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5-31(수)

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국악정보 검색결과

  • 제47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 제39회 전주대사습놀이 학생전국대회 (접수 4월 19~5월 10일)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국악세계화연구소에서 운영하는 글로벌 K컬처 플랫폼 '리틀코리아' ▶http://koreanculture.kr 1. 대회명 : 제47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 제39 전주대사습놀이 학생전국대회2. 장소 : 종합본선 - 전북 전주시 국립무형유산원 대공연장3. 일시 : 전국대회 2021년 5월 14일~31일, 학생전국대회 5월 15일~30일4. 주최 / 주관 : 전주시, 전주대사습놀이보존회 / 전주대사습놀이보존회5. 접수기간 : 2021년 4월 19일~5월 10일6. 문의전화 : 063-252-6792, 278-83337. 대회정보 더보기 ▶http://www.jjdss.or.kr/(신청서 다운로드)8. 대회소개 : 민속음악의 본향인 전주에서 전승되고 있는 전주대사습놀이의 효율적인 보존과 유능한 국악예술인 발굴 및 양성, 전도유망한 국악 동량들을 발굴
    • 국악정보
    • 경연대회,공모
    • 광주,전라
    2021-04-14
  • 코로나 계기로…전통문화, 온라인 통해 해외로 알려질까 ?
    최근 코로나19 여파로 박물관과 극장을 찾는 대신 온라인 전시와 온라인공연이 활성화되고 있다. 국립무형유산원과 국악방송은 코로나19로 지친 국민을 위해 온라인 관람객과 만나는 기회를 확장하고 있다. 코로나로 문화계가 침체된 상황이지만, 온라인 관람이 해외에 국악을 알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집콕'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장려되고 있다. 집 밖을 나갈 수 없기 때문에 문화생활을 즐기고 싶은 이들은 온라인 공연을 찾게 된다. 온라인 공연은 때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관람할 수 있어 요즘 재발견이 되고 있다. 통신만 가능하면 그곳이 바로 공연장이 된다. 뭣보다 24시간 상영이 가능한 온라인 공연은 국적을 막론하고 접근이 쉽다. 최근 국내에서는 국악 콘텐츠가 온라인에서 관람객을 맞고 있어 해외 팬들을 위한 소통 창구가 될 지 주목된다. 최근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면서 국립무형유산원은 홈페이지에 '휴(休) 무형유산'을 개설해 무형유산 전승자들의 공연과 전시, 전통 놀이와 공예 등 다양한 무형유산의 진수를 엿볼 영상을 선보이고 있다. 국악방송도 최근 코로나 사태에 치진 국민을 응원하기 위해 온라인 공연을 편성하고 있다. 지난 3월 19일 서울돈화문국악당의 '운당여관 음악회'를 시작으로 공연 생중계를 확대하기 시작해 최근 스타로 부상한 젊은 국악인들을 초대해 온라인 관객과 함께 만들어가는 참여형 공연도 오는 25일까지 이어간다. 공연 생중계는 국악방송 유튜브와 페이스북 라이브를 통해 시청할 수 있다. ▶ 해당기사 더보기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20-04-20
  • 여름 휴가지에서 만나는 국가무형문화재 8월 공개행사
    ▼ 국가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 밀양백중놀이, 가곡, 악기장 등 총 7종목 공개행사 열려 - 국가무형문화재의 보전과 진흥을 위해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김연수)이 지원하는 국가무형문화재 8월 공개행사가 전국 각지에서 펼쳐진다. ▶ 국립무형유산원 홈페이지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는 국가무형문화재의 대중화와 전승 활성화를 위해 매년 종목별로 개최하고 있다. 8월에는 총 7종목의 공개행사(예능 분야 4종목, 기능 분야 3종목)가 예정되어 있어 여름방학과 휴가를 즐기는 이들에게 매주 다채로운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선사한다. 여름휴가의 절정에 이르는 8월 초순에는 부산에서 ▲ 「제80호 자수장」(보유자 최유현, 8.5.~9./부산광역시 부산전통예술관) 공개행사가 진행된다. 자수는 직물 위에 바늘과 오색실을 사용하여 무늬를 놓는 작업을 말하며, 자수를 놓는 기술과 그 기능을 가진 사람을 ‘자수장’ 이라고 한다. 이번 공개행사에서는 최유현 보유자의 작품전시와 함께 전통 자수기법 시연이 진행된다. 아름답고 정교한 자수 작품 속에서 장인의 정성과 인내, 전통공예의 가치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창원에서는 ▲ 「제30호 가곡」(보유자 조순자, 8.8./경상남도 창원시 가곡전수관) 공개행사 ‘가곡의 시김’이 진행된다. 가곡은 시조시(우리나라 고유의 정형시)에 곡을 붙여서 관현악 반주에 맞추어 부르는 우리나라 전통음악이다. ‘시김’이란 화려함이나 멋을 더하기 위해서 음을 꾸며내는 모양새를 뜻하는 말인데 가곡의 창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다. 이번 공연은 해설과 함께 시김을 선보여 가곡에 대한 이해를 돕고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가곡의 아름다움과 우수성을 뽐내는 자리가 될 것이다. 8월 중순에는 산과 바다 등 아름다운 자연경관으로 유명한 강화도와 경남 밀양에서 공개행사를 만나볼 수 있다. 먼저 강화도에 있는 강화화문석문화관에서는 ▲「제103호 완초장」(보유자 이상재, 8.16.