도 꿋꿋이 지켜나가고 있으며 제자를 잘 키웠다는 점인데, 지금 이 상을 받게 된 것도 많이 늦은 감이 있다더라"며 심사위원장(한명희·'비목' 작사자)의 말을 전했다. 조 관장은 1944년 서울에서 태어나 1958년 KBS 전신인 서울중앙방송의 국악연구생 2기생으로 선발되면서 국악에 입문했다. 그때가 14세였다. 이후 1951년 설립된 국립국악원에서 이왕직아악부 출신 이주환 선생을 만나 가곡·가사·시조 등을 전수했고 1964년엔 처음으로 일본 공연에서 스승과 함께 이중창을 소화해 국악계의 인정을 받았다. ▶ 해당기사 더보기 1994년부터 방일영국악상을 주최해온 방일영문화재단은 평생 국악 발전에 기여해온 공로를 바탕으로 하되 최근 3년 실적을 중점적으로 평가해 현재 정력적으로 공연 활동을 펼치는 국악인을 수상자로 뽑고 있다. ▶ 방일영문화재단 홈페이지 역대 수상자 만정 김소희(제1회), 만당 이혜구(제2회), 박동진(제3회), 심소 김천흥(제4회), 관제 성경린(제5회), 만당 오복녀(제6회), 양암 정광수(제7회), 석암 정경태(제8회), 낭월 이은관(제9회), 황병기(제10회), 묵계월(제11회), 이생강(제12회), 이은주(제13회), 오정숙(제14회), 정철호(제15회), 이보형(제16회), 박송희(제17회), 정재국(제18회), 성우향(제19회), 안숙선(제20회), 이춘희(제21회), 김영재(제22회), 김덕수(제23회), 이재숙(제24회), 송방송(제25회), 신영희(제26회) , 송순섭(제27회), 김일구(제28회)
-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
[祝] 조순자 가곡전수관장, 제29회 방일영국악상 받는다
-
-
아리랑 창작 100년…명창들을 회고한다 - 11월 12일 민속극장 풍류서 ‘아리랑 명창뎐’
- 아리랑 창작 100년 동안 배출된 명창들을 회고하고 대표적인 아리랑을 감상하는 공연 ‘아리랑 명창뎐’이 오는 11월 12일(토) 오후 5시 서울 강남구 민속극장 풍류에서 열린다. 2022 인류무형문화유산 보조사업 선정작으로 한국문화재재단이 후원하고 (사)서울소리보존회(이사장 남혜숙)가 주최하며 서울소리보존회와 신민요연구회가 주관하는 이번 공연은 일제강점기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활동하며 아리랑 창작에 기여한 예술가들을 소개하며 그들이 남긴 아리랑을 재현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아리랑 전승에 기여한 인간문화재 최영숙 명창을 비롯해 아리랑 실연자연합회 정은하 명창, 서도소리 유춘랑 명창, 원로 소리꾼 유명순 명창 등이 출연해 공연에 의미를 더한다. 첫 번째 무대 ‘신화의 방’에서는 광복 이전 SP 시대를 살다간 아리랑 명창들과 그들이 남긴 아리랑을 만난다. 서도 명창 박월정이 남긴 ‘아리랑집’에 실린 ‘신조아리랑’, ‘진천방촌아리랑’, ‘긴아리롱’ 등은 서울소리보존회 예술단이 다듬이·물허벅 타악으로 재현한다. 신민요 가수였던 이화자의 ‘금강 아리랑’과 장일타홍의 ‘아리랑우지마라’는 서도소리 전공자인 이춘자 명창과 송영옥 명창이 아름답게 편곡해 선보인다. 특히 ‘금강아리랑’은 최정희 명무의 살풀이와 함께 선보인다. 첫 번째 무대의 엔딩은 ‘본조아리랑’ 이전에 가장 인기 있었던 ‘아롱타령’을 보존회 예술단이 흥겹게 표현한다. 두 번째 무대 ‘전설의 방’에서는 광복 후 SP 시대를 거쳐 LP 시대에 많이 활동한 아리랑 명창들과 그들이 남긴 아리랑을 만난다. ‘상주 아리랑’을 만든 김소희, ‘정선아리랑’을 만든 김옥심 등 명창들의 영상이 소개되는데, 김옥심에게 민요를 배운 인간문화재 최영숙 명창이 ‘정선아리랑’을, 중앙대에서 판소리를 전공하는 최보길 소리꾼이 ‘상주아리랑’을 각각 부른다. ‘해주 아리랑’은 천재 소녀 명창 안유빈 양의 소리로 듣는다. 오비취 명창이 만들었으나 잊혔다 김옥심 명창에 의해 다시 빛을 본 ‘제주 아리시리’는 유근순, 홍순옥 두 명창이 재현한다. 마지막 무대는 현재 왕성하게 활동하는 아리랑 소리꾼들이 무대를 꾸민다. 청년 소리꾼인 서도소리의 미래 김초아, 최보길, 안유빈에 이어 원로예술인 유명순, 남혜숙, 최영숙, 정은하, 유춘랑, 최정희, 유근순, 홍순옥 명창이 함께한다. 엔딩은 남혜숙 이사장이 제자들과 함께 아리랑으로 새롭게 각색한 서울 12잡가 ‘방물가’로 장식한다. 전승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울 잡가를 좀 더 쉽고 대중들이 따라부르기 쉽게 하겠다는 바람을 담아 각색했다. 남혜숙 이사장은 “전설적인 아리랑 명창들의 창작 정신을 이어받아 대중들로부터 외면받는 12잡가를 더욱 알릴 목적으로 아리랑으로 각색했다”고 소개하며 “아리랑 정신은 누구도 가지 않은 길에 도전장을 내는 것으로 생각하며, ‘아리랑 명창뎐’은 지난 1백년 동안 우리 소리의 발전을 위해 기꺼이 도전을 내던진 예술인들을 기리고 오마주하는 공연”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이날 공연은 최근 이태원 참사에 대한 애도 차원에서 규모를 대폭 축소해 사전 예약한 소수 관객만으로 진행한다. 공연 실황은 추후 유튜브를 통해 스트리밍 서비스할 예정이다. 공연 문의 (02)353-5525
-
- 국악정보
- 아리랑소식
- 아리랑뉴스
-
아리랑 창작 100년…명창들을 회고한다 - 11월 12일 민속극장 풍류서 ‘아리랑 명창뎐’
-
-
한국의소리 세계에 울려 퍼지다 - 관현맹인전통예술단 ‘FIFA 카타르 월드컵’ 초청…경기장에서 총 8회 공연
