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국악정보 검색결과
-
-
[KBS국악한마당 방송안내] 3월 18일 (土) 오후 12시 10분 (한누리무용단, 모던가곡, 모락모락, 앙상블시작, 장수호, 윤하원 등 출연)
- ● 이소정 안무<꽃심(花心)>한누리무용단● 김유나 작사‧작곡편수대엽 <피지 못한 꽃>모던가곡● 강안나 편곡<비, 바람>모락모락● 이서연 편곡<사랑을 사자 하니>앙상블 시작(詩作)● 지민아 작사 김유나 작곡우락 <산책>모던가곡● 김소월 시 이서연 작곡<첫 치마>앙상블 시작(詩作)● 강안나 작사‧작곡<목련화>모락모락● <박범훈류 피리산조>장수호장구/ 신원섭♛ 꿈나무한마당● <지영희류 해금산조>윤하원 (영주남부초 5학년)장구/ 고정훈● 김위연 작곡<훈기상화>송훈/ 송경근율기/ 강선일 피아노/ 김위연 첼로/ 윤보연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KBS국악한마당 방송안내] 3월 18일 (土) 오후 12시 10분 (한누리무용단, 모던가곡, 모락모락, 앙상블시작, 장수호, 윤하원 등 출연)
-
-
한해를 빛낸 수상자를 만나는 '2022 KBS국악대상' - 지민아,이은혜,김율희,이호진,이지혜 등 10명 수상자 선정 (대상은 한국무용가 정신혜)
- “한해 국악계를 돌아보는 KBS국악대상” 2022년 한 해 동안, 공연 및 방송 등의 활동을 통해 국악발전에 이바지한 국악인을 시상하는 KBS국악대상에서 올해를 빛낸 10명의 수상자를 선정해 발표했다.1982년부터 시작해 4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KBS국악대상은 지난 9월부터 해당 분야의 음악가, 공연기획자, 국악 관련 방송인, 음악평론가, 교수 등의 전문가로 구성된 소위원의 두 차례 회의와 본심사위원의 엄정한 최종 심사 과정을 거쳐가악, 민요, 판소리, 연주 관악, 연주 현악, 작곡, 무용, 단체, 출판 및 미디어, 특별공로상까지 총 10개 부문의 수상자를 선정했다.<가악상> 전통과 창작을 넘나드는 활동으로 정가의 매력을 널리 알린 가객 지민아 (모던가곡 동인·국가무형문화재 가곡 이수자)<민요상> 경기민요를 기반으로 만요, 음악극으로 영역을 확장한 소리꾼 이은혜 (국립부산국악원 성악단원·국가무형문화재 경기민요 이수자)<판소리상> 탄탄한 전통과 참신한 창작으로 방송과 무대를 오간 소리꾼 김율희 (우리소리 바라지 동인·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이수자)<연주 관악상> 우직한 학습과 연주 실력으로 민속악을 대표하는 피리연주자 이호진 (국립국악원 민속악단원)<연주 현악상> 뛰어난 기량과 섬세한 해석으로 가야금을 전해온 연주자 이지혜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수석)<작곡상> 묵직한 고민과 철학으로 국악관현악의 품격을 높인 작곡가 이정호 (부산대학교 한국음악학과 교수·작곡가)<무용상> 대중과 예술을 아우르는 연출·안무로 영남춤의 지평을 넓힌 무용가 정신혜 (국립부산국악원 무용단 예술감독) - 대상<단체상> 전통예술을 뿌리로 국악 창작극의 영역을 넓히며 도전해 온 단체 타루 (2001년 창단)<출판 및 미디어상> 다양한 국악 관련 콘텐츠 개발 및 기획과 제작, 유통 영역을 아우르며 전통문화 활성화에 힘쓴 기획사 ㈜예술숲 (2016년 설립)<특별공로상> 품격있는 소리로 국악을 국내외로 널리 알려온 예인. 국악의 예술성과 가치를 지켜온 대한민국 대표 명창(國唱) 안숙선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춘향가) 보유자)올해 주인공인 가악상의 지민아 씨, 민요상의 이은혜 씨, 판소리상의 김율희 씨, 연주 관악상의 이호진 씨, 연주 현악의 이지혜 씨, 작곡상의 이정호 씨, 무용상과 전체 대상의 정신혜 씨, 단체상의 타루, 출판 및 미디어상의 (주)예술숲은 코로나 19의 여파로 문화예술계가 정체되어있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국악계를 이끌어왔다.“2022년 국악계를 모두 담은 성대한 축제 한마당”12월 10일(토) 오후 7시, KBS홀에서 열리는 <2022 KBS국악대상>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인기 소리꾼 박애리와 끼 넘치는 판소리 듀오 <바투> (김봉영 이상화)가 진행을 맡았다. 이 시간을 통해 올해 부문별 수상자들의 무대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시간뿐 아니라 연희와 스카의 만남으로 유쾌한 신명을 선사하는 <유희스카>와 의 성대한 축하 무대가 펼쳐지며, 현장에서 영예의 <대상> 수상자가 발표된다.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한해를 빛낸 수상자를 만나는 '2022 KBS국악대상' - 지민아,이은혜,김율희,이호진,이지혜 등 10명 수상자 선정 (대상은 한국무용가 정신혜)
-
-
