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9-22(금)

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국악정보 검색결과

  • 2022 전주세계소리축제 무료공연 사전 예약하세요 (축제기간 9월 16일 ~ 25일)
    전주세계소리축제는 8월 26일 오후 1시부터 무료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관람할 수 있는 입장권 사전예약을 시작한다. ▶ 2022 전주세계소리축제 전체 프로그램 보기 유료공연을 대상으로 한 1차 입장권 판매 개시에 이어 2차는 사전예약제로 운영되는 무료공연을 대상으로 한다. 사전예약 프로그램은 ‘소리프론티어 시즌2’, ‘젊은판소리다섯바탕’, ‘마스터 클래스’ 총 3개 프로그램 11회 공연이 해당된다. ▲소리프론티어 시즌2는 판소리를 활용한 초연작 공모를 통해 선정된 4개 작품 중 실내에서 진행되는 2개 작품 ‘김봉영X김승진 '판소리 드라마 ‘다시 쓴 엽서’'와 ’소리극단 도채비 '도채비 SSUL 적벽대전''을 사전예약제로 운영한다. 9월 17일 오후 6시에 만나볼 수 있는 판소리 드라마 ‘다시 쓴 엽서’는 한 부부의 인생을 사계절 4개의 에피소드에 빗대어 옴니버스 판소리로 선보인다. 9월 20일 오후 7시에 펼쳐지는 ‘도채비 SSUL 적벽대전’은 소리극단 도채비만의 색깔로 풀어낸 적벽가로 남창의 멋과 힘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두 공연은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명인홀에서 열린다. 공연과 지역의 명소를 결합해 공연의 공간성을 확대한 프로그램 중 덕진공원 연화정도서관 연화루에서 마련되는 ▲젊은판소리다섯바탕과 ▲마스터 클래스도 사전 예약을 통해 관람할 수 있다. 9월 17일 낮 12시 30분부터 시작되는 ‘젊은판소리다섯바탕’은 김정훈, 김원기, 김나영, 정윤형, 김주리 다섯 명의 젊은 소리꾼들이 릴레이 형태로 선보이는 판소리 공연으로, 바탕별로 30명씩 예약제로 운영한다. 9월 20일부터 23일까지 매일 오후 2시에 펼쳐지는 ‘마스터 클래스’는 김일구 명창, 배연형 교수, 최동현 교수, 조상현 명창의 강의 및 단가 배우기 수업 등을 통해 판소리의 재미와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을 선사한다. 이 프로그램도 강의별로 30명씩 예약을 받는다. 사전예약제로 진행되는 모든 공연은 8세 이상이면 누구든 예약 및 관람이 가능하며, 사전예약은 나루컬쳐(http://naructure.co.kr)를 통해 할 수 있다. 이 밖에 축제 기간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야외공연장에서는 전통, 현대, 융복합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사전예약 없이 무료로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들도 다채롭게 준비되어 있다. 한편, 지난달 16일 1차로 개시된 총 14개 공연은 ▲개막공연 '백년의 서사' 전주세계소리축제×KBS교향악단 '접점' ▲전주세계소리축제×전북CBS '마에스트로 정명훈 실내악 콘서트' ▲이머시브 가족뮤지컬 '알피 ALPI' ▲어린이 국악극 '우리랑 진도깨비' ▲판소리다섯바탕 '심청 패러독스-방수미×박애리×정상희' ▲안예은 콘서트: 전주 상사화 ▲Bate Fado 바트 파두 ▲Flamenco Reborn 플라멩코 리:본 ▲오늘의 시나위 '방울성, Project.여운' ▲판소리다섯바탕 '춘향가(김세종제) 박지윤' ▲판소리 다섯바탕 '적벽가(박봉술제) 김도현' ▲산조의 밤 '이동훈, 원완철' ▲Two Guitars: 박규희×박주원(feat.박종성)’이다. 모든 유료공연은 인터파크티켓(http://ticket.interpark.com /1544-1555)과 나루컬쳐(http://naructure.co.kr /1522-6278)에서 예매가 가능하며, 자세한 공연정보는 소리축제 공식 홈페이지(http://www.sorifestival.com)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해당기사 원문보기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22-08-31
  • 국립민속국악원 '제4회 대한민국 판놀음' - 7월 6일(수)부터 8월 6일(토)까지 총 10회 공연
    창극과 이 시대 예인들의 축제가 열린다- 춘향문화예술회관에서 창극<춘향전>을 시작으로, 별별창극 8작품,<명불허전>등 총 10회의 공연을 선보인다.- 지리산 소극장에서 매주 목, 금요일 명창들의 완창무대 <소리 판>도 이어져 □ 국립민속국악원(원장 왕기석)은 오는 7월 6일(수)부터 8월 6일(토)까지 춘향문화예술회관, 지리산소극장에서 창극과 명인, 명무, 명창의 무대인 <제4회 대한민국 판놀음>을 개최한다. □ 7월 6일(수) 오후 7시 춘향문화예술회관에서 개막공연으로 국립민속국악원 대표작품인 ‘춘향전-몽룡을 기다리며’가 무대에 오른다. 당대를 대표하는 류기형(연출), 왕기석(작창), 이태백(음악), 채향순(안무)가 제작진으로 참여했다. 이 작품은‘춘향전’의 무게중심을 춘향과 이도령에서 여섯기생(六妓)로 옮겨와서 도전적으로 꾸며낸 작품이다. 육기는 도창으로 참여하여 춘향이 생각하는 평등한 세계를 알려주고 약속을 소중하게 생각하며 진정한 사랑을 추구하는 몽룡을 제시한다. □ ‘별별창극’은 공모를 통해 선정된 민간단체 8개의 창극 작품이 펼쳐지는 무대이다. 참여하는 단체는 중견부터 신예에 이르기까지 전통에 기반을 두고 새롭게 해석해낸 창극에서부터 서양의 고전을 창작 창극으로 꾸민 무대, 그리고 연희창극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7월 9일(토) 창작하는 타루의 ‘두아-유월의 눈’, 13일(수) 문화예술협동조합 섬진강의 ‘가인춘향’, 16일(토) 연희점추리의 ‘백수지왕’, 20일(수) 거꾸로 프로젝트의 ‘3색소리극-흥보가 비하인드 스토리’, 23일(토) 랑커뮤니케이션의 ‘토선생, 용궁가다’, 27일(수) 입과손스튜디오의 ‘판소리 레미제라블’, 30일(토) 아트프랫폼 동화의 ‘광대가 리골레토’, 8월 3일(수) 판소리 앙상블 하랑가의 ‘콜비츠와의 대화’가 공연된다. 