- 관현맹인전통예술단(단장 최동익)은 세계의 축제 ‘2022 FIFA 카타르 월드컵’에 초청을 받아 한국의 소리를 세계에 들려줄 예정이다. 카타르 월드컵 측은 한국 경기가 있는 11월 24일, 11월 28일, 12월 2일에 한국을 대표하여 관현맹인전통예술단의 공연을 요청하였다. 관현맹인전통예술단은 궁중음악기관인 장악원 소속의 시각장애인 악사들에게 관직을 주며 지원한 세종대왕의 관현맹인(管絃盲人) 제도를 계승한 단체로 2011년 3월, 국가 문화재현 사업의 일환으로 창단하여 올해로 창단 11주년을 맞이했다. ▲ 2022년 한국베트남 수교30주년 기념공연 관현맹인전통예술단은 매년 100회 이상의 국내 공연을 진행하고 있으며,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공연 또한 활발히 펼치고 있다. 2014년 미국 뉴욕 카네기홀에서 공연을 진행했으며 2019년에는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과 3.1운동 100주년 기념공연으로 다시금 카네기홀 무대에 섰다. 또한 호주 시드니 오페라하우스 공연과 캐나다 토론토 Vaughan City Hall 공연, 몽골 국립오페라극장에서의 제11차 ASEM 정상회의 기념 공연 등의 해외 공연을 성공리에 마쳤다. 또한 한중일 3개국 연합 비대면 공연과 한중베 연합 비대면 공연을 기획하며 과거 전쟁으로의 아픔에서 화해와 번영을 바라는 희망의 공연을 펼침으로써 감동을 전하였다. 2022 FIFA 카타르 월드컵 초청공연은 총 8번의 공연으로 진행된다. 11월 24일(목) 1차 공연 14시05분~14시24분, 2차 공연 18시~18시15분, 11월 28일(월) 3차 공연 14시05분~14시24분, 4차 공연 14시30분~14시45분, 5차 공연 18시~18시15분, 12월 2일(금) 6차 공연 16시~16시15분, 7차 공연 16시50분~17시05분, 8차 공연 20시~20시15분 까지 총 8번의 공연이 진행된다. 공연 장소는 대한민국 대표팀 경기장(Education City Stadium) Last Mile Fan Zone에서 펼칠 예정이다. 공연곡은 수제천, 타악합주_아름다운 도전, 범 내려온다, 배띄워라, 취타, 산책, 아리랑, 진도아리랑, 新천년만세, 염불도드리로 총 10곡을 준비하여 우리 국악의 아름다움을 세계에 펼칠 예정이다. 이번 공연은 문화체육관광부와 서울시의 지원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공연 영상은 ‘관현맹인전통예술단 유튜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한국의소리 세계에 울려 퍼지다 - 관현맹인전통예술단 ‘FIFA 카타르 월드컵’ 초청…경기장에서 총 8회 공연
공연소식 검색결과
-
-
[창작판소리 공연] 4월 11일~19일 국립정동극장 세실 - 창극 법정드라마 '흥보마누라 이혼소송 사건' (김율희,한진수,전태원,이재현,김보람 출연)
- 1. 공연명 : 창극 법정드라마 '흥보 마누라 이혼소송 사건' 2. 장소 : 서울 국립정동극장 세실 ▶ 지도보기3. 날짜 : 2023년 4월 11일~19일4. 시간 : 월-금 19:30 / 일 15:00 (토요일 공연 없음) 5. 티켓료 : 일반석 20,000원6. 문의 : 02-751-1500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김율희,한진수,전태원,이재현,김보람 등
-
- 공연소식
- 서울
-
[창작판소리 공연] 4월 11일~19일 국립정동극장 세실 - 창극 법정드라마 '흥보마누라 이혼소송 사건' (김율희,한진수,전태원,이재현,김보람 출연)
-
-
[국악공연] 4월 11일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 이아름 여창가곡 한바탕 '녹음방초'
- 1. 공연명 : 이아름 여창가곡 한바탕 '녹음방초2. 장소 : 서울 서초동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 지도보기3. 날짜 : 2023년 4월 11일 (화요일)4. 시간 : 오후 6시 5. 티켓료 : 전석 10,000원6. 문의 : 02-786-1442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 이아름 프로필
-
- 공연소식
- 서울
-
[국악공연] 4월 11일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 이아름 여창가곡 한바탕 '녹음방초'
-
-
[국악공연] 4월 5일 문화공간 아이원 - 운당풍류 병창전 '최민경의 가야금병창 [이고위감 以古爲鑑]' (고수 김태준)
- 1. 공연명 : 운당풍류 병창전 '최민경의 가야금병창 '이고위감(以古爲鑑)'2. 장소 : 서울 금천구 문화공간 아이원 ▶ 지도보기3. 날짜 : 2023년 4월 5일 (수요일)4. 시간 : 오후 7시 30분 5. 티켓료 : 전석 20,000원 6. 문의 : 02-3286-0077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가야금병창 ▶ 최민경 프로필, 고수 김태준
-
- 공연소식
- 서울
-
[국악공연] 4월 5일 문화공간 아이원 - 운당풍류 병창전 '최민경의 가야금병창 [이고위감 以古爲鑑]' (고수 김태준)
-
-
[무료 국악공연] 3월 25일 국립국악원 - 비내림국악관현악단 제5회 정기연주회 '원천' (지휘 이용탁, 민요 강효주, 판소리 정보권)