~18./인천광역시 강화화문석문화관) 공개행사가 진행된다. 완초는 우리말로 왕골이라 하는데, 논 또는 습지에서 자라는 풀이다. 강화지역의 완초는 부드럽고 촉감도 좋아 한 줄기를 여러 개로 쪼개 사용하는 섬세한 작업이 가능하다. 순백색의 왕초를 한올 한올 엮어서 화려하고 정교한 무늬를 수놓은 공예품들을 보며 장인의 정성과 솜씨를 느낄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 될 것이다. 경남 밀양시 남천강변에서는 시원한 강바람과 더불어 무더위를 식힐 수 있는 ▲「제68호 밀양백중놀이」(8.17.~18./경상남도 밀양시 남천강변) 공개행사가 진행된다. 밀양 지역에서 직접 농업에 종사하는 농민들이 논에서 김매기를 마칠 무렵인 백중(百中)을 전후하여 농사를 잠시 쉬고 음식과 술을 나누어 먹으면서 흥겹게 노는 놀이를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논매기가 끝나고 호미를 씻어둔다’는 뜻에서 ‘호미씻’으로도 불리는데, 힘차고 개성 있는 놀이형식으로 당시 양반에 대한 상민과 천민들의 애환을 익살스럽게 표현한다. ▶ 해당기사 더보기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19-08-02
  • 2019 '제18회 대한민국 어린이 국악 큰잔치' (접수 7월 31일까지)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대회명 '제18회 대한민국 어린이 국악 큰잔치' 장소 서울 국가무형문화재전수회관 ▶ 지도보기, 한국문화의집KOUS ▶ 지도보기 일시 2019년 10월 19일 (토요일) 주최 / 주관 국립무형유산원 / 한국문화재재단 접수기간 2019년 7월 3일~31일 문의전화 02-3011-1721 대회정보 더보기 ▶ https://bit.ly/308n972 (신청하기) 참가자격 대한민국 어린이(8세~13세)
    • 국악정보
    • 경연대회,공모
    • 서울
    2019-07-03
  • 2019 제24회 '전국대학생마당놀이축제' (접수 6월 27일~7월 4일)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대회명 제24회 전국대학생마당놀이 경연대회 장소 전북 전주시 국립무형유산원 ▶ 지도보기 일시 2019년 8월 15일 (목요일) 주최 / 주관 국립무형유산원 / 한국문화재재단 접수기간 2019년 6월 27일~7월 4일 문의전화 02-3011-1707 대회정보 더보기 ▶ https://bit.ly/2KZUlcz (지원하기) 경연종목 국가 및 시도지정 무형문화재 탈춤·놀이, 농악종목
    • 국악정보
    • 경연대회,공모
    • 광주,전라
    2019-06-19
  • [祝] 국내 국악분야 최고 등용문인 "제45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 폐막, 대통령상은 최영인씨 수상
    국내 국악분야 최고 등용문인 "제45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에서 최영인씨(45)가 영예의 판소리 명창부 장원을 차지했다. ▶최영인 프로필 최영인씨는 6월 10일 국립무형유산원 대공연장에 열린 제45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 본선 판소리명창부 경연에서 판소리 '흥보가' 가운데 '흥보' 대목을 열창해 장원을 차지하며 명창의 반열에 올랐다. 국악계 최고의 등용문인 '제45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 및 '제37회 전주대사습놀이 학생전국대회'가 각 부문별 장원자를 배출하고 지난 7일부터 10일까지 나흘간의 열띤 경연을 마쳤다. 올해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에는 지난해(377명)보다 20% 증가한 442명이 경연에 참여하는 등 역대 최대 규모의 팀이 참가해 열띤 경연을 펼쳤다. 이번 전국대회의 판소리 명창부 장원에게는 최고 영예인 대통령상과 함께 국악계 최고 상금 5,000만원이 수여됐다. ▶ 해당기사 더보기 각 부문 수상자 ◈ 판소리 명창 부문 = ▲ 장원 = 최영인(전북 익산) ▲ 차상 = 최진숙(서울시 강남구) ▲ 차하 = 백현호(인천시 연수구). ◈ 가야금 병창 부문 = ▲ 장원 = 박연하(경기도 화성) ▲ 차상 = 지현아(충북 영동) ▲ 차하 = 이래경(전북 부안). ◈ 기악 부문 = ▲ 장원 = 정동민(서울시 관악구) ▲ 차상 = 강석우(경기도 성남) ▲ 차하 = 정해성(전북 전주시). ◈ 무용 부문 = ▲ 장원 = 김건(인천시 연수구) ▲ 차상 = 한성민(서울시 동대문구) ▲ 차하 = 홍지선(충남 아산시). ◈ 민요 부문 = ▲ 장원 = 채수현(서울시 동작구) ▲ 차상 = 정유정(서울시 동작구) ▲ 차하 = 김리한(경기도 하남시). ◈ 농악 부문 = ▲ 장원 = 이담농악보존회(김해민 = 경기도 동두천시) ▲ 차상 = 한국예술종합학교 한누리연희단(김광수 = 서울시 강북구) ▲ 차하 = 중앙대학교 연희예술타악과(서호석 = 경기도 안성시).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19-06-11
  • 여름의 길목 6월, 전국 각지에서 펼쳐지는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와 함께