공연 시간은 평일은 오후 7시, 토요일은 오후 3시이며, 공연 장소는 춘향문화예술회관이다. □ ‘소리 판’ 무대는 지리산 소극장에서 오후 3시에 개최된다. 오롯이 판소리 완창무대를 감상할 수 있는 무대로 7월 7일(목)은 우정문의 ‘한승호제 적벽가’, 8일(금)은 허애선의 ‘강산제 심청가’, 14일(목)은 유하영의 ‘박초월제 수궁가’ 15일(금)은 서진희의 ‘강산제 심청가’, 21일(목)은 한금채의 ‘강산제 심청가’, 22일(금)은 김송의 ‘김세종제 춘향가’, 28일(목)은 최영란의 ‘동초제 춘향가’, 29일(금)은 김금희의 ‘박초월제 흥보가’ 로 총 8명의 명창의 무대가 열린다. □ 8월 6일(토) 폐막공연은 대한민국의 대표 예인들이 함께 어우러지는 종합무대로 구성되는 최고의 무대이다. 김무길(거문고), 송화자(가야금), 원장현(대금), 한세현(피리), 김영길(아쟁), 이동훈(해금), 정화영(고수)명인이 함께 여는 ‘시나위’연주를 시작으로 안숙선, 김일구 명창의 ‘판소리’, 국립민속국악원 연주단의 기악합주‘걸음마다 꽃이피소’, 문정근, 진유림 명무의‘승무, 살풀이’, 왕기철, 왕기석, 유수정이 꾸미는 판소리 입체창‘흥보가 중 화초장 대목’으로 흥을 돋운다. 마지막 작품은 박양덕, 이난초, 김영자, 유수정, 박애리 명창이 함께하는 남도민요 ‘육자백이, 흥타령, 진도아리랑’ 이다. 반주에는 국립민속국악원 연주단이 참여한다. 공연장소는 춘향문화예술회관이며, 오후 4시에 개최된다. □ <제4회 대한민국 판놀음>은 7세 이상이면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문의 및 예약은 전화(063-620-2329) 혹은 카카오톡 채널(상담원과 대화)을 통해 가능하다.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22-07-05
  • 2021 전주세계소리축제, 8월 20일 1차 유료 공연 티켓 판매 및 무료 공연 사전 예약 시작
    2021 전주세계소리축제(조직위원장 김한, 이하 소리축제)가 오는 20일 오후 1시, 온라인 예매 사이트(인터파크, 나루컬쳐)에서 1차 유료 공연 티켓 판매 및 무료 공연 사전 예약을 시작한다. 유료 공연은 인터파크(http://ticket.interpark.com)에서, 유·무료 공연은 나루컬쳐(https://naruculture.co.kr)에서 티켓 구입 및 좌석 예약이 가능하다. 소리축제 홈페이지에서 공연 정보를 확인하고 티켓 구매 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다. 1차 티켓 오픈 프로그램은 축제의 주요 구심을 담당하는 전통 공연을 중심으로 한다. 무료로 진행되는 ▲판소리다섯바탕 춘향가(방수미/박애리/정상희) ▲흥보가 (김준수/유태평양/정보권)의 경우 사전예약을 통해 좌석 선점이 가능하다. ▲판소리다섯바탕 김세미/수궁가 ▲윤진철/적벽가 ▲송재영, 장문희/심청가 ▲산조의밤‘지순자,강정숙' 은 각 1만원으로 유료 티켓을 구입해야 관람이 가능하다. 춤 예술의 정점을 만나볼 수 있는 두 개의 무용 작품도 준비되어 있다. 한국인의 한(恨)을 전통소리 품바의 선율에 실어 한바탕 신명의 몸짓으로 재해석한 ▲다크니스 품바(안무 김재덕), 전국적으로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젊은 안무가(김보람, 김설진, 이경은)들이 의기투합한 무대 ▲국립현대무용단 ‘HIP合’의 경우 두 개 공연 예약시 40퍼센트 할인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어린이 포함 가족, 친구, 연인이 함께 관람할 수 있는 ▲SNAP meets Sori(미스터리 퍼포먼스 스냅), 올해 소리축제의 유일한 해외공연인 피아졸라 탄생 100주년 기념 ▲아스토르 피아졸라 퀸텟도 티켓 판매를 시작한다. 공연별 티켓 가격 및 정보는 상이하다. ▲ 20주년 특집 개막공연 ‘RE:Origin’, ▲폐막공연 ‘Fever Time’외 ▲소리프론티어 시즌2로 선정된 7개 작품(TALE' 판소리공장 바닥소리 /'풍각쟁이' 소리극단 도채비/‘햄릿 혼잣말’플레이위드 /‘심청:꽃을 든 여인’민속악회 맴돌/‘여기 잠시 머물다, 다시 돌아갑니다’한사코/‘이름’비로소 판소리/‘놀부 FLEX’휠러스), 전북CBS 별빛콘서트(빅마마, 하동균), 선우정아, 강허달림, 하림, 정읍수제천보존회 등의 공연은 오는 30일, 13시부터 2차 티켓 오픈을 통해 사전 예약이 가능하다. 소리축제는 코로나 상황으로 인해 전 공연 좌석의 30퍼센트를 우선 오픈하며 추후 좌석 추가 운영 여부를 결정한다. 특히 야외공연장에서 진행되는 공연은 무대에 마련된 소규모 특설 무대에서 소수의 좌석만 운영될 예정이다. 자세한 공연 정보 및 티켓 안내는 소리축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공연 문의) http://www.sorifestival.com 티켓 예매 및 단체 문의) 1522-6278(나루컬쳐) 인터파크(유료 공연 티켓 예매) (http://ticket.interpark.com) 나루컬쳐(유료 공연 티켓 예매/무료 공연 사전 예약) (https://naruculture.co.kr)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21-08-20
  • '동편제마을 국악 거리축제' 9월 6일~25일 온라인 개최
    현대차 정몽구 재단이 주최하고 한국예술종합학교가 주관하는 예술세상 마을 프로젝트의 ‘제6회 동편제마을 국악거리축제’가 오는 9월 6일부터 25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멀어진 거리, 하나된 소리'를 주제로 진행되는 제6회 동편제마을국악거리축제는 16개의 VOD영상으로 제작돼 ‘예술세상TV' 플랫폼을 통해 제공된다. 현대차 정몽구 재단은 이달 6일 개막하는 이번 동편제마을 국악 거리축제가 네이버LIVE로 진행된다고 1일 밝혔다. 당일 저녁 7시 개막공연에서는 3세대에 걸친 여성 가객 4명의 국악 공연이 열린다. 안숙선 명창과 미스트롯 출신의 송가인, 김영임 명창, 국악소녀 송소희 등이 참여한다. 송가인은 월드뮤직밴드 억스(AUX)의 보컬 서진실, 우리소리 바라지와 함께 특별 공연까지 선보일 예정이며, 송소희는 두 번째 달과의 협업을 통해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민요 공연에 나선다. 개막공연 전 사전 프로그램으로는 전통음악을 현대의 시나위로 풀어내는 '앙상블시나위', 현대 판소리꾼 이나래와 장문희 명창이 공연하는 한낮의 정자마루 콘서트가 오는 6일 오후 4시 네이버 LIVE로 생중계된다. 이밖에도 이달 25일까지 올해 5월 세종문화회관에서 진행된 '김덕수전傳' 공연 VOD와 강은일 해금플러스의 연주 VOD가 업로드된다. 이어 글로벌 국악 명인 명창들을 비롯한 현대차 정몽구 재단의 국악 장학생 고한돌, 김기진, 서의철의 국악 프로그램 VOD도 순차적으로 오픈된다. ▶해당기사 더보기