- 1. 공연명 : 비내림국악관현악단 제5회 정기연주회 '원천' 2. 장소 : 서울 서초동 국립국악원 예악당 ▶ 지도보기3. 날짜 : 2023년 3월 25일 (토요일)4. 시간 : 오후 5시 5. 티켓료 : 전석 무료초대6. 문의 : 010-2384-9986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이용탁, 강효주, 정보권
-
- 공연소식
- 서울
-
[무료 국악공연] 3월 25일 국립국악원 - 비내림국악관현악단 제5회 정기연주회 '원천' (지휘 이용탁, 민요 강효주, 판소리 정보권)
-
-
[경기민요 공연] 3월 11일 서울 국립극장 해오름 - 설립자(設立者)들 그리고 이춘희
- 주최 이춘희 주관 이춘희. (사)한국전통민요협회 후원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국악방송예술감독 이춘희 연출 이희문 유현진 기획 김주현 진행 채수현 최수안무대감독 김상엽 무대디자인 이지형 음향디자인 장태순 조명디자인 신동선 영상디자인 오재우 포스터디자인 위원더그룹티켓 국립극장 티켓 R석 5만원 S석 3만원 설립자(設立者)는 기관이나 조직체 따위를 새로 만들어 세운 사람을 말한다. 이번 공연은 조선 초 후기와 일제강점기, 해방 이후 근·현대를 거쳐 오늘날 경기소리의 맥이 이어질 수 있게 한 경기소리의 장본인들 조선 제26대 왕 고종 시절 가무별감 박춘재, 중요무형문화재 제19호 경기 선소리 산타령 이창배, 중요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안비취 이 세분의 <설립자‘들’>을 기리고 전승의 기반을 다지는 한편, 현재 가장 활발히 활동하는 57호 경기소리 예능보유자 단성 이춘희 명창 외 김혜란, 이호연, 김영임 명창 그리고 경기소리의 미래를 이어갈 차세대 소리꾼들이 함께 하면서 미래 경기소리의 향방을 짚어보는 데 큰 개요가 있다. 1) 출연진-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예능보유자 이춘희- 서울시무형문화재 제44호 삼현육각 예능보유자 최경만-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전승교육사 김영임, 이호연 -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이수자 서정화, 강효주, 권정희, 이희문, 전영랑, 최정아, 안재현, 채수현, 이덕용, 이은혜, 이미리, 최주연. 성슬기, 정유나, 이소연, 김미수, 김소희(A), 장하리, 김민정, 최수안, 천혜인, 김소희(B), 정유정, 연은지-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전수자 조원석, 이채현, 남경우, 양진수. 조영림, 이능경, 문도희, 최윤희, 왕희림, 김은희, 김도은, 김민지, 김보미, 김사랑, 김연서, 김연진, 김원주, 김주연, 김지민. 김혜진, 김효슬, 김희서, 엄지, 윤세연, 이예진, 이우승, 이지은, 이채은, 제현정, 최예림, 홍재민, 홍주현-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부수석 거문고연주자 및 작곡가 이재하 - 전통음악집단 샛 (대표 및 장단:이민형, 대금:변상엽, 피리:이찬우, 해금:김승태, 가야금 추현탁)
-
- 공연소식
- 서울
-
[경기민요 공연] 3월 11일 서울 국립극장 해오름 - 설립자(設立者)들 그리고 이춘희
-
-
[국악공연] 2월 26일 서울돈화문국악당 - 소리꾼 김율희 '완창판소리 강산제 심청가'
- 1. 공연명 : 김율희 '완창판소리 강산제 심청가'2. 장소 : 서울돈화문국악당 ▶ 지도보기3. 날짜 : 2023년 2월 26일 (일요일)4. 시간 : 오후 2시 5. 티켓료 : 전석 20,000원6. 문의 : 02-3210-7001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 김율희 프로필. 고수 이준형
-
- 공연소식
- 서울
-
[국악공연] 2월 26일 서울돈화문국악당 - 소리꾼 김율희 '완창판소리 강산제 심청가'
-
-
[국악공연] 2월 23일 서울돈화문국악당 - 거문고연주가 강태훈 '역량과 경계'
- 1. 공연명 : 거문고연주가 강태훈 '역량과 경계'2. 장소 : 서울돈화문국악당 ▶ 지도보기3. 날짜 : 2023년 2월 23일 (목요일)4. 시간 : 오후 7시 30분 5. 티켓료 : 전석 20,000원6. 문의 : 02-3210-7001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 강태훈 프로필, 사회 남성훈, 이예희, 이정은, 김태준, 함동우, 황정현
-
- 공연소식
- 서울
-
[국악공연] 2월 23일 서울돈화문국악당 - 거문고연주가 강태훈 '역량과 경계'
-
-
[공연정보] 2월 14일 서울돈화문국악당 - 최혜림의 아쟁 WITH 양승환
- 1. 공연명 : 최혜림의 아쟁 WITH 양승환2. 장소 : 서울돈화문국악당 ▶ 지도보기3. 날짜 : 2023년 2월 14일 (화요일)4. 시간 : 오후 7시 30분 5. 티켓료 : 전석 20,000원6. 문의 : 02-3210-7001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아쟁연주가 ▶ 최혜림 프로필
-
- 공연소식
- 서울
-
[공연정보] 2월 14일 서울돈화문국악당 - 최혜림의 아쟁 WITH 양승환
-
-
[국악공연] 2월 11일 서울남산국악당 크라운해태홀 - 진도씻김굿 완판공연 '송순단 무가 Ⅱ'