    국가무형문화재의 보전과 진흥을 위해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김연수)이 지원하는 국가무형문화재 6월 공개행사가 전국 각지에서 펼쳐진다.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는 국가무형문화재의 대중화와 보존·전승 활성화를 위해 매년 종목별로 개최하고 있다. 6월에는 총 24종목의 공개행사(예능분야 18종목, 기능분야 6종목)가 예정되어 있어 풍성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선사한다. 6월 공개행사는 국가무형문화재 ▲「제43호 수영야류」(6.1./부산광역시 수영민속예술관 놀이마당)와 ▲「제62호 좌수영어방놀이」(6.1./부산광역시 수영민속예술관 놀이마당)의 연합공개행사로 문을 연다. 이 두 종목의 공개행사는 매년 6월 개최되는 수영전통민속예술축제와 함께 진행되어, 부산의 지역적 특색과 사회성이 깃든 민속놀이의 예술성을 직접 느낄 수 있다. ▲「제17호 봉산탈춤」(6.1./서울특별시 중구 국립극장), ▲「제81호 진도다시래기」(6.1./전라남도 진도군 진도무형문화재전수관)도 6월 첫날에 열려 공개행사의 시작을 알린다. 6월에는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국가무형문화재의 공개행사가 국민을 찾아간다. 먼저, 우리나라 전통무술의 하나로, 유연한 동작과 탄력으로 상대방을 제압하고 자기 몸을 방어하는 무술인 ▲「제76호 택견」(6.1./충청북도 충주시 택견원) 공개행사가 열린다. 아울러 ▲「제74호 대목장」(보유자 신응수/6.7./강원도 강릉시 우림목재, 보유자 최기영/6.10./경기도 남양주시 전수교육관) 공개행사와 삶의 희로애락을 음악적으로 표현한 ▲「제5호 판소리」(보유자 송순섭/6.23./전라남도 순천시 순천 낙안읍성 야외공연장) 등 우리나라의 다양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을 접할 수 있다. 현충일에는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을 추모하는 ▲「제50호 영산재」(6.6./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봉원사 영산재 보존도량)가 열린다. 그리고 민속 명절 중 하나인 단오를 맞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이름을 올린 ▲「제13호 강릉단오제」(6.5.∼10./강원도 강릉시 강릉단오장) 공개행사를 비롯하여, 왜적을 무찌른 한장군(韓將軍)의 넋을 기리며 단오굿을 행하는 ▲「제44호 경산자인단오제」(6.7.∼9./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계정숲 일원), 영광군의 민속축제로 400여 년을 이어온 ▲「제123호 법성포단오제」(6.7.∼10./전라남도 영광군 법성포단오제 전수교육관 일원) 등 각 지역의 단오제 행사도 진행된다. 한편, 농번기를 맞아 농경사회 특징과 지역색을 잘 나타내는 ▲「제84-2호 예천통명농요」(6.5./경상북도 예천군 예천통명농요 전수교육관), ▲「제84-1호 고성농요(6.15./경상남도 고성군 고성농요 공연장), ▲「제51호 남도들노래」(6.13./전라남도 진도군 남도들노래 시연장) 공개행사가 개최된다. 예천통명농요는 노래를 메기고 받을 때, 앞소리의 끝과 뒷소리의 앞을 부분적으로 겹치게 불러 이중창적인 효과를 내는 것이 특징이다. 고성농요는 투박하고 억센 경상도 특유의 음악성을 간직하고 있으며, 남도들노래는 향토색이 짙고 가락이 매우 흥겹다. 6월에는 아름다운 창경궁의 야경을 함께 즐길 수 있는 공개행사도 마련된다. ▲「제23호 가야금산조및병창」(보유자 문재숙/6.14./창경궁 통명전), ▲「제45호 대금산조」(보유자 이생강 6.15./창경궁 통명전) 공개행사는 싱그러운 초여름 밤을 우리 가락으로 수놓는 아름다운 시간을 선사할 것이다. ▶ 해당기사 더보기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19-05-29
  • 제45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 제37회 전주대사습놀이 학생전국대회 (접수 5월 30일까지)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대회명 제45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 제37회 전주대사습놀이 학생전국대회 장소 전북 전주시 국립무형유산원 및 한옥마을 일시 전국대회 2019년 6월 7일~10일, 학생전국대회 6월 8일~9일 주최 / 주관 전주시/전주대사습놀이보존회, (주)문화방송/ 전주대사습놀이보존회, 전주대사습놀이조직위원회 접수기간 2019년 5월 9일~30일 문의전화 063-252-6792, 278-8333 대회정보 더보기 ▶ http://www.jjdss.or.kr/ 대회소개 민속음악의 본향인 전주에서 전승되고 있는 전주대사습놀이의 효율적인 보존과 유능한 국악예술인 발굴 및 양성, 전도유망한 국악 동량들을 발굴
    • 국악정보
    • 경연대회,공모
    • 광주,전라
    2019-05-10
  • 은율탈춤, 동래야류 등 온 가족이 함께 즐기는 5월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 안내
    - 은율탈춤, 동래야류, 궁시장 등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행사 열려 - 국가무형문화재의 보전과 진흥을 위해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김연수)이 주최하고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진옥섭)이 지원하는 국가무형문화재 5월 공개행사가 전국 각지에서 펼쳐진다.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는 국가무형문화재의 대중화와 보존·전승 활성화를 위해 매년 종목별로 개최하고 있다. 감사와 사랑이 가득한 5월을 맞이하여 가족들과 함께 소중한 문화유산을 직접 느끼고 경험할 수 있도록 대규모 의례에서부터 전통놀이, 탈춤, 굿 그리고 다양한 전통공예 등 풍성한 공개행사가 진행된다. 먼저 예능 분야로는 등불을 밝히고 부처에게 복을 비는 ▲「제122호 연등회」(5.3.~5/서울 동국대학교, 종로 일원, 조계사 앞) 공개행사가 개최된다. 