    • 국악정보
    2020-09-02
  • ‘2019 서울아리랑페스티벌’ 성황리 폐막…3일간 50만여명 참가
    사단법인 서울아리랑페스티벌조직위원회는 서울시와 공동주최한 ’2019 서울아리랑페스티벌‘의 일정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10월 14일 밝혔다. 지난 11일부터 13일까지 3일간 국악, 연희, 대중음악, 퍼포먼스, 체험프로그램, 초대형 퍼레이드 등 아리랑으로 표현 가능한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를 만들어낸 `2019서울아리랑페스티벌`은 서울시 추산 50만여명의 관람객이 방문하는 성과를 거뒀다. 축제 마지막날에 펼쳐진 ‘판놀이길놀이’에서는 국방부 군악대대와 기수단, 지역아리랑보존회 및 풍물단체 등 2000여명이 광화문광장 및 세종대로를 가득 메우고 전통놀이문화인 판놀이와 길놀이를 펼쳤다. 국방부 군악대대의 연주와 대형 전통깃발 60개를 든 기수단으로 시작된 판놀이길놀이는 1500여명의 지역아리랑보존회와 풍물단이 사방신(청룡·백호·주작·현무) 오브제에 맞춰 4개의 그룹으로 나눠 행렬을 이어갔으며, 각 단체별로 1분씩 정지해 개성 넘친 공연을 진행했다. 뒤를 이어 참여한 300여명의 전국아리랑경연대회 참가자들은 단심줄놀이와 강강술래를 선보이며 행렬의 마지막을 장식했다. 이번 판놀이길놀이는 아리랑이 전국적으로 퍼지게 된 계기인 1865년 ‘경복궁 중수공사’를 모티브로 기획돼 각 지역의 아리랑 관련 단체들이 한자리에 모여 교류하고 아리랑 전승의 의미를 되새기는데 중점을 맞춰 진행됐다. 판놀이길놀이 행렬과 함께 행진에 참여한 시민 이재현(49, 서울 압구정동)씨는 “대규모 전통놀이와 공연이 도심 한가운데에서 펼쳐지는 이색적인 모습이 눈길을 사로잡았다”며 “같이 참석한 아이들도 쉽게 접할 수 없었던 국악과 전통놀이를 신기해하며 우리의 문화를 제대로 느낄 수 있었던 자리였다”고 말했다. 한국에 3년째 체류 중인 영국인 크리스 베런(38)은 “아리랑이 왜 유네스코인류무형유산에 지정됐는지 그 이유를 실감할 수 있었다”면서 “기회가 되면 한국의 전통음악에 대해 제대로 배워보고 싶다”고 감탄했다. `2019서울아리랑페스티벌은 지난 11일 개막공연 `광화문, 아리랑을 잇다`를 통해 조선 궁중예술의 진수인 `궁중정재`와 전통 가락과 현대적인 사운드가 결합된 새로운 아리랑을 선보인 `아리랑 슈퍼밴드`의 공연으로 포문을 열었다. 축제 기간 내 진행된 청소년스트릿댄스경연대회, 전국아리랑경연대회로 각양각색의 아리랑 콘텐츠를 발굴했으며, 다양한 전통문화 체험프로그램으로 많은 관람객들의 발길을 붙잡았다. 광화문광장을 뜨거운 음악축제의 현장으로 만든 광화문뮤직페스티벌에서도 이색적인 아리랑이 만들어졌다. 특별히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들로 구성된 록밴드 `탬퍼스더스크`는 진도아리랑을 록버전으로 편곡해 선보였으며, `솔루션스`는 신디팝 사운드로 편곡한 본조아리랑, `딕펑스`는 록버전 강원도아리랑을 관람객들에게 선사했다. 마지막으로 공연한 `다이나믹듀오`는 축제무대 앞을 가득 메운 관객들과 함께 힙합 감성과 DJ의 믹싱으로 편곡된 본조아리랑을 열창해 광화문뮤직페스티벌의 대미를 장식했다. ▶ 해당기사 더보기
    • 국악정보
    • 아리랑소식
    • 아리랑뉴스
    2019-10-15
  • 2019 대학국악축제 - 서울 국립국악원 (10월 15일~29일)
    출연 : 용인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대학교, 중앙대학교, 한양대학교, 수원대학교, 서울예술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단국대학교, 명지대학교 장소 : 서울 서초동 국립국악원 예악당 ▶ 지도보기 개막공연 : 무료초대 10.16(수)~10.29(화) : 각 대학 학과 사무실 ☎ 02-580-3300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19-09-30
  • 국악은 재미없다? 편견 뒤집는 ‘제2회 마포국악페스티벌-온고지신’ (7월4일~8월8일)
    국악은 어렵다는 편견을 깨고 국악의 개성과 가능성을 펼쳐보일 무대 ‘제2회 마포국악페스티벌’이 개막을 앞두고 있다. ▶ 마포국악페스티벌 홈페이지 올해 최대 규모로 펼쳐질 무대에는 5주간 13개 공연 130명의 아티스트들이 참여한다. 명창 김영임을 포함해 국립국악원 정악단, 소리꾼 김준수, 블랙스트링 등 국악 아티스트들을 한 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기회다. ‘온고지신’은 국악의 맛과 멋을 알리고자 만들어진 축제로 2018년 개최된 뒤 올해 2회째를 맞이하게 됐다. 특히 올해 프로그램 공모엔 지난해 보다 두 배 수준인 91개 국악 예술단체와 연주자가 지원하면서 선정 단체를 5개에서 11개 단체로 늘렸다. 이번 단체들은 정통 국악, 일렉트로닉, 폴카, 블루스 등과 접목한 국악 라이브, 판소리 인형극 등 국악의 가능성을 예술로 표현한 작품들을 선보인다. 개막공연은 ‘경계를 넘어’, 폐막공연은 ‘전통에 대한 경외’다. 이 밖에 국악실내악단 다스름, 대한사람, 타악그룹 진명, 더튠, 하윤주, 4인놀이, 긍만고, 실크로드, 뮤직프렌즈, 목성, 윤형욱, 헤이스트링, 그림 등의 무대가 마련됐다. ▶ 해당기사 더보기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19-06-19
  • 정선아리랑제, 민족의 소리 아리랑 ‘ 남과 북·전통과 현대’ 아울렀다