- 1. 공연명 : '송순단 무가 Ⅱ'2. 장소 : 서울남산국악당 크라운해태홀 ▶ 지도보기3. 날짜 : 2023년 2월 11일 (토요일)4. 시간 : 오후 3시 5. 티켓료 : 전석 30,000원6. 문의 : 1544-1555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진도씻김굿 전수교육조교 송순단 무녀 (송가인 어머니)
-
- 공연소식
- 서울
-
[국악공연] 2월 11일 서울남산국악당 크라운해태홀 - 진도씻김굿 완판공연 '송순단 무가 Ⅱ'
-
-
[공연정보] 2월 3일~5일 아르코예술극장 - 연희공방 음마갱깽 '절대목(大木)'
- 1. 공연명 : 연희공방 음마갱깽 '절대목(大木)'2. 장소 : 서울 종로구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 지도보기3. 날짜 : 2023-02-03(금) ~ 2023-02-05(토)4. 시간 : 금요일 19:30 / 토요일-일요일 16:00 5. 티켓료 : 균일석 30,000원6. 문의 : 02-3668-0007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연희공방 음마갱깽 - 어루만져 음악을 만들고 갱깽 갱깽~ 두드려 오브제를 만드는 창작인형극 단체 (대표 음대진)
-
- 공연소식
- 서울
-
[공연정보] 2월 3일~5일 아르코예술극장 - 연희공방 음마갱깽 '절대목(大木)'
국악동영상 검색결과
-
-
[퓨전국악 동영상] 적월 THE RED MOOn - 에루화 (나영주)
- 에루화 (본명 나영주, 서울예술대학교 한국음악전공 재학) 는 한국의 전통설화 ‘바리공주’ 이야기를 차용하여 가사와 뮤직비디오 시놉시스 등을 구성하였다. 혼란스러움과 외로움, 사랑과 같이 현대 사람들이 자주 접할 수 있는 감정들을 위주로 구상하면서도 전통적인 가사들이나 뮤직비디오 세트, 소품 등을 통해 한국 전통적인 면도 부각하려고 했다.
-
- 국악동영상
- 신국악
- 퓨전(크로스오버)
-
[퓨전국악 동영상] 적월 THE RED MOOn - 에루화 (나영주)
-
-
[국악동영상] 대금연주 '백다솜' - 보이지 않는 (Invisible)
- ▶ 백다솜 프로필 서울돈화문국악당에서 라이브로 펼쳐진 ‘보이지 않는’ 은 현대적이고 실험적인 음악의 창작자이자 연주자인 백다솜의 대금과 정주의 매력을 물씬 느낄 수 있다. 정주는 국악기 중 타악기로 진도씻김굿 등 남도지방 무악에서 쓰이는 금속타악기다. 여음이 길고 맑고 높은 소리가 나며, 근래에 와서는 창작 작품에 자주 활용되고 있다.
-
- 국악동영상
- 신국악
- 창작국악
-
[국악동영상] 대금연주 '백다솜' - 보이지 않는 (Invisible)
-
-
가야금병창 전해옥 - '액막이' (BLOCK OF BAD LUCK)
- ▶ 전해옥 프로필 인류에 COVID-19라는 액운이 엄습하여 많은 이들이 아픔을 겪고 있다. 우리는 이 액을 막기 위해 대한민국의 중심인 광화문에 첫 발을 내딛었다. 우리는 '희망의 전령사'가 되어 서울의 동, 서, 남, 북, 중앙을 돌며 노래와 춤으로 '액막이' 의례를 하였다. "전 세계인들의 평화와 안녕을 기원하며..." [액맥이타령]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성악)
- 판소리.병창.창극
-
가야금병창 전해옥 - '액막이' (BLOCK OF BAD LUCK)
-
-
김성재의 말하자면 - BTS (방탄소년단)
- 故 김성재 - 1972년 4월 18일(서울) ~ 1995년 11월 20일
-
- 국악동영상
- 기타
- 가요
-
김성재의 말하자면 - BTS (방탄소년단)
-
-
[작품 발표] 박종선류 태평소 시나위 With 국악관현악
- 풍물놀이와 연주하는 태평소 시나위를 원곡으로 하여 국악관현악으로 다시 구성해 보았습니다. 원곡 https://youtu.be/w2yr09_QHUg 징의 울림을 6성부로 구성된 화음으로 조직했습니다. 예전부터 징에서 뻗어 나오는, 거의 화음에 가까운 울림을 소리를 분석하고 만드는 작곡가로써 가만히 내 버려 둘 수가 없더군요. 간단한 작업이지만 이 작업을 해 낼수 있는 기술을 완전히 터득할 때까지 기다렸고, 이제야 해 낼 수 있어서 기쁩니다. Composed by Nacco Song copyrightⓒ 2019 All rights reserved by Nacco Song * 이 작품은 서울대학교 예술과학센터에서 개발한 국악 가상악기로 제작되었습니다. http://catsnu.com/Main/Main.aspx This is Korean traditional music. Taepyeongso Sinawi (Taepyeongso is a wind instrument with a tone similar to Trumpet that of Western instruments, and Sinawi is a type of Sonata in Western music) The original piece of this work is played by Taepyeong-so and four percussion instruments (called Pungmul-nori). I reconstructed it into orchestra consist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 The ringing of a instrument called Jing, similar to the Gong of Western instruments, was organized into a