이번 공개행사는 5월 4일 오후 3시부터 서울 동국대학교 대운동장에서 관불의식을 진행하며, 오후 7시부터 연등행렬이 흥인지문을 거쳐 종로 일원, 조계사까지 펼쳐질 예정이다. 시민들이 함께하는 아름답고 다채로운 등불의 행렬은 전통의 멋과 흥을 느낄 수 있는 축제의 장이 될 것이다. 인천에서는 ▲「제90호 황해도평산소놀음굿」(5.5./인천광역시 동구 화도진공원)과 ▲「제61호 은율탈춤」(5.12./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수봉민속놀이마당) 공개행사도 만나볼 수 있다. 기호 지방과 해서 지방에서 행해졌던 황해도평산소놀음굿은 무당이 소 모양으로 변장하고 농사의 풍년과 장사의 번창, 자손의 번영을 기원하며 노는 굿 놀이다. 황해도 은율 지방에서 전승되어 온 은율탈춤은 단옷날, 석가탄신일 그리고 7월 백중날에 행해지며 약 200∼300년 전에 섬으로 피난 갔던 사람들이 귀향할 때 얼굴을 내놓기 부끄러워 탈을 쓴 데서 비롯되었다고 전해진다. 부산. 경남에서는 ▲「제6호 통영오광대」(5.4./경상남도 통영시 이순신공원 통영예능전수관 앞마당)와 ▲「제7호 고성오광대」(5.4./경상남도 고성군 당항포 관광단지 내 특설무대), ▲「제18호 동래야류」(5.4./부산광역시 동래구 부산민속예술회관 놀이마당) 공개행사가 진행된다. 오광대는 낙동강 서쪽지역의 탈춤을 가리키며, 야류(野流, 들놀음)는 오광대가 바닷길을 따라 수영·동래 등에 전래된 것이다. 야류란 이름은 넓은 들판 같은 곳에서 놀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라고 한다. 경기도와 전북에서는 흥겨운 농악을 만나볼 수 있다. 무동놀이(어른의 목말을 타고 아이가 춤추는 놀이)가 발달된 ▲「제11-2호 평택농악」(5.12./경기도 평택시청 앞 광장)과, 상쇠(꽹과리 제1주자)의 부포놀이와 가락의 기교가 뛰어난 ▲「제11-3호 이리농악」(5.24./전라북도 익산시 국가무형문화재통합전수교육관) 공개행사가 펼쳐진다. 이 밖에도 ▲「제29호 서도소리」(보유자 김경배, 5.11./서울특별시 국가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민속극장 풍류)와 ▲「제95호 제주민요」(5.18./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표선민속촌) 공개행사가 열린다. 국가무형문화재 기능 분야 종목도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여러 지역에서 전통공예의 아름다움을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도록 다채로운 공개행사가 마련되어 있다. 전남에서는 ▲「제31호 낙죽장」(보유자 김기찬, 5.2.~6./전라남도 보성군 보성 봇재홀) 공개행사가 진행된다. 낙죽장(烙竹匠)이란 인두와 대나무를 이용해 장식적인 그림이나 글씨를 새기는 기능과 그 기능인을 말한다. 이번 행사는 김기찬 보유자의 작품 100여 점을 전시하고, 낙죽공예 시연과 함께 체험행사도 즐길 수 있다. 제주에서는 ▲「제4호 갓일」(보유자 장순자, 5.4~6./제주시 갓전수교육관) 공개행사가 열린다. 갓일은 갓을 만드는 기술을 말하며, 이번 공개행사에서는 갓의 둥근 원형 모양의 차양 부분인 양태를 만드는 재료와 제작 도구, 양태와 갓 등 관모 일체가 전시되고, 양태 제작과정을 직접 보고 경험할 수 있도록 제작시연과 양태 엮기 체험에도 참여할 수 있다. 서울에서는 ▲「제38호 조선왕조궁중음식」(정길자 보유자, 5.9.~11./서울특별시 종로구 궁중병과연구원)과 ▲「제38호 조선왕조궁중음식」(한복려 보유자, 5.16.~18./서울특별시 종로구 궁중음식연구원) 공개행사가 진행된다. ‘궁중의궤의 떡’(보유자 정길자) 공개행사에서는 궁중의 잔치기록인 의궤에서 발췌한 잡과병, 잡과밀설기 등을 시연을 통해 배우고 직접 만들어 보는 기회를 가져볼 수 있다. 또한, ‘2019 조선왕조궁중음식 공개행사 궁궐식도’(보유자 한복려)에서는 1719년 진연의궤에 기록된 상차림 전시와 함께 생복어음적과 세면(細麵)을 시연을 통해 배우고 만들어 보는 자리를 마련한다. * 잡과병: 찹쌀로 인절미를 만들어 꿀을 바르고 여러 과일을 합하고 썰어 묻힌 떡 * 잡과밀설기: 멥쌀가루에 여러 과일을 섞고 꿀로 단맛을 낸 고물 없이 시루에 안쳐 찐 떡 * 생복어음적(生鰒於音炙): 조선왕실의 연회에 나오는 전복요리 * 세면(細?): 오미자꿀물에 가늘게 썬 면을 말아 먹는 음식 통도사에서는 부처님오신날을 맞이하여 ▲「제48호 단청장 유병순」(5.10.~12./경상남도 양산시 통도사 사명암) 공개행사가 진행된다. 단청은 청색·적색·황색·백색·흑색 등 다섯 가지 색을 기본으로 하여 궁궐·사찰·사원 등에 여러 가지 무늬와 그림을 그려 장엄하게 장식하는 것을 말한다. 이번 공개행사에서는 단청시연과 함께 다양한 체험행사도 준비되어 있어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을 직접 경험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이밖에도 ▲「제60호 장도장」(보유자 한상봉, 5.17.~5.20./전라남도 곡성군 섬진강 기차마을 초가집), ▲「제109호 화각장」(보유자 이재만, 5.20.~22./인천광역시 남구 인천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 ▲「제47호 궁시장」(보유자 권영학, 5.23.~26./경상북도 예천군 예천문화회관전시관), ▲「제105호 사기장」(보유자 김정옥, 5.25.~27./경상북도 문경시 국가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전시장) 공개행사를 통해 오랜 시간 무형의 가치를 이어온 장인정신과 전통공예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5월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는 가족과 함께 다양한 우리 문화유산의 가치를 느끼고, 전통문화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질 수 있는 즐겁고 유익한 시간을 선사할 것이다.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는 앞으로도 매월 전국 각지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공개행사에 관한 세부사항은 문화재청 누리집(http://www.cha.go.kr, 새 소식)을 방문하거나, 한국문화재재단(☎02-3011-2153)으로 문의하면 일정, 장소 등을 자세히 안내받을 수 있다.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19-05-01