「한국의 탈춤」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 11월 30일 오전(현지 시간) 모로코 라바트에서 개최된 제17차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11.28.-12.3.)는「한국의 탈춤」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하였다.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는 「한국의 탈춤」이 강조하는 보편적 평등의 가치와 사회 신분제에 대한 비판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의미가 있는 주제이며, 각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에 상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 등을 높이 평가하였다. 특히, 안건으로 올라간 총 46건의 등재신청서 중에서 「한국의 탈춤」 등재신청서를 무형유산의 사회적 기능과 문화적 의미를 명확하게 기술한 모범사례로 평가하였다. 이번 「한국의 탈춤」의 유네스코 등재는 문화재청과 외교부, 경북 안동시, 탈춤과 관련한 13곳의 국가무형문화재와 5곳의 시도무형문화재 보존단체 및 세계탈문화예술연맹이 준비과정에서부터 협력하여 이루어낸 성과로, 민·관이 협력하여 국제사회에 우리의 전통문화를 알리는 쾌거를 거둔 좋은 사례이다. 이번 등재로 우리나라는 총 22건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하게 되었으며, 앞으로도 우리 고유의 우수한 전통문화를 국제사회에 널리 알리는 한편,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에 따라 문화다양성과 인류 창의성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예정이다. ※ ‘한국의 탈춤’은 춤, 노래, 연극을 아우르는 종합예술로, 관객과 적극적인 환호와 야유를 주고받으며 비판할 것은 비판하되 크게 하나 됨을 지향하는 유쾌한 상호 존중의 공동체 유산임. 또한 정식 무대 없이 공터만 있어도 공연이 가능하여 배우와 관객이 한 공간에서 소통할 수 있는 특징이 있음 무형유산 제도가 우리나라에 도입된 1960년대부터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면서 우리 국민들에게도 무형유산의 대표적인 상징으로 인식되어 온 종목이라서 이번 등재는 그 의미가 더욱 큼 ※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현황 종묘 제례악(2001), 판소리(2003), 강릉 단오제(2005), 강강술래, 남사당놀이, 영산재, 제주칠머리당영등굿, 처용무(2009), 가곡, 대목장, 매사냥(2010), 택견, 줄타기, 한산모시짜기(2011), 아리랑(2012), 김장문화(2013), 농악(2014), 줄다리기(2015), 제주해녀문화(2016), 씨름(남북공동, 2018), 연등회(2020), 한국의 탈춤(2022) “Talchum, mask dance drama in the Republic of Korea” has at last made it into the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The decision was made in the morning of November 30, 2022 local time at the 17th Session of the Inter-Governmental Committee under way in Rabat, the Kingdom of Morocco from November 28 to December 3, 2022. The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CH) Committee stated that the message of Talchum of universal equality value and criticism of social hierarchy is still relevant today and praised its role as a symbol of respective cultural identities its variant forms represent. * Nomination file of Talchum praised for its well-elaborated the social functions and cultural meanings The inscription is the result of the joint efforts from the early stages of preparation among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he City of Andong, Gyungbuk Province, 18 safeguarding associations and the World Federation of Mask Culture whose membership includes heritage transmitters of those listed on either the national list or provincial lists of ICH. The successful nomination of Talchum will serve as