    ‘정선아리랑제 2018’이 전통과 현대의 다양한 문화가 어우러진 대한민국 최고의 아리랑 대축제라는 평가를 받았다. 2018 대한민국 아리랑 대축제,제43회 정선아리랑제&제6회 세계 대한민국 아리랑 축전이 지난 10월 6일부터 9일까지 아리랑의 고장 정선 전역에서 화려한 무대와 프로그램을 선보였다.올해 아리랑제는 동계올림픽을 통해 세계적으로 주목 받은 정선아리랑의 위상은 물론 이후 아라리를 새 시대에 전승할 방법을 찾는 프로젝트 등을 모색했다. 40개 단체가 참여해 12개 부문,48개 행사,64개 종목을 기획되면서 규모도 매머드 급으로 진행됐다.주민과 공연단,외국인 등 1000여명이 참여해 축제 시작을 알리는 ‘아라리 길놀이’와 종합 퍼포먼스로 연출한 뮤지컬 ‘아리 아라리’ 개막공연,국내 무형문화재와 해외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도 한 무대에 올랐다. 또한 2600여명의 자원봉사자들도 성공에 한 몫 했다.올해는 ‘우리 민족의 소리 아리랑,남북 화합의 소리 아리랑’을 주제로 열린 만큼 한반도의 평화는 물론 백두에서 아리랑의 본 고장 정선까지 이어지는 남북 문화교류의 가능성도 타진했다.강원도민일보도 군과 함께 축제 폐막일인 9일 특설무대에서 대한민국 아리랑의 모든 것을 보여주는 ‘천년의 아리랑 정선’ 아다랑 락(樂)락(樂) 특별공연을 선사했다. ▶해당기사 더보기
    • 국악정보
    • 아리랑소식
    • 아리랑뉴스
    2018-10-10
  • 중국 상하이에서 울려 퍼진 '韓'스러운 소리의 향연
    중국 상하이 한복판에서 '천년전북'의 전통 문화예술이 펼쳐져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전라북도 중국사무소와 상하이한국문화원은 지난 9월 15일, ‘제13회 한민족문화제’ 에서 개막공연으로 '상하이·아리랑'을 선 보였으며 17일에는 상해한국학교 재학생들에게 재능기부 등 다채로운 문화교류활동을 펼쳤다. '상하이·아리랑'공연은 중국내 한국단체관광 허가지역의 확대와 한중간 항공노선 재개 등 사드사태 이후 위축돼 있던 한중관계가 완화되는 시점에 '천년 전북'의 전통문화를 소개하고 한중문화 우호관계를 돈독히 하기 위해 기획됐다. 특히, 전북의 전통 문화예술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는 고창농악보존회와 한국판소리보존회의 국악인들이 대거 출연해 판소리와 가야금병창, 풍물, 대금산조, 교방무등 우리 전북만이 가진 고유한 소리의 멋을 선보였다. 15일 오후 3시부터 약 90분간 주 상하이한국문화원에서 펼쳐진 ‘상하이·아리랑’ 공연은 앉은반 형태의 연주곡 '삼도 사물놀이'를 시작으로, 판소리, 가야금병창 등이 이어졌고, 2013년 전라북도 무형 문화재로 지정된 일명 교방무라고 하는 예기무도 공연과 머리에 하얀 꽃모양의 부포를 쓰고 꽹과리 놀이를 하는 부포놀이, 대금산조, 국악가요 등 '韓'스러운 소리의 향연이 이어져 관람객들로부터 뜨거운 박수갈채를 받았다. 300석 규모의 사전 좌석예약제가 조기매진된 가운데 중국 현지에서 추가 입장을 요구하는 사례가 빗발쳐 입석관객도 입장시킨 가운데 진행된 공연장은 그야말로 인산인해를 이뤘다고 한다. 이번 공연을 본 한 중국인관람객은 "미디어로 접할 때 보다 훨씬 강한 소리의 힘과 생동감을 느낄 수 있었다"라고 말하고 "젊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한류'의 빠른 템포의 음악과는 또 다르게 마치 한편의 서사드라마를 본 느낌"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해당기사 더보기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18-09-19
  • 연극 '아리랑고개' 춘강 박승희 선생, 제3회 서울아리랑상 수상자 선정
    2017서울아리랑페스티벌 앞두고 수상자 발표, 한국 근대극 선구자 우리나라 근대극의 선구자로 연극 <아리랑고개>를 만들었던 춘강 박승희 선생(1901~1964)이 제3회 서울아리랑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서울아리랑상은 아리랑의 역사·문화적 가치 발전 및 창조적 확산을 위해 지난 2015년 제정된 것으로 매년 서울아리랑페스티벌을 개최해 온 (사)서울아리랑페스티벌조직위원회가 매년 수상자를 선정해 페스티벌 개막일에 상을 수여하고 있다. 1회 수상자는 아리랑을 국내 최초로 서양식 음계로 채보해 세계에 알린 호머 B. 헐버트 박사(1863~1949)였으며 2회 수상자는 1926년 영화 <아리랑>을 통해 아리랑의 전국적 대중화에 기여한 춘사 나운규 선생이 선정된 바 있다. 박승희 선생은 1923년 극단 토월회를 만든 이래 200여편의 작품을 창작 및 번안 각색했고 180여편의 작품을 무대에 올린 연출가로 활동하며 신극계를 이끈 인물이다. 그의 대표작인 <아리랑고개>는 1929년 11월 1일 조선극장에서 초연된 작품으로 사랑하는 두 청춘의 비극적 이별과 함께 아리랑을 통해 민족의 설움을 알리면서 관객들에게 큰 공감을 얻었다. 나운규의 <아리랑> 이후 연극계에도 아리랑을 소재로 한 작품들이 선보였지만 완성도나 영향력에서 단연 <아리랑고개>가 대표작으로 꼽히고 있다. 시상식은 오는 10월 13일 광화문광장 축제무대에서 막이 오르는 2017서울아리랑페스티벌 개막공연에 앞서 진행되며 충북 음성에 사는 아들 박준서(72)씨가 유족 대표로 상을 받을 예정이다.▶ 해당기사 더보기
    • 국악정보
    • 아리랑소식
    • 아리랑뉴스
    2017-10-10

공연소식 검색결과

  • 9월 16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 2022 전주세계소리축제 개막공연 '백년의 서사'
    1. 공연명 : 2022 전주세계소리축제 개막공연 '백년의 서사' 2. 장소 : 전북 전주시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모악당 ▶ 지도보기3. 날짜 : 2022년 9월 16일 (금요일)4. 시간 : 오후 7시 30분 5. 티켓료 : R석20,000원 / S석10,000원6. 문의 : 1522-6278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소리극단도채비,우도콜렉티브,이아람,황민왕,오정수,박현욱,이창현,디지털시나위,천하제일탈공작소 등 ★ 김창환, 송만갑, 이동백, 김창룡, 정정렬 등 근현대 소리꾼들이 판소리 100년, 시공을 초월해 이질과 동질의 서사를 그려낸다.