  • 2019 제24회 '전국판소리경연대회' (접수 5월 16일까지)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대회명 제24회 '전국판소리경연대회' 장소 서울 한국문화재재단 내 풍류극장 ▶ 지도보기 일시 2019년 예선 5월 18일, 본선 5월 19일 주최 / 주관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 (사)한국판소리보존회/ (사)한국판소리보존회 접수기간 2019년 4월 16일~5월 16일 문의전화 02-566-9457 대회정보 더보기 ▶ https://bit.ly/2UV1SzD (신청서 다운로드) 참가자격 명창부 일반부 신인부 -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만19세 이상의 남녀, 학생부 - 전국 초, 중, 고등학교 재학생 남녀, 다문화부 - 전국 다문화가정 및 외국인, 장년부 -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만65세 이상의 남녀
    • 국악정보
    • 경연대회,공모
    • 서울
    2019-04-23

공연소식 검색결과

  • 인간문화재 양승희선생님의 '서울 가야금산조기념관 개관 축하공연'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연명 인간문화재 양승희선생님의 <서울 가야금산조기념관 개관 축하공연> 장소 정효아트센터 음악당 날짜 2018-10-28 시간 오후 3시 티켓료 초대권 지참시 입장가능 출연진 양승희, 안숙선, 이춘희, 이생강, 김청만, 김해숙, 민의식, 이지영, 곽은아, 영암어린이가야금연주단, 원주어린이가야금연주단 등 문의전화 02-523-6268 공연정보 더보기 http://goo.gl/c7b1DF 인간문화재 양승희선생님의 <서울 가야금산조기념관 개관 축하공연> 이 10월 28일 정효아트센터 음악당에서 펼쳐집니다!! 양승희 선생님께서는 한국의 소중한 문화자산인 가야금산조의 활성화와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소원하고 전국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가야금산조 교육을 목표로 2018년 10월, 서울 서초동의 정효국악문화재단(이사장 김정석) 정효아트센터내에 가야금산조 기념관과 전수관을 개관하셨습니다.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인간문화재 양승희 선생님의 서울 가야금산조 기념관 개관을 축하하는 명인들의 수준 높은 전통문화예술의 향연이 펼쳐집니다. 인간문화재 이생강, 이춘희, 안숙선, 김청만을 비롯, 김해숙(한예종 교수), 민의식(한예종 교수), 이지영(서울대 교수), 곽은아(이화여대 교수)등 명인들의 축하 무대와 함께 미래 가야금산조의 명창이 되기를 꿈꾸며 배우고 있는 영암, 원주 어린이 가야금연주단과 가야금산조 이수자, 전수자들의 무대로 구성되어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행사명칭 : 서울 가야금산조기념관 및 전수소 개관식 / 축하공연 ○ 행사일시 : 2018. 10. 28(일) 15:00 ~ 19:30 15:00-15:30 개관 기념식 15:30-16:40 1부 공연 (어린이연주단 위주) 17:00-18:30 2부 공연 (인간문화재, 교수 위주) 18:30-19:30 축하 리셉션 ○ 공연장소 : 정효아트센터 음악당 (서울시 서초구 사임당로 18길 52-2) ○ 주 최 : (재)정효국악문화재단, (사)김죽파양승희가야금산조보존회 ○ 주 관 : (사)김창조산조보존회, (사)한국산조학회 ○ 후 원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 한국문화재재단, 서울특별시, 전라남도, 전라남도교육청, 영암군, 고흥곤국악기연구원, 일동제약, 프로비스타 호텔 ○ 입 장 료 : 전석 무료초대 (초대권 지참시 입장 가능) ○ 출 연 진 : 양승희, 안숙선, 이춘희, 이생강, 김청만, 김해숙, 민의식, 이지영, 곽은아, 영암어린이가야금연주단, 원주어린이가야금연주단 등 ○ 스 탭 진 : 총감독/ 양승희 연출/ 전무영 기획/ 고은희 기술감독/ 최수연 진행/ 김지현 ○ 문 의 : 02)523.6268
    • 공연소식
    • 서울
    2018-10-17
  • 국가긴급보호무형문화재 브랜드 공연 '가무별감' - 9월 14일~15일 국립무형유산원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연명 '가무별감 - 가사, 발탈, 줄타기' 장소 전북 전주시 국립무형유산원 중정마당 ▶ 지도보기 날짜 2018년 9월 14일~15일 시간 오후 7시 티켓료 무료초대 (13일까지 신청) 출연진 문의전화 02-3011-2151 신청하기 ▶ http://goo.gl/poSqT1
    • 공연소식
    • 광주,전라
    2018-09-06