chord consisting of six voices.Gong's ringing is so plentiful that it sounds like a huge six-string chord. As a composer who analyzes and makes sounds, I could not leave it as simple ringing of percussion. That's why I wrote this Work. It's a simple task, but I've waited until I've mastered the skills to do this, and I'm happy to be able to do it now. * This work was produced by the Korean traditional virtual instrument developed by Center for Arts & Technolog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ttp://catsnu.com/Main/Main.aspx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시나위
-
[작품 발표] 박종선류 태평소 시나위 With 국악관현악
-
-
산거리 - 서울시무형문화재제34호 '봉화산도당굿'
- 봉화산 자락에 흩어져 있는 신내동·상봉동·중화동·묵동의 전형적 농촌 마을주민들이 함께 정성을 바쳐 지내는 마을굿이다. 원래는 해를 걸러 도당굿을 했으나, 묵동이 갈라져 나간 후 최근 30여 년간은 신내동·상봉동·중화동이 번갈아 맡아 해마다 행하고 있다. 2005년 1월 10일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34호로 지정되어, 전승되고 있다, 현재 봉화산도당굿은 매년 음력 3월 3일에 하는데, 진행순서는 거리부정, 주당물림, 앉은 부정, 불사할머니거리, 가망청배, 진적, 본향, 상산, 별상, 신장, 대감, 산제석, 창부, 군웅, 용신, 대잡이, 뒷전으로 되어 있다. 2005년의 도당굿에서는 진적에 앞서 유교식 제사를 모신 적이 있다.. ▶ 자료 더보기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굿.무악.종교
-
산거리 - 서울시무형문화재제34호 '봉화산도당굿'
-
-
강화외포리곶창굿 - 인천무형문화재 제8호
-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8호. ‘고창굿’이라고도 한다. 원래 이 지역은 한강 이남으로 세습무권이었으나 현재는 서울식 굿을 하는 신들린 무당에 의해 굿이 전승되고 있다. 주로 어업을 하는 정포(井浦)마을과 농사짓는 대정(大井)마을 주민들이 힘을 모아 득제장군을 모시고 마을의 안녕함과 생업의 번창을 위하여 하는 굿이다. 득제장군은 득대장군(得大將軍)이라고도 하는데 문헌상에 나와 있는 장군이 아니어서 자세한 내력은 알 수 없다. 굿이 벌어지는 상산당(上山堂)에는 득제장군과 장군마누라를 가운데에 두고 양옆으로 성주·제석·별상·산신·군웅·도당할머니·대감·창부의 화분을 그려 모시고 있다. 곶창굿은 대개 3년마다 음력 2월 초에 한다. ▶ 자료 더보기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굿.무악.종교
-
강화외포리곶창굿 - 인천무형문화재 제8호
-
-
김죽파제 줄풍류 - 가야금 이슬기, 대금 김정승 , 장구 김청만
- 김죽파제 줄풍류‘영산회상’ 또는 ‘줄풍류’로 알려진 현악 영산회상은 조선 후기 선비들의 풍류방에서 발전되어 오늘날까지 전승되었는데 전승 지역 및 형태에 따라 국립국악원 풍류와 지역 풍류 및 산조 명인의 풍류로 나뉜다. 국악원 풍류는 법금을 사용하며 서울을 중심으로 전승되었고, 여타 지역의 풍류와 산조 명인의 풍류는 산조 가야금을 사용하며 각 지방에서 연주되었다. 가야금의 명인인 김창조(金昌祖), 한숙구(韓叔求)나 그 이후 세대인 한수동, 한성기, 최막동, 심상건, 김윤덕, 성금연에 이르기까지 산조의 명인들은 또한 풍류에도 통달했는데 죽파 역시 산조의 명인일 뿐만 아니라 풍류의 명인으로 당대의 본풍류(다스름~군악)와 뒷풍류(천년만세, 굿거리)를 완벽하게 연주하였다. 죽파는 ‘풍류의 연주수법은 원칙적으로 산조와 동일하나 농현을 깊거나 많이 하지 않아 난잡하지 않게 타야하고 또한 산뜻하게 타야한다’고 하였다. 오늘 연주되는 김죽파제 풍류는 김창조-김죽파-문재숙에게 전승된 풍류 중 ‘다스름-하현(下絃)-염불(念佛)-타령(打令)-군악(軍樂)’과 뒷풍류인 ‘계면(界面)-글게양청(兩淸)-우조(羽調)-굿거리’가 연주된다. ‘非悲非喜(비비비희)’라 하여 인간의 희노애락 어느 한 감정에 치우치지 않고 관조적이고 절제된 시선으로 ‘풍류’를 바라보고자 했던 옛 명인들의 정신을 만날 수 있다. ○ 가야금/이슬기, 대금/김정승 , 장구/김청만 ○ 주최 및 촬영/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
- 국악동영상
- 정악
- 궁정악.풍류
-
김죽파제 줄풍류 - 가야금 이슬기, 대금 김정승 , 장구 김청만
-
-
북천이 맑다커늘 - 유리나
- 유리나 - 국립국악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동 대학원에서 국악작곡/양악작곡 전공, 현재 박사과정에서 전자음악을 연구하고 있다. 북천이 맑다커늘은 김기수에 의해 1967년에 작곡된 노래로 원래 가사는 사랑을 노래한 것이라 하나, 가사를 늘리면서 이별노래로 바꾸었다.