    • 공연소식
    • 광주,전라
    2022-09-05
  • 2022 전주세계소리축제 무료공연 사전 예약하세요 (축제기간 9월 16일 ~ 25일)
    전주세계소리축제는 8월 26일 오후 1시부터 무료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관람할 수 있는 입장권 사전예약을 시작한다. ▶ 2022 전주세계소리축제 전체 프로그램 보기 유료공연을 대상으로 한 1차 입장권 판매 개시에 이어 2차는 사전예약제로 운영되는 무료공연을 대상으로 한다. 사전예약 프로그램은 ‘소리프론티어 시즌2’, ‘젊은판소리다섯바탕’, ‘마스터 클래스’ 총 3개 프로그램 11회 공연이 해당된다. ▲소리프론티어 시즌2는 판소리를 활용한 초연작 공모를 통해 선정된 4개 작품 중 실내에서 진행되는 2개 작품 ‘김봉영X김승진 '판소리 드라마 ‘다시 쓴 엽서’'와 ’소리극단 도채비 '도채비 SSUL 적벽대전''을 사전예약제로 운영한다. 9월 17일 오후 6시에 만나볼 수 있는 판소리 드라마 ‘다시 쓴 엽서’는 한 부부의 인생을 사계절 4개의 에피소드에 빗대어 옴니버스 판소리로 선보인다. 9월 20일 오후 7시에 펼쳐지는 ‘도채비 SSUL 적벽대전’은 소리극단 도채비만의 색깔로 풀어낸 적벽가로 남창의 멋과 힘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두 공연은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명인홀에서 열린다. 공연과 지역의 명소를 결합해 공연의 공간성을 확대한 프로그램 중 덕진공원 연화정도서관 연화루에서 마련되는 ▲젊은판소리다섯바탕과 ▲마스터 클래스도 사전 예약을 통해 관람할 수 있다. 9월 17일 낮 12시 30분부터 시작되는 ‘젊은판소리다섯바탕’은 김정훈, 김원기, 김나영, 정윤형, 김주리 다섯 명의 젊은 소리꾼들이 릴레이 형태로 선보이는 판소리 공연으로, 바탕별로 30명씩 예약제로 운영한다. 9월 20일부터 23일까지 매일 오후 2시에 펼쳐지는 ‘마스터 클래스’는 김일구 명창, 배연형 교수, 최동현 교수, 조상현 명창의 강의 및 단가 배우기 수업 등을 통해 판소리의 재미와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을 선사한다. 이 프로그램도 강의별로 30명씩 예약을 받는다. 사전예약제로 진행되는 모든 공연은 8세 이상이면 누구든 예약 및 관람이 가능하며, 사전예약은 나루컬쳐(http://naructure.co.kr)를 통해 할 수 있다. 이 밖에 축제 기간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야외공연장에서는 전통, 현대, 융복합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사전예약 없이 무료로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들도 다채롭게 준비되어 있다. 한편, 지난달 16일 1차로 개시된 총 14개 공연은 ▲개막공연 '백년의 서사' 전주세계소리축제×KBS교향악단 '접점' ▲전주세계소리축제×전북CBS '마에스트로 정명훈 실내악 콘서트' ▲이머시브 가족뮤지컬 '알피 ALPI' ▲어린이 국악극 '우리랑 진도깨비' ▲판소리다섯바탕 '심청 패러독스-방수미×박애리×정상희' ▲안예은 콘서트: 전주 상사화 ▲Bate Fado 바트 파두 ▲Flamenco Reborn 플라멩코 리:본 ▲오늘의 시나위 '방울성, Project.여운' ▲판소리다섯바탕 '춘향가(김세종제) 박지윤' ▲판소리 다섯바탕 '적벽가(박봉술제) 김도현' ▲산조의 밤 '이동훈, 원완철' ▲Two Guitars: 박규희×박주원(feat.박종성)’이다. 모든 유료공연은 인터파크티켓(http://ticket.interpark.com /1544-1555)과 나루컬쳐(http://naructure.co.kr /1522-6278)에서 예매가 가능하며, 자세한 공연정보는 소리축제 공식 홈페이지(http://www.sorifestival.com)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해당기사 원문보기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22-08-31
  • 7월 12일~8월 13일 국립부산국악원 - 2022 영남춤축제 '춤, 보고싶다'
    춤의 물결로 세대와 장르를 아우르는 지역 대표 춤축제!7월 12일(화) 특별강연 / 13일(수) 개막공연 / 16일(토) 학술대회 / 23일(토) 청靑,뿌리춤전 / 28일, 8월 4일(목) 전통vs창작 □ 국립부산국악원(원장 이정엽)은 7월 12일(화)부터 8월 13일(토)까지 한달간, 무더위의 정점에서 세대와 장르를 아우르는 춤꾼들의 열린 무대, 2022 영남춤축제 <춤, 보고싶다>를 개최한다. □ 2022 영남춤축제 <춤, 보고싶다>는 ‘춤은 경상도’라는 예술적 자존감을 고양시키는 지역 대표 춤축제로서 교류와 화합을 통해 위로와 희망의 메시지를 관객들에게 선사하고자 풍성한 공연과 함께 강연, 학술대회, 워크숍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관객들을 맞이할 예정이다. 맛깔나는 영남춤축제, 제대로 맛볼 수 있는 시간! □ 2022 영남춤축제의 전야제로 진옥섭(전 한국문화재재단 이사장, 『노름마치』 저자) 명사의 특별강연 <영남춤, 올리고 싶다>가 12일(수) 오후 7시30분 예지당에서 진행된다. 이번 강연에서는 “내 춤판의 반이 영남춤”이라는 진옥섭의 입김 서린 육성으로 듣는 영남지역 명무(名舞)들의 옛 이야기가 펼쳐질 예정이며, 축제에 앞서 관객들과 직접 소통하는 시간을 통해 축제의 재미를 더한다. 영남춤의 명맥을 잇는 ‘이음’무대 <영남춤, 사계(四季)> / 7월 13일(수) 오후 7시30분 □ 이번 축제의 개막공연은 영남지역 명무들의 멋과 예술혼을 후학들과 나누는 무대이다. 원로예술인 석봉스님(국가무형문화재 아랫녘수륙재 보존회장/법고춤), 김진홍(부산광역시무형문화재 제14호 동래한량춤 보유자/동래한량춤), 김온경(부산광역시무형문화재 제10호 동래고무 보유자/산조춤), 이윤석(국가무형문화재 고성오광대 보유자/고성허튼춤) 등과 국립부산국악원 국악연주단이 함께 무대에 올라 진정한 영남춤의 흥과 신명을 선보인다. 영남지역 대학 무용과 젊은 예술인들의 꿈과 희망의 무대 <청靑, 뿌리춤전> / 7월 23일(토) 오후 5시 □ 23일(토) 연악당에서 펼쳐지는 ‘청靑, 뿌리춤전’은 지역 대학 무용학과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젊은 춤꾼들에게 용기와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무대이다. 올해 영남춤축제 5주년을 맞이하여 영남지역의 경상국립대학교(태평무), 계명대학교(천개의 바람), 국립창원대학교(우리 춤의 원류(源流)_두물머리(兩水里)), 부산대학교(진도북놀이), 부산여자대학교(鶴-놀음)가 참여한다. 전통과 창작의 동시대적 소통을 염원하는 무대 <전통vs창작> / 7월 28일(목), 8월 4일(목) 오후 7시 30분 □ 한편, ‘전통vs창작’은 전통춤의 원형과 이를 소재로 재해석된 창작춤이 한 무대에서 펼쳐질 예정이다. 28일(목)은 ‘정재’를 주제로 전통춤 ‘박접무’, ‘포구락’과 창작춤 ‘날개, 짓다 나비, 짓다(안무: 김성수)’, ‘問門:문을 묻다(안무: 손효진)’를 선보이며, 8월 4일(목)은 ‘영남춤’을 주제로 전통춤 ‘진주교방굿거리춤’, ‘통영검무’와 창작춤 ‘물밑소리(안무:최현지)’, ‘그리고, 홀(안무:이도영)’ 이 공연된다. 특히, 창작춤 무대는 국립부산국악원 무용단원들이 안무를 맡아 정재와 영남 춤 레퍼토리 확장에 앞장서고자 한다. □ 이 밖에도 16일(토) 연악당에서는 국립부산국악원과 영남춤학회가 공동 주관하는 학술대회 ‘2022 영남춤의 맥을 찾아서’가 진행된다. ‘영남지역 무속 연희의 예술적 동시대성’을 대주제로 삼아 펼쳐지는 이번 학술대회는 우리 문화의 원류이자 근간이 되는 무속을 다각적인 관점에서 논의하는 장을 마련하여 한국 춤문화의 창조적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온 몸이 들썩들썩! 영남춤축제, 옴팡지게 즐기는 방법! □ 공연 관람은 취학아동 이상으로 연악당 공연은 S석 2만원, A석 1만원, 예지당 공연은 전석 1만원이다. 시간은 평일 오후 7시 30분, 주말 오후 5시에 시작하며, 예매는 국립부산국악원 누리집(http://busan.gugak.go.kr) 온라인예매 및 전화예약이 가능하다. 특히, 한달간 펼쳐지는 영남춤축제에서는 ‘춤사랑 묶음티켓’을 판매한다. 구매자에게는 기존 관람료 대비 60% 할인을 적용하며 ‘행열도 미니 잔세트(5회권)’ 또는 ‘나전칠기수첩(3회권)’을 선물한다. 문의) 051-811-0114.