  • 2018 이수자뎐 '잠깐 휴식'- 모던가곡 지민아 (8월 25일 전주 국립무형유산원)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연명 2018 국립무형유산원 토요상설공연 ☆ 이수자뎐 '잠깐 휴식'- 가곡 지민아 장소 전북 전주시 국립무형유산원 얼쑤마루 소공연장 ▶ 지도보기 날짜 2018년 8월 25일 (토요일) 시간 오후 4시 티켓료 전석 무료초대 출연진 ▶ 지민아 프로필 / 아쟁 김유나 / 피리·생황 이나연 문의전화 063-280-1500.1501 공연정보 더보기 ▶ https://goo.gl/6egb3Z 프로그램 - 시창 <관산융마>, 이수대엽 <동짓달>, 우락 <산책>, 상사별곡 <이별 恨>, 춘면곡 <오후에 커피>, 태평가 <우리도>, 편수대엽 <피지 못한 꽃>, 권주가 <한잔해>, 우락 <쉼-숲>, 계락 <절로절로>
    • 공연소식
    • 광주,전라
    2018-08-09
  • 다음국악관현악단 제3회 정기연주회 “길을 열었다” - 7월 18일 국립무형유산원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연명 “길을 열었다” 장소 전북 전주시 국립무형유산원 ▶ 지도보기 날짜 2018년 7월 18일 (수요일) 시간 오후 7시 30분 티켓료 10,000원 출연진 ▶ 방수미 프로필 ▶ 신성운 프로필 ▶ 심수현 프로필, 전주판소리합창단 문의전화 010-5807-7907 인터파크 예매하기 ▶ http://goo.gl/opnmn4
    • 공연소식
    • 광주,전라
    2018-07-06
  • 7월~9월 2018 국립무형유산원 토요상설공연 '이수자뎐'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연명 '이수자뎐' 장소 전북 전주시 국립무형유산원 ▶ 지도보기 날짜 2018년 7월~9월 매주 토요일 시간 오후 4시 티켓료 무료초대 출연진 차명희, 이종화, 이관웅, 김정로, 강효주, 지민아 등 문의전화 063-280-1500 공연정보 더보기 ▶ http://goo.gl/ArZM4S
    • 공연소식
    • 광주,전라
    2018-07-03
  • 10월 14일~28일 국립무형유산원 토요상설공연 '명인오마주'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장소 : 전북 전주시 국립무형유산원 얼쑤마루 소공연장 ▶ 지도보기 문의 : 063-280-1500 공연정보 더보기 ▶ http://goo.gl/dcUvbh 10월 14일 오후 4시 무료초대 시원한 소리, 절절한 소리, 여장부 소리 미산(眉山) 박초월(朴初月-1917~1983) ▶▷ 프로그램 추모가 / 소리_ 윤미, 김사랑, 기태희, 김완아, 안소은, 김유진 수궁가 中 범피중류 대목 / 소리_ 조통달, 고수_ 김청만 수궁가 中 여봐라 주부야 대목/ 소리_ 전정민, 고수_김청만 명인대담_ 김명곤 (前 문화관광부장관) 창극 <춘향가 中 어사상봉대목> / 소리_ 조통달, 나경자, 북_ 김청만, 대금_ 장영수, 아쟁_ 김성근 남도잡가 <육자백이> / 소리_ 나경자, 김경숙, 전정민 , 장구_ 김청만, 대금_ 장영수, 아쟁_ 김성근 10월 21일 오후 4시 무료초대 한이 넘치는 소리, 삶의 여정을 12줄에 담은 춤추는 가얏고 소운(昭芸) 함동정월(咸洞庭月-1917~1994) ▶▷ 프로그램 심청가 中 황성가는 대목· 춘향가 中 탄식 / 소리_ 왕서은, 고수_ 김동현 (1930년대 Columbia 레코드 복원창) 가야금병창 <세상사>, <갈까보다> / 소리_ 하선영, 장고_ 김동현 (1930년대 Columbia 레코드 복원창) 가야금산조/ 가야금_ 성애순 외 가야금산조보존회, 장고_김동현 명인대담_ 박재희 (소설 '춤추는 가얏고' 저자) 남도잡가 <육자백이>, <흥타령> / 가야금병창_ 현의 노래 가야금병창단, 장고_ 김동현 10월 28일 오후 4시 무료초대 추월(秋月)은 만정(滿庭)하고 만정(晩庭) 김소희(金素姬_1917~1995) ▶▷ 프로그램 청배(請陪) <혼을 부르다> / 구음_ 정승희, 춤_ 복미경, 징_황상현, 정주_ 김성주 심청가 中 추월만정/ 소리·대담_ 안숙선, 고수_ 정화영 춘향가 中 사랑가 / 음원 victor 레코드(춘향뎐 中 사랑가) 이몽룡 역 _ 김대일, 춘향 역_ 김현주, 기타_ 박석주, 타악_ 황상현 교방굿거리춤과 서예퍼포먼스 / 춤_ 복미경, 서예_ 송동욱 춘향가 中 박석고개 / 소리_ 신영희, 고수_ 정화영 민요 <들국화>, <지경다짐>, <상주아리랑> / 노래_ 김현주, 방수미, 김송, 정승희 반주_ 조옥선, 최형욱, 박원배, 허진, 박지용, 황상현
    • 공연소식
    • 광주,전라
    2017-10-12
  • 전라북도립국악원 관현악단 '가을을 여는 국악콘서트 락' - 8월 30일 국립무형유산원, 9월 16일 군산예술의전당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연명 '가을을 여는 국악콘서트 락' 장소 전북 전주시 국립무형유산원, 군산시 군산예술의전당 날짜 2017년 8월 30일 , 9월 16일 시간 30일-오후 7시 30분, 16일-오후 3시 티켓료 무료초대 출연진 ▶ 이용선 프로필 ▶ 김세미 프로필 ▶ 이동훈 프로필▶ 차복순 프로필 ▶ 박상후 프로필, 바라지 (강민수, 김태영, 이재혁, 정광윤, 조성재) , 동남풍 (꽹과리:조상훈, 장고/박종석, 북:진재춘, 징:이용관) 문의전화 063-290-5531, 063-290-6450 공연정보 더보기 ▶ http://goo.gl/dqBpDX
    • 공연소식
    • 광주,전라
    2017-08-21
  • 전라북도립국악원 창극 '놀보는 오장칠보' - 7월 26일 전주시 국립무형유산원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공연명 : '놀보는 오장칠보'2. 장소 : 전북 전주시 국립무형유산원 얼쑤마루 대공연장 ▶ 지도보기3. 날짜 : 2017년 7월 26일 (수요일)4. 시간 : 오후 7시 30분 5. 티켓료 : 무료초대6. 문의 : 063-290-5531, 063-290-64507. 공연정보 더보기 ▶ http://goo.gl/SYi3vL◆ 출연진 : 조통달, 김세미, 김도현, 장문희, 유재준 등
    • 공연소식
    • 광주,전라
    2017-07-14