-
- 국악동영상
- 신국악
- 퓨전(크로스오버)
-
북천이 맑다커늘 - 유리나
국악인프로필 검색결과
-
-
이예희 프로필 - 해금연주가
- ☆ 이예희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해금 연주 수련과정ㅣ학력 서울대진여자고등학교 졸업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예술사 졸업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전문사 재학 활동 경력 2018 한국문화의집 KOUS 3인 연주회 ‘첫발, 내딛다’2021 세종문화회관 제26회 전국신인정가악 발표회 <해금가락Ⅱ> 독주2021 국립부산국악원 수요공감 신진예술가 민속악회 흥 ‘고산유수’2021 전통예술원 예술한류 창작인큐베이팅- Karts 앙상블 프로젝트2021 제1회 강릉아트페스티벌 솔숲 콘서트 연주(네이버 TV 라이브)2021 국립극장 ㅊㅊ-하다 페스티벌 넘어-서다 연주2022 이예희 해금 독주회 ‘현의경계’ 아트홀 가얏고을2022 서울돈화문국악당 민속악회 흥- 팔도유람 공연 수상 경력 제33회 동아국악콩쿠르 일반부 해금부문 금상제39회 온나라국악경연대회 해금부문 금상한국예술종합학교 특별포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국악방송 '21c한국음악프로젝트' 앙상블카덴차<회광반조> 은상 홈페이지ㅣSNS https://www.instagram.com/lee_ye_hee [인스타그램]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NZwpNL3WERs [지영희류 긴산조 (장구 김태준]https://bit.ly/3XL6R2a [해금연주가 이예희 유튜브채널]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이예희 프로필 - 해금연주가
-
-
임현종 프로필 - 한국무용가
- ☆ 임현종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한국무용 수련과정ㅣ학력 임이조, 진유림 선생 사사선화예술고등학교 졸업세종대학교 학사 졸업세종대학교 석사 수료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전수자국가무형문화재 제97호 살풀이춤 전수자 활동 경력 2001 임이조 춤인생 47년 '知天命' 출연2002 MBC 국악초대석 출연2004 임이조 춤인생 50년 기념공연 출연2005 어린이 국악한마당 출연2006 뉴욕시티 홀 초청공연 'FALL FOR DANCE FESTIVAL' 개막공연(하늘과 땅)출연2009 '권영심의 우리 춤 상생과 번영을 위하여' 출연2012 광주 엑스포 개막식 초청공연 출연2015 전통공연예술문화학교 대축제 ‘국악 하루’ 안무 및 출연2017 제10회 전북무형문화재 제 38호 호남넋풀이굿 출연2018 평창 문화올림픽 Art on Stage ‘멋’이 중헌디 안무 및 출연2019 선운 임이조의 춤 脈출연2020 풍운을 여는 춤의 여드레 '팔일八佾' 출연2021 Best of Best '병역특례 남성무용가들의 춤판' 출연2022 국악예술 교류전 출연2022 제2회 빛고을 창극제 창무극 춘향&놀보 조안무안양예술고등학교 한국무용 전임교사 역임Lotus Art Company 안무감독 역임퓨전국악팀 창성동131 대표 역임현재 예일국제종합대학 전통무용 전임교수사)한국전통춤연구회 지도위원사)한국춤협회 이사안양예술고등학교 출강 수상 경력 1999 무궁화예술제 전국학생예능대회 <금상>2002 제4회 서라벌 전국학생민속무용대회 <금상>2002 제65회 중앙문화 전국예술제 <금상>2003 제34회 한국무용협회 초등부 무용경연대회 <특상>2004 제6회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전국학생전통무용대회 <금상>2005 제28회 예원학교,서울예술고등학교 전국학생무용경연대회 <특상>2007 순천향대학교 전국학생무용경연대회 <금상>2007 제27회 계원예술고등학교 전국학생무용경연대회 <최우수상>2008 제39회 (사)한국무용협회 무용콩쿠르 <수석상>2008 제11회 국립국악고등학교 전국학생무용경연대회 종합대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2013 제31회 (사)한국무용협회 충북지회 전국대학무용경연대회 <금상>2014 제44회 동아무용콩쿠르 일반부 한국무용 전통부문 <금상>2015 제17회 서라벌전국무용경연대회 대학부 종합대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2018 제16회 전국수리무용콩쿠르 일반부 종합대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2018 IDO WORLD DANCE CUPS Folklore-Adults-Solo 부문 <금메달>2018 IDO WORLD DANCE CUPS Folklore-Adults-Duos 부문 <동메달>2019 제12회 상명대학교 전국무용경연대회 <우수지도자상>2020 제22회 (사)한국국악협회 서라벌 전국학생 민속무용경연대회 <지도자상>2020 제1회 (사)보훈무용예술협회 세종전국무용경연대회 <지도자상> 홈페이지ㅣSNS https://hyunbell.modoo.at [홈페이지]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qM65VuEqzAA [창작무용 사랑가 - 임현종 & 김진희] https://youtu.be/n8tcEBYcNaI [승무] 기타 부친인 ▶ 故 임이조 명무의 사사를 받아 어릴적부터 무용가의 길을 걸어 오고 있으며 초등·중등·고등·대학 등의 강의활동으로 많은 학생들을 양성하고 있다. 또한 한국무용 뿐 아니라 장구, 북과 같은 다양한 타악기 연주가 가능하여 현재 국내·외 문화 장르(무용, 타악 등) 각종 공연 예술 행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급변하는 문화 예술계에 대비하여 미래 지향적 예술 가치관을 가지고 문화 예술로서의 발전과 권익신장을 목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우리나라 국악이 종합 예술로서의 공공성 확장, 아트플랫폼 및 무용예술 활동인으로서의 역할 강화, 한국무용 대중화 등 무용계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표에 두고 있으며 현재 여러 분야 예술, 단체, 대중들과 소통하고 있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임현종 프로필 - 한국무용가