    • 공연소식
    • 부산,경남
    2022-07-08
  • 국립민속국악원 '제4회 대한민국 판놀음' - 7월 6일(수)부터 8월 6일(토)까지 총 10회 공연
    창극과 이 시대 예인들의 축제가 열린다- 춘향문화예술회관에서 창극<춘향전>을 시작으로, 별별창극 8작품,<명불허전>등 총 10회의 공연을 선보인다.- 지리산 소극장에서 매주 목, 금요일 명창들의 완창무대 <소리 판>도 이어져 □ 국립민속국악원(원장 왕기석)은 오는 7월 6일(수)부터 8월 6일(토)까지 춘향문화예술회관, 지리산소극장에서 창극과 명인, 명무, 명창의 무대인 <제4회 대한민국 판놀음>을 개최한다. □ 7월 6일(수) 오후 7시 춘향문화예술회관에서 개막공연으로 국립민속국악원 대표작품인 ‘춘향전-몽룡을 기다리며’가 무대에 오른다. 당대를 대표하는 류기형(연출), 왕기석(작창), 이태백(음악), 채향순(안무)가 제작진으로 참여했다. 이 작품은‘춘향전’의 무게중심을 춘향과 이도령에서 여섯기생(六妓)로 옮겨와서 도전적으로 꾸며낸 작품이다. 육기는 도창으로 참여하여 춘향이 생각하는 평등한 세계를 알려주고 약속을 소중하게 생각하며 진정한 사랑을 추구하는 몽룡을 제시한다. □ ‘별별창극’은 공모를 통해 선정된 민간단체 8개의 창극 작품이 펼쳐지는 무대이다. 참여하는 단체는 중견부터 신예에 이르기까지 전통에 기반을 두고 새롭게 해석해낸 창극에서부터 서양의 고전을 창작 창극으로 꾸민 무대, 그리고 연희창극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7월 9일(토) 창작하는 타루의 ‘두아-유월의 눈’, 13일(수) 문화예술협동조합 섬진강의 ‘가인춘향’, 16일(토) 연희점추리의 ‘백수지왕’, 20일(수) 거꾸로 프로젝트의 ‘3색소리극-흥보가 비하인드 스토리’, 23일(토) 랑커뮤니케이션의 ‘토선생, 용궁가다’, 27일(수) 입과손스튜디오의 ‘판소리 레미제라블’, 30일(토) 아트프랫폼 동화의 ‘광대가 리골레토’, 8월 3일(수) 판소리 앙상블 하랑가의 ‘콜비츠와의 대화’가 공연된다. 공연 시간은 평일은 오후 7시, 토요일은 오후 3시이며, 공연 장소는 춘향문화예술회관이다. □ ‘소리 판’ 무대는 지리산 소극장에서 오후 3시에 개최된다. 오롯이 판소리 완창무대를 감상할 수 있는 무대로 7월 7일(목)은 우정문의 ‘한승호제 적벽가’, 8일(금)은 허애선의 ‘강산제 심청가’, 14일(목)은 유하영의 ‘박초월제 수궁가’ 15일(금)은 서진희의 ‘강산제 심청가’, 21일(목)은 한금채의 ‘강산제 심청가’, 22일(금)은 김송의 ‘김세종제 춘향가’, 28일(목)은 최영란의 ‘동초제 춘향가’, 29일(금)은 김금희의 ‘박초월제 흥보가’ 로 총 8명의 명창의 무대가 열린다. □ 8월 6일(토) 폐막공연은 대한민국의 대표 예인들이 함께 어우러지는 종합무대로 구성되는 최고의 무대이다. 김무길(거문고), 송화자(가야금), 원장현(대금), 한세현(피리), 김영길(아쟁), 이동훈(해금), 정화영(고수)명인이 함께 여는 ‘시나위’연주를 시작으로 안숙선, 김일구 명창의 ‘판소리’, 국립민속국악원 연주단의 기악합주‘걸음마다 꽃이피소’, 문정근, 진유림 명무의‘승무, 살풀이’, 왕기철, 왕기석, 유수정이 꾸미는 판소리 입체창‘흥보가 중 화초장 대목’으로 흥을 돋운다. 마지막 작품은 박양덕, 이난초, 김영자, 유수정, 박애리 명창이 함께하는 남도민요 ‘육자백이, 흥타령, 진도아리랑’ 이다. 반주에는 국립민속국악원 연주단이 참여한다. 공연장소는 춘향문화예술회관이며, 오후 4시에 개최된다. □ <제4회 대한민국 판놀음>은 7세 이상이면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문의 및 예약은 전화(063-620-2329) 혹은 카카오톡 채널(상담원과 대화)을 통해 가능하다.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22-07-05
  • 3월 28일 국립중앙박물관 內 '극장용 개관 10주년 기념 개막공연' 강태환 강은일 강산에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공연명 : 극장 용 개관 10주년 기념 개막공연 2. 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內 극장 용 ▶ 지도보기3. 날짜 : 2015년 3월 28일 (토요일)4. 시간 : 오후 4시 5. 티켓료 : 전석 30,000원6. 문의 : 1544-5955◆ 극장 용 개관 10주년을 기념하여 국악, 가요, 프리뮤직의 절대명인(名人) 3인이 만들어내는 이전에 본 적 없는 미래지향 신개념 옴니버스 공연 으로‘용.텐.페.’의 화려한 서막을 연다. 프리뮤직의 대가 강태환, 국악계 크로스오버를 선구한 해금 연주자 강은일, 대한민국 대표보컬 강산에 3인이 만드는 다섯 바퀴의 신명나는 무대라는 의미의 은 각기 다른 장르의 명인 셋이 한 무대에 서는 최초의 공연이자 극장 용이 선보이는 전례 없는 전설적인 스테이지가 될 것이다. ▶ 강은일 프로필
    • 공연소식
    • 서울
    2015-03-18
  • 고창 한옥체험마을에서 퓨전국악극 '광대열전2' (5월 17일~10월 25일 매주 토)
    지난해 관광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았던 한옥자원 활용 야간상설공연 '광대열전2' 퓨전 국악극이 5월 17일 개막공연을 시작으로 10월까지 진행된다. 올해 공연은 지난해 선보인 광대열전을 새롭게 각색해 '광대열전2-대단한 탄생'으로 이름 붙였다. ‘광대열전2'는 지난해 비해 연출과 음악 등에서 완성도를 더욱 높인 국악예술단 고창의 세 번째 야심작이다. 문의 국악예술단 고창 063-564-4999 공연 기사 더보기 ☞ http://me2.do/FGnCTLhH
    • 공연소식
    • 광주,전라
    2014-05-08
  • 2월 6일 광주 빛고을국악전수관에서 '2014년 목요열린국악한마당' 개막 공연
    광주 서구 빛고을국악전수관이 오는 6일 오후 7시 2014년 목요열린국악한마당 개막 공연을 갖는다. 지방자치단체로는 최초로 지난 2003년부터 운영되어 온 목요상설국악공연은 10년간 412회 운영하여 5만7천여명이 관람하는 등 인기가 높아 광주를 대표하는 국악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목요열린국악한마당』은 혹서기 8월 한 달을 제외한 12월 18일까지 매주 목요일 오후 7시부터 한 시간동안 40회 가량 상설운영될 예정이며, 입장료는 무료다. 서구는 이날 개막공연에서 풍물연희 예술단『광대』를 초빙해 축원덕담가 ‘비나리’을 시작으로 선반설장구, 歌&打 ‘무념무상’, 모듬북 협주곡 ‘판打志‘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공연 기사 더보기 ☞ http://me2.do/5IeFoPp0
    • 공연소식
    • 광주,전라
    2014-02-04
  • '우리가락 우리마당' 토요야외상설공연 (5월 25~9월7일 충북 오창호수공원)