  • 전주시 국립무형유산원 토요상설공연 '2017 이수자뎐' (7월 15일~9월 30일)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공연명 : '2017 이수자뎐'2. 장소 : 전북 전주시 국립무형유산원 얼쑤마루 소공연장 ▶ 지도보기 3. 날짜 : 2017년 7월 15일~9월 30일 매주 토요일4. 시간 : 오후 4시 5. 티켓료 : 무료초대6. 문의 : 063-280-15007. 예약하기 ▶ http://www.nihc.go.kr
    • 공연소식
    • 광주,전라
    2017-07-14
  • 국림민속국악원 무용단 정기공연 "舞本(무본)" 11월 30일 전주시 국립무형유산원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공연명 : "舞本(무본)" 2. 장소 : 전북 전주시 국립무형유산원 얼쑤마루 대공연장3. 날짜 : 2016년 11월 30일 (수요일)4. 시간 : 오후 7시 30분 5. 티켓료 : 무료초대6. 문의 : 063-620-2324~8
    • 공연소식
    • 광주,전라
    2016-11-16

국악동영상 검색결과

  • 국가무형문화재 제17호 2017 제70회 정기공연 full 영상
    문화재청에서 봉산탈춤 보존단체로 유일하게 인정하여 매년 공개행사를 개최하고 있는 국가무형문화재 제17호 봉산탈춤보존회의 제70회 기념 정기공연 풀(3시간) 영상입니다. 본 공연은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문화재청에서 의무적으로 개최하여야 하는 공개행사로 2017년도에 문화재청과 국립무형유산원, 한국문화재재단에서 지원금을 지원받아 개최한 공연입니다. 1.길놀이2.고사3.공연 해설(한글, 영어)4.제1과장 사상좌춤5.제2과장 팔목중춤, 법고놀이6.제3과장 사당춤7.제4과장 팔목중놀이, 노장춤, 신장수춤,취발이춤8.제5과장 사자춤9.제6과장 양반춤10.제7과장 미양할미,영감춤11.커튼콜 ▶봉산탈춤보존회 홈페이지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놀이.종합
    2018-04-06

국악인프로필 검색결과

  • 홍석영 - 대금연주가
    ☆ 홍석영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대금 연주 수련과정ㅣ학력 중앙대학교 국악대학 국악관현악과 졸업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이수자 활동 경력 2019 홍석영 대금콘서트 ‘너를 만나다'2020 국립무형유산원 이수자뎐 홍석영의 죽풍당당(사)한국국악협회 서울특별시지회 중랑구지부장 수상 경력 제9회 장흥전통가무악전국제전 일반부 종합최우수상제18회 목포전국국악경연대회 기악 일반부 종합대상 (문화체육부장관상) 홈페이지ㅣSNS http://jngugak.com [한국국악협회 서울특별시지회 중랑구지부 홈페이지]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UkmrFjN-onY [사도OST 꽃이 피고 지듯이]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카,타,파,하
    2021-10-16
  • 김미경 - 가곡 / 공연기획 및 연출/ 배재대학교 행정학과 외래교수
    ☆ 김미경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가곡전공 / 공연기획 및 연출, 문화예술행정 강의 수련과정ㅣ학력 경북대학교 예술대학 국악과 졸업(음악학사-가곡전공)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졸업(공공행정 전공 -행정학석사)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과 졸업(문화예술행정전공 -행정학박사) 논문 : 시도무형문화재 정책의 타당성 분석 -법제도를 중심으로- 논문 : 무형문화재정책및 운영의발전방안 연구 논문 : 중요무형문화재 보호관련 법제 및 정책의 개선방안 활동 경력 외 기타경력 전)대전시립연정국악연구원 상임단원(1988~2000) 전)대전국악관현악단, 오주악단 단무장(2000~2003) 전)세종특별자치시 갈등관리 운영위원(2013~2015) 전)배재대학교 자치여론연구소 연구원 가곡 -국가무형문화재 제 30호 홍원기, 조순자 선생님께 사사 가사 - 국가무형문화재제41호 이양교,김호성, 황규남 선생님께 사사 공연경력 :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홍원기문하생 가곡발표회(1989 한국의집) 무대지원공연공연작품 가무악극"오주악" 조연출(2000 대덕과학문화센터) 중요무형문하재제41호 가사 황규남 문하생 가사발표회 (2014.04.24 가곡전수관 영송헌)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기획공연 "가곡"(2014.05.29 가곡전수관 영송헌)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공개행사 "가집속에 숨은 노래 해동가요" (2014.09.25 가곡전수관)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기획공연 "가곡"(2014.05.29 가곡전수관 영송헌)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공개행사 "자즌한닢-첫째바탕" (2015.08.27 가곡전수관 영송헌) 제9회 천년지기 동금악회 정기공연"천년의소리 지기의향기' 봄 거문고소리에 물들다.