-
-
이지희 프로필 - 가야금연주가
- ☆ 이지희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가야금연주 수련과정ㅣ학력 김상순, 안승훈, 오경희, 김보경, 임은정, 김진경, 김형섭 선생 사사국립국악중학교 및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한양대학교 졸업 및 동대학원 석사과정 수료 활동 경력 現 가야금 4중주단 '라파금' 단원현악앙상블 '일월' 단원한양가야금연주단 단원한국가야금협회 회원제1회 이지희 가야금 독주회 (광흥당)서울돈화문국악당 2017 산조 수어지교2 - 이지희 '年華(연화)의 흔적' 수상 경력 고령 전국우륵가야금경연대회 입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이지희 프로필 - 가야금연주가
-
-
이서윤 프로필 - 해금연주가
- ☆ 이서윤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해금 연주 수련과정ㅣ학력 김성아, 류정연, 이기설, 이은경 선생 사사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이화여자대학교 한국음악과 및 동대학원 졸업이화여자대학교 한국음악과 박사과정 활동 경력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 교환학생, 초청연주서울시청소년국악관현악단 역임현재 강원도립국악관현악단 단원해금연구회 회원 수상 경력 제13회 한밭국악전국대회 찰현부문 대상제45회 영동난계국악대전 전체기악부문 2등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mNfe-QjBTJQ [해금협주곡 추상] 기타 논문 (별곡 -해금선율과 양금선율 비교연구)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이서윤 프로필 - 해금연주가
-
-
박지현 프로필 - 가야금연주가
- ☆ 박지현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가야금 연주 수련과정ㅣ학력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졸업 활동 경력 가야금 거문고 듀오 '리마이더스' 멤버 (박지현, 김민영)가야금 트리오밴드 '헤이스트링' 멤버 (김지효, 오지현, 박지현) 2019·2021 Journey to Korean Music2019 아시아퍼시픽뮤직미팅 APaMM2019·2022 Seoul music week2020·2021 플랫폼창동61 협력뮤지션 선정 수상 경력 제11회 21C한국음악프로젝트 은상 (헤이스트링)2018 청춘만발 올해의 아티스트 선정제1회 젊은국악오디션 단장 대상 (헤이스트링)제15회 복사골국악대제전 전국국악경연대회 명인부 기악1등 홈페이지ㅣSNS https://www.instagram.com/parkjihyun_music [인스타그램]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yhcvFaEOtxk [공진단X아티스트 - 난감한 음악회 가야금 연주가 박지현]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라,마,바
-
박지현 프로필 - 가야금연주가
-
-
선지우 프로필 - 해금연주가
- ☆ 선지우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해금 연주 수련과정ㅣ학력 국립국악중학교 및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졸업 활동 경력 창작국악그룹 '속속곳' 동인현재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단원 수상 경력 2018 제34회 동아국악콩쿠르 일반부 금상2020 제14회 21c한국음악프로젝트 금상 (속속곳)2021 KBS국악대경연 대상 홈페이지ㅣSNS https://www.instagram.com/ji_wooooooooooo [인스타그램]https://www.gugak.go.kr [국립국악원 홈페이지]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rY5zP8qstTo [지영희류 해금산조]https://www.youtube.com/@JiwooSun [유튜브채널] 기타 2022년 9월 국립국악원 최연소 단원으로 창작악단에 입단하였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선지우 프로필 - 해금연주가
-
-
선중규 프로필 - 작곡가, 지휘자
- ☆ 선중규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국악작곡, 지휘 수련과정ㅣ학력 한양대학교 국악과, 작곡과 학사 졸업 한양대학교 대학원 국악학과 석사 졸업한양대학교 대학원 음악학과 박사 재학 활동 경력 한양대학교 겸임교수 역임현재 사단법인 한국음악협회 차장현재 예술기획 담따 대표 수상 경력 2020 KBS국악대경연 작곡부문 은상2018 국악창작곡 활성화를 위한 실내악 공모 작품 선정2018 한국음악상 젊은음악가상2017 제36회 대한민국작곡상 실내악부문 우수상2017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음악분야 차세대 예술가 선정2016 전인평 국악작곡상2016 제32회 동아국악콩쿠르 작곡부문 금상2013 제45회 서울창작음악제 실내악부문 수상2013 한양대학교 공로패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T1CSTa6bIOo [최옥삼류 가야금산조 협주곡 〈확산:현의 울림〉 - 작곡 선중규]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선중규 프로필 - 작곡가, 지휘자
-
-
박소희 프로필 - 가야금연주가