    다양한 국악세계를 선보일 우리가락 우리마당 토요야외상설공연이 25일 개막한다. ‘우리가락우리마당 토요야외상설공연’은 국악의 대중화와 생활화를 꾀하고 충북 지역의 문화공간을 명소화하기 위해 청주해금앙상블이 주관해 운영하고 있다. 올해 공연은 오창 호수공원에서 25일 오후 7시 30분 개막공연을 시작으로 9월 7일 폐막공연까지 총 15회 야외상설무대에서 열린다. ▶ 공연장 지도보기 ‘즐거운 락 소통을 말하다’란 주제로 진행될 프로그램은 국내에서 활발한 연주 활동을 하는 최고의 전문연주단체를 구성해 시민들에게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선보인다. 25일 첫 공연은 ‘공명’ 팀의 흥겨운 타악 퍼포먼스를 선사한다. ‘공명’은 한국 전통 음악을 기반으로 창작과 재구성을 통하여 우리 전통음악의 다양성과 새로운 소리를 창출하여 국내 및 세계 무대에서 신선한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 월드뮤직팀이다. 공연 기사 더보기 ☞ http://me2.do/xOtQI5YZ
    • 공연소식
    • 대전,충청
    2013-05-24
  • 2월 7일 광주 빛고을국악전수관에서 2013 목요열린 국악한마당 ‘팡파르’
    7일 오후 7시 빛고을 국악전수관 ▶ 공연장 지도보기 광주 서구(구청장김종식) 빛고을 국악전수관은 7일 '2013 목요열린 국악한마당' 개막공연을 갖는다.다양한 장르의 국악 프로그램으로 지역민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목요열린 국악한마당'의 이번 개막공연에는 풍물세상 '굿패마루'가 출연해 ▲고사굿 '비나리' ▲판굿 ▲설장구▲타(打) & 드림 등 다양한 장르의 국악 공연을 선보인다.전문 예술인으로 구성된 '굿패마루'는 전통풍물굿의 대중화와 교육 및 공연 활동을 통해 전통 풍물굿을 보급, 발전시키고자 설립된 단체다. 공연 기사 더보기 ☞ http://media.daum.net/culture/art/newsview?newsid=20130205101422743
    • 공연소식
    • 광주,전라
    2013-02-05
  • 인사동 , 토요일엔 우리 얼과 멋이 흐른다~ 국악
    종로구,4월28일 오후 4시 '2012 인사동 토요문화나눔한마당' 개최 종로구(구청장 김영종)는 28일 오후 4시 인사동 문화지구 남인사마당에서 ‘2012 인사동 토요문화나눔한마당’ 개막공연을 개최한다.이번 행사는 전통이 살아숨쉬는 품격있는 문화지구로 인사동을 육성하고, 남인사마당을 전통문화예술 공연의 중심지로 활성화시키기 위해 마련됐다.‘2012 인사동 토요문화나눔한마당’은 오는 10월27일까지 총 8회에 걸쳐 판소리, 살풀이 춤 등 다양한 전통문화예술을 통해 우리 문화의 정수를 느낄 수 있는 공연을 선보일 계획이다.이번 공연은 가장 한국적 원형의 전통문화예술 전문 문화예술행사로 타 상설공연과 차별화 해 독자성을 확보한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으로 민요와 소리, 기악ㆍ병창, 전통연희, 전통무용, 전통기예 등 다양한 장르가 조화롭게 편성될 예정이다.--> 아시아경제 박종일 기자 해당기사 더 보기
    • 공연소식
    • 서울
    2012-09-01

국악인프로필 검색결과

  • 임현종 프로필 - 한국무용가
    ☆ 임현종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한국무용 수련과정ㅣ학력 임이조, 진유림 선생 사사선화예술고등학교 졸업세종대학교 학사 졸업세종대학교 석사 수료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전수자국가무형문화재 제97호 살풀이춤 전수자 활동 경력 2001 임이조 춤인생 47년 '知天命' 출연2002 MBC 국악초대석 출연2004 임이조 춤인생 50년 기념공연 출연2005 어린이 국악한마당 출연2006 뉴욕시티 홀 초청공연 'FALL FOR DANCE FESTIVAL' 개막공연(하늘과 땅)출연2009 '권영심의 우리 춤 상생과 번영을 위하여' 출연2012 광주 엑스포 개막식 초청공연 출연2015 전통공연예술문화학교 대축제 ‘국악 하루’ 안무 및 출연2017 제10회 전북무형문화재 제 38호 호남넋풀이굿 출연2018 평창 문화올림픽 Art on Stage ‘멋’이 중헌디 안무 및 출연2019 선운 임이조의 춤 脈출연2020 풍운을 여는 춤의 여드레 '팔일八佾' 출연2021 Best of Best '병역특례 남성무용가들의 춤판' 출연2022 국악예술 교류전 출연2022 제2회 빛고을 창극제 창무극 춘향&놀보 조안무안양예술고등학교 한국무용 전임교사 역임Lotus Art Company 안무감독 역임퓨전국악팀 창성동131 대표 역임현재 예일국제종합대학 전통무용 전임교수사)한국전통춤연구회 지도위원사)한국춤협회 이사안양예술고등학교 출강 수상 경력 1999 무궁화예술제 전국학생예능대회 <금상>2002 제4회 서라벌 전국학생민속무용대회 <금상>2002 제65회 중앙문화 전국예술제 <금상>2003 제34회 한국무용협회 초등부 무용경연대회 <특상>2004 제6회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전국학생전통무용대회 <금상>2005 제28회 예원학교,서울예술고등학교 전국학생무용경연대회 <특상>2007 순천향대학교 전국학생무용경연대회 <금상>2007 제27회 계원예술고등학교 전국학생무용경연대회 <최우수상>2008 제39회 (사)한국무용협회 무용콩쿠르 <수석상>2008 제11회 국립국악고등학교 전국학생무용경연대회 종합대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2013 제31회 (사)한국무용협회 충북지회 전국대학무용경연대회 <금상>2014 제44회 동아무용콩쿠르 일반부 한국무용 전통부문 <금상>2015 제17회 서라벌전국무용경연대회 대학부 종합대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2018 제16회 전국수리무용콩쿠르 일반부 종합대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2018 IDO WORLD DANCE CUPS Folklore-Adults-Solo 부문 <금메달>2018 IDO WORLD DANCE CUPS Folklore-Adults-Duos 부문 <동메달>2019 제12회 상명대학교 전국무용경연대회 <우수지도자상>2020 제22회 (사)한국국악협회 서라벌 전국학생 민속무용경연대회 <지도자상>2020 제1회 (사)보훈무용예술협회 세종전국무용경연대회 <지도자상> 홈페이지ㅣSNS https://hyunbell.modoo.at [홈페이지]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qM65VuEqzAA [창작무용 사랑가 - 임현종 & 김진희] https://youtu.be/n8tcEBYcNaI [승무] 기타 부친인 ▶ 故 임이조 명무의 사사를 받아 어릴적부터 무용가의 길을 걸어 오고 있으며 초등·중등·고등·대학 등의 강의활동으로 많은 학생들을 양성하고 있다. 또한 한국무용 뿐 아니라 장구, 북과 같은 다양한 타악기 연주가 가능하여 현재 국내·외 문화 장르(무용, 타악 등) 각종 공연 예술 행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급변하는 문화 예술계에 대비하여 미래 지향적 예술 가치관을 가지고 문화 예술로서의 발전과 권익신장을 목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우리나라 국악이 종합 예술로서의 공공성 확장, 아트플랫폼 및 무용예술 활동인으로서의 역할 강화, 한국무용 대중화 등 무용계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표에 두고 있으며 현재 여러 분야 예술, 단체, 대중들과 소통하고 있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23-01-11