(2016.04.24 대전연정국악원 작은마당 ) - 가곡공연 및 거문고병창지도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공개행사"가곡원류-정음바로잡기"(2016.08.18 가곡전수관) 제2회 세종시민과 함께하는 가을 음악회 "왔슈 우리가락 한마당" -공연기획및연출, 공연사회및가곡공연(2016.10.01 세종시 시립고복공원 야외무대) 경운대학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산업단 인문학강의 " 자신의 우주라 생각하고 마음껏 펼쳐보자" -효명세자- (2016.11.18 경운대학교 11호관 101호)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공개행사"가집속에 담아낸 노래와 사람들" (2017.09.14 가곡 전수관 영송헌) 올해의무형유산도시 전주의 무형유산 특별기획공연 "전주에 살판,놀판,날판 났네" -가곡공연 (2017.10.21 무형유산원 얼쑤마당 대공연장) 인남순정재 궁중무용50년 "축화지연무회파"- 정재 창사 (2017.11.22 국립국악원 예악당) 전통음악축제 "영송헌금추야연"-가곡공연(2017.12.09 가곡전수관 영송헌) 사)한국전통가무악연구원 초청 국악공연"풍류"-공연기획 및 해설 (2018.04.26 행정안전부 지방자치인재개발원) 사)한국전통가무악연구원 김천에술고등학교 초청공연"명품 그 새로운 감동" -공연기획 및 해설, 가곡공연(2018.06.14김천예고 금산홀)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공개행사 "자즌한닢 둘째바탕" (2018.08.09 가곡전수관 영송헌) 광복73주년 기념공연 "남북한의 처용무" -창사 (2018.08.15 국립중앙박물관 열린마당) 전통음악축제 "영송헌금추야연" 사)한국전통가무악연구원 초청공연"전통의 미래"-공연기획및 연출, 공연사회 (2018.09.07 가곡전수관영송헌) 무형유산전통공연 에술실무가 가정 작품제작 발표공연 "꿈꾸는 산대" 가곡공연 및 정재 처용무 공연(2018.11.24 국립무형유산원 얼쑤마당) 2019.08.08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 "가곡의 시김" (가곡전수관 영송헌) - 여창가곡 노래 2019.08.23 IN DANCE COMPANY "팔방무인(八方舞人)" ( 민속극장 풍류) - 춘앵전 창사 (영친왕 춘앵전 복원공연) 2019.08.31 ~ 2019.09.03 세종특별자자치시 국제교류 중국 구이져우성 "한국전통가무악연구원 초청 해외공연" - 공연기획 및 총연출, 공연사회, 인솔 2019.09.21 이수자 뎐 "풍류에서 한류를 꿈꾸다" (국립무형유산원 얼쑤마당) - 공연기획 및 연출 및 출연 - 손시김 평조 이삭대엽(버들은.)노래 - 창작곡 신처용, 환계락(사랑을...) 편삭대엽 (모시를...) - 창작곡 신처용 ( 정재 처용무 재해석 현대무용과 함께) 2019.09.18 "2019대전방문의 해 한.중 국제교류 축하공연" (대전광역시 주최 한국전통가무악연구원 공연) - 기획 및 공연사회 2019.11.14 국가무형 문화재 공개행사 "연서(戀書)노래로 전한 편지" (가곡전수관 영송헌) - 여창가곡 노래 2019.11.24 서은미와 전통춤을 "마음모아 나빌레라" (소극장 커튼콜) -공연기획 및 연출, 공연 사회 2019.12.07 궁중정재 "최애화전태 (最愛花前態)의 고궁을 걷다" (국립민속박물관) - 가곡 및 공연사회 2020.08.13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공개행사 "만년장환지곡(萬年長歡之曲)" (가곡전수관 영송당) - 여창가곡 평조 평거(일소백미..), 계면조 평거(초강이...) 2020.09.11 처용무 처용가 여창으로 전장 최초노래 (정효문화재단) * 2019년 신문 및 방송 2019년 5월3일.~6월 28일(총9회) 대전일보 "한밭춘추" 국악칼럼 - 매주 금요일 실림. * 2019년7월3일~31일 (총5주 연속 출연) FM 90.5 대전국악방송 18:00~19:30 <금강길 굽이굽이> 매주 수요일 '라디오 사람책'에 5주 연속 출연, 5주 분량은 매회 20분 출연 라디오 사람책은 다양한 콘텐츠를 갖고 계신 지역 명사초청 전문적인 이야기를 들어보는 코너 첫방송일은 7월 3일 (수)~ 7월 31일이 수요일까지 연속 5주 출연 (방송대본 직접 씀) 기타경력 : 공연예술 음악감독 및 대전, 충북문화재단 심의 및 전국국악경연대회 심사 진주국악원, 대전교원연수원 충남교원연수원 등 강의 다수의 학회발표 토론및 강연 사)한국지역인적자원개발학회 기획조정위원 한국우주전략포럼 이사 사)아름다운우리가곡 이사 사)한국예술문화진흥원 부회장 현)세종특별자치시 갈등관리 운영위원(2018~2020) 현) 한국갈등관리연구원 부원장 현)한국지역인적자원개발학회 교육위원 현) 고려대 ,배재대 외래교수 현) 한국전통가무악연구원 대표 수상 경력 동아국악콩쿨 정가 일반부 동상(1994) 대전시립연정국악원 국악발전유공표창 원장상(1996) 대전광역시 문화예술부문 국악발전유공표창 시장상(1998) 2019.12.18 세종특별자치시 국제문화교류 한국전통가무악연구원 - 세종특별자치시 : 시장표창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기타 자격증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이수자 국가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전수자 문화예술교육사 2급 갈등상담사 2급 기타 1급자격증 - 음악심리상담사, 학교폭력예방상담사, 방과후학교지도사 - 부모교육상담사, 가족상담사, 노인심리상담사, 진로적성상담사 교육이수및 수료증 : 국립무형유산원 2017년 무형유산 공연기획 전문역량 과정 이수 및 수료 2018년 무형유산 전통공연 예술 실무자 입문과정및 실무자과정 이수 및 수료 2019년 무형유산 전수교육 교수역량강화과정 이수 2020년 무형유산 전통공연. 예술 실무자 입문과정 수료 (국립무형유산원장) 2020년 무형유산 교수역량 강화과정 수료 (국립무형유산원장, 전주교육대학교총장)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2019-06-26

관련사이트 검색결과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