- ☆ 박소희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가야금 연주 수련과정ㅣ학력 국립국악중학교 및 국립극악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졸업 및 동대학원 재학 활동 경력 대학국악축제 서울대학교 60주년 정기연주회 협연 (2019)ARKO한국창작음악제 예술의전당 협연 (2021)현재 국립국악고등학교 및 영재원 강사 수상 경력 2019 제28회 전국우륵가야금경연대회 대학부 대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2021 제30회 전국우륵가야금경연대회 일반부 동상 2021 제19회 구례전국가야금경연대회 일반부 대상 (대통령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REXQKztF0s8 [황호준 작곡 '호접지몽' (가야금 박소희, 징/우드드럼 김인수)]https://youtu.be/C3OCnMSaP-8 [김병호류 가야금산조 (가야금 박소희, 장단 박한결)]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라,마,바
-
박소희 프로필 - 가야금연주가
-
-
김성준 프로필 - 피리연주가, 대학교수
- ☆ 김성준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피리 연주, 대학교수 수련과정ㅣ학력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한국예술종합학교 전문사 한양대학교 음악연주학 박사국가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전수자국가무형문화재 제46호 피리정악 및 대취타 이수자 활동 경력 국립국악원 정악단 단원 역임한국정악원 이사서울문화재단 심의위원한국문화재재단&전통공연예술미래연구원 인류무형유산 모니터위원현) 부산대학교 한국음악학과 교수 수상 경력 동아콩쿠르 일반부 금상 충청북도 교육감 지도자상 홈페이지ㅣSNS https://bit.ly/3gM1Wh4 [부산대학교 한국음악학과 홈페이지]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ad-a7HQuAyo [김성준 피리독주회 - 상령산풀이]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김성준 프로필 - 피리연주가, 대학교수
-
-
김태식 프로필 - 아쟁연주가
- ☆ 김태식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아쟁 연주 수련과정ㅣ학력 대전예술고등학교 음악과 졸업추계예술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졸업단국대학교 대학원 국악학과 석사과정 서울시무형문화재 제39호 한일섭제 박종선류 아쟁산조 전수자 활동 경력 제44회 추계예술대학교 국악과 정기연주회 <아라성> 협연대전연정국악단 협주곡의 밤 <젊은국악> 협연국립극장 오케스트라 <이음> 수석 단원 역임한국문화재재단 <화음> 율객 선정아이원 <후생가외> - 김태식의 아쟁 독주회제4회 선릉아트홀 <불휘깊은소리> 산조전 선정정가악회 산조대학전 추계예술대학교 대표 출연제43회 추계예술대학교 국악과 정기연주회 <백인영류 아쟁산조> 독주아트홀 가얏고을 제3회 2인전통음악축제 선정 수상 경력 제6회 곡성통일전국종합예술대전 명인부 기악 대상제1회 무주 반딧불전국국악대제전 기악 일반부 대상제21회 완산전국국악대제전 일반부 현악 대상 홈페이지ㅣSNS https://www.instagram.com/_kimtae_sik [인스타그램]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aBp3vyfaE3w [2인전통음악축제 - 김진주X김태식 아쟁, 그리고 피리]https://youtu.be/dFKCVHiPPaY [2021 국악대학전 - 산조대학전]https://youtu.be/225lBPbMZP0 [2022 화음(和音) - 율객 대학부 공연]https://bit.ly/3UePwvK [유튜브채널]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
김태식 프로필 - 아쟁연주가
관련사이트 검색결과
-
-
제1회 서울국악축제 ( 2019년 9월6일~ 29일)
- 9월, 모든 국악이 서울에 모인다 ! 서울 국악의 명소에서 펼쳐지는 신명나는 가을 http://www.seoulgugak.com
-
- 관련사이트
- 정보제공
-
제1회 서울국악축제 ( 2019년 9월6일~ 29일)
-
-
해율국악학원
- 서울 강남 도곡동 소재, 국립국악중고 및 대학 국악과 입시전문 관인학원
-
- 관련사이트
- 단체/기관
-
해율국악학원
-
-
한소리국악원 (조성래 원장)
- 서울 방배동 소재, 1980년 9월 설립, 최초로 보급용 플라스틱 단소 개발 https://hansory.modoo.at
-
- 관련사이트
- 단체/기관
-
한소리국악원 (조성래 원장)
-
-
영산양재홀
- 서울 서초구 양재동 소재, (재)영산문화재단에서 운영, 201석 규모의 공연장 http://www.youngsanhall.co.kr
-
- 관련사이트
- 정보제공
-
영산양재홀
-
-
서울시청소년국악단
- 2005년 창단, 국악을 전공하고 있는 30세 이하의 젊은 연주자들로 구성 https://muz.so/서울시청소년국악단
-
- 관련사이트
- 국악인(팀)
-
서울시청소년국악단
-
-
(사) 우리음악연구회 홈페이지 - 김혜란 이사장
- (사)우리음악연구회, (사)강원민요연구원, 서울굿놀이보존회, 한국민요연구회 http://www.woorimusic.com
-
- 관련사이트
- 단체/기관
-
(사) 우리음악연구회 홈페이지 - 김혜란 이사장
-
-
경제시조보존회 다음카페
- 2005년 창단, 서울시 무형문화재 제47호 경제시조보존회 (회장 변진심)
-
- 관련사이트
- 단체/기관
-
경제시조보존회 다음카페
-
-
가야금연주가 오연경 - 페이스북
- 가야금, 양금 연주가 - 서울대 국악과 졸업
-
- 관련사이트
- 기타
-
가야금연주가 오연경 - 페이스북
-
-
서울국악주간 홈페이지
- 10월 둘째 주를 국악주간으로 지정, 서울시 대표 국악 축제 브랜드
-
- 관련사이트
- 정보제공
-
서울국악주간 홈페이지
-
-
정아트엔터테인먼트
- 서울 강남구 신사동에 있는 국악 공연 및 기획사 (대표 이은정) 소개 http://www.jungart.co.kr
-
- 관련사이트
- 국악인(팀)
-
정아트엔터테인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