  • 이건일 프로필 - 판소리, 창극
    ☆ 이건일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판소리, 창극, 배우 수련과정ㅣ학력 우석대학교 국악과 졸업 활동 경력 2014 전주세계소리축제 개막공연 '청-Alive' 주연2016 창작소리극 '춘향-봄향기를 그리는 자두꽃' 주연 (이몽룡역)2018 전주한옥상설공연 마당창극 '변사또생일잔치' 주연 (변학도,이몽룡역)2019 전주한옥상설공연 마당창극 '진짜진짜옹고집' 주연 (옹고집역) 수상 경력 제11회 여수진남제 전국국악경연대회 판소리 일반부 대상제37회 전북연극상 공로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22-10-24
  • 송니은 프로필 - 타악연주가
    ☆ 송니은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타악 연주 수련과정ㅣ학력 Beat company '한울소리' 단원 역임 사단법인 문화마을 '들소리' 단원 역임음악그룹 '뮤르' 동인 역임 활동 경력 2015 ~ 17 들소리 정규 · 싱글앨범 다수 참여 (편곡, 녹음) 2015 송니은 첫 번째 독주회 1 '얼어붙은 나날들, 먼 북소리' 2016 거창 국제연극제 개막공연 ‘뜻밖의 외출’ 공연 2016 송니은 두 번째 독주회 2 '타악, 존재를 흔들다' 2016 허새롬, 이지혜의 전통생황 복원 프로젝트 '화 생 우' 2017 허새롬 '뜻밖의외출3' 공연 2017 프리&프리 연희콘서트 '마음치' 2017 무형유산공연 연극 '근심수집가 박노인' 동영상보기 * Her story https://youtu.be/_8MtAAVSFq4?list=PLFCHJO6r-uopl4YRTRHvAjGuRJcF3gsnW * Wind swing https://youtu.be/Zyvgg6qMsVo 홈페이지ㅣSNS 페이스북 : http://www.facebook.com/nieun.song.7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nieun_song/ 앨범 2016 (사)문화마을 들소리 정규 2집 '너허넘차' 편곡 및 연주2016 (사)문화마을 들소리 디지털 싱글 '제주(濟州)에서 제주(齊奏)하다' 편곡 및 연주2016 (사)문화마을 들소리 디지털 싱글 'See You In New York' 편곡 및 연주2016 (사)문화마을 들소리 디지털 싱글 '두 번째 외출' 편곡 및 연주2017 (사)문화마을 들소리 디지털 싱글 'Welcome to Dulsori' 편곡 및 연주2017 MuRR(뮤르) 디지털 싱글 'Her Story' 편곡 및 연주2017 MuRR(뮤르) 디지털 싱글 'Wind Swing' 편곡 및 연주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17-11-27
  • 이소나 - 경기민요, 가수
    ☆ 이소나 프로필 1991년생 사진 전공ㅣ분야 경기민요, 트로트, 가수 수련과정ㅣ학력 이유라 선생 사사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졸업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졸업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전수자 활동 경력 제17대 대통령 취임식 개막공연제18대 대통령 당선 축하공연KBS와 함께하는 ‘1004 천사데이 사랑나눔 콘서트’국악방송 개국 15주년 ‘기적의 아리랑’국립극장 마당놀이 ‘놀보가온다’일산 킨텍스 ‘세계 보안 엑스포 VIP 개회식’ 축하공연국민 대통합 ‘아리랑’ 전국 순회 공연 수상 경력 2004 강원도 중고등학생 종합실기대회 국악성악 1위 2007 전국 경서도소리 경연대회 학생부 최우수상 2008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 학생부 장원 2011 제38회 춘향국악대전 일반부 민요 최우수상 2012 강원도 문화예술계 주목받는 3인 국악부문 선정 홈페이지ㅣSNS https://www.instagram.com/leesonaaa [인스타그램] 동영상 보기 https://han.gl/REBIT [이소나TV] https://youtu.be/RySfHuRa9uE [영암아리랑] https://youtu.be/2CqQJl2MAi8 [한강수타령 & 뱃노래] https://youtu.be/znEc5e7e1ss [도라산타령] https://youtu.be/6YEGCJqgAvs [혜움 - I need your love] https://youtu.be/vm3Nu14vJYo [제주토속민요와 서양레게리듬이 만난다면 - 신아외기소리] https://youtu.be/72MV0C1-BRI [물레야 - 트롯전국체전] 기타 트롯전국체전 전후로 트로트 가수를 준비해서 2021년 6월 싱글 앨범 《情(정)》을 발매하면서 트로트 가수로 데뷔하였고, 탄탄한 실력을 바탕으로 많은 인기를 얻으며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16-05-27
  • 고승조 프로필 - 판소리
    ☆ 고승조 프로필 1988년생 사진 전공ㅣ분야 판소리, 창극, 퓨전국악 수련과정ㅣ학력 임화영, 김경숙, 한승석 선생 사사 2009년 중앙대학교 음악극과 판소리전공 조기 수석졸업 활동 경력 2005 동초제 심청가 완창 2008 故 박병천 선생님 추모 공연2008 제17대 대통령 취임식 개막공연 2009 차세대 명창 선정 (국립극장) 2009 대학생 개인발표회 ‘꿈틀’ (동초제 흥보가)국립창극단 인턴단원 역임 현재 전라북도립국악원 창극단 단원 수상 경력 2009년 제16회 달구벌전국국악경연대회 종합대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2011년 제14회 남도민요경창대회 일반부 대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제7회 장수논개전국판소리경연대회 일반부 대상 (국회의장상) 홈페이지ㅣSNS https://www.instagram.com/koseungjo [인스타그램]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1QwWjqMPFsg [쑥대머리]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2015-03-03
  • 정영만 - 악사, 무악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
    ☆ 정영만 프로필1956년생 (경남 통영) 사진 전공ㅣ분야 피리연주, 의식, 무악 수련과정ㅣ학력 국가무형문화재 제82-라호 남해안별신굿 예능보유자 활동 경력 2004년3월~2009년12월 중앙대학교 국악대학 출강 2007년12월 통영향토문화상 수여경상남도문화재 전문위원국립부산국악원 지도위원경남민속예술축제 심사위원2011년 한산대첩축제 개막공연 예술감독 수상 경력 남해안별신굿 ▶ https://goo.gl/XxCPzA 동영상 보기 ▶http://youtu.be/ACJMS_X7BZQ [구음시나위]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12-09-20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