an excellent precedent of close cooperation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in publicizing Korea’s traditional culture to the rest of the world. Following inscription, the number of Korea’s elements on the UNESCO’s ICH inventory grows to 22. The Korean government states it will make continuous efforts to promote cultural diversity and creativity of humanity in the spirit of the UNESCO Convention of Safeguarding ICH.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한국의 탈춤」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
-
[祝] 조순자 가곡전수관장, 제29회 방일영국악상 받는다
- 1994년 국악의 해 기념해 제정된 국악 관련 국내 최고 권위 공로상가곡 분야 첫 선정...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후학 양성 등 공로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이며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인 가곡의 맥을 잇고 있는 조순자(78) 가곡전수관 관장이 국내 국악 관련 상으로는 최고의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방일영국악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 조순자 프로필 방일영국악상은 1994년 국악의 해를 기념해 제정된 공로상인데, 국악의 올바른 전승과 보급에 앞장서서 전통문화 창달에 이바지한 국악인들의 업적을 널리 기리는 것이 목적이다. 이 상은 매년 일생을 국악 분야에 헌신하면서 탁월한 업적을 남긴 1명을 선정해 11월에 발표하고 시상한다. 올해로 29회째를 맞았다. 조순자 관장은 "선정 이유가 우리 전통 가곡이 비인기 종목인데 제가 경상도에 가서도 꿋꿋이 지켜나가고 있으며 제자를 잘 키웠다는 점인데, 지금 이 상을 받게 된 것도 많이 늦은 감이 있다더라"며 심사위원장(한명희·'비목' 작사자)의 말을 전했다. 조 관장은 1944년 서울에서 태어나 1958년 KBS 전신인 서울중앙방송의 국악연구생 2기생으로 선발되면서 국악에 입문했다. 그때가 14세였다. 이후 1951년 설립된 국립국악원에서 이왕직아악부 출신 이주환 선생을 만나 가곡·가사·시조 등을 전수했고 1964년엔 처음으로 일본 공연에서 스승과 함께 이중창을 소화해 국악계의 인정을 받았다. ▶ 해당기사 더보기 1994년부터 방일영국악상을 주최해온 방일영문화재단은 평생 국악 발전에 기여해온 공로를 바탕으로 하되 최근 3년 실적을 중점적으로 평가해 현재 정력적으로 공연 활동을 펼치는 국악인을 수상자로 뽑고 있다. ▶ 방일영문화재단 홈페이지 역대 수상자 만정 김소희(제1회), 만당 이혜구(제2회), 박동진(제3회), 심소 김천흥(제4회), 관제 성경린(제5회), 만당 오복녀(제6회), 양암 정광수(제7회), 석암 정경태(제8회), 낭월 이은관(제9회), 황병기(제10회), 묵계월(제11회), 이생강(제12회), 이은주(제13회), 오정숙(제14회), 정철호(제15회), 이보형(제16회), 박송희(제17회), 정재국(제18회), 성우향(제19회), 안숙선(제20회), 이춘희(제21회), 김영재(제22회), 김덕수(제23회), 이재숙(제24회), 송방송(제25회), 신영희(제26회) , 송순섭(제27회), 김일구(제28회)
-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
[祝] 조순자 가곡전수관장, 제29회 방일영국악상 받는다
-
-
[KBS 국악한마당 방송안내] 11월 5일 (土) 오후 12시 10분 (정예진,서태경,이선,양정이,박진희,유창,김영지,권규리,이승희,고정훈 등 출연)
- ❏ 가야금병창● 가야금병창<임이 그리워, 경발림, 풍년노래>정예진, 서태경, 이선, 장구/ 고정훈● 단가<백구가>가야금병창/ 정예진, 장구/ 고정훈● 가야금병창<심청가 中 방아타령>정예진, 양정이, 장구/ 고정훈❏ 정가● 시조<월정명>박진희, 대금/ 이종범, 장구/ 정택수● 가곡<두거>박진희, 이유림, 거문고/ 이방실, 대금/ 이종범, 장구/ 정택수❏ 송서‧율창● 송서<삼설기>유창, 김형근, 김태수, 해금/ 박선영, 대금/ 장진엽, 피리/ 강완규● 율창<사친(思親)>김채원, 김영지, 해금/ 박선영, 대금/ 장진엽, 피리/ 강완규★ 꿈나무한마당● 판소리<춘향가 中 쑥대머리>권규리 (대구팔공초 4학년), 고수/ 고정훈❏ 이승희 음반 [해금풍류Ⅱ 남창가곡]● 반우반계<편락>해금/ 이승희, 거문고/ 박혜진❏ 정소희 음반 [창작대금 작품집]● 이해식 작곡대금독주곡 <저 소리>정소희❏ 김나니 음원 [유음(遺音)]● 김나니 작사 최인환‧김나니 작곡<유음(遺音)>김나니, 25현가야금/ 박지현, 콘트라베이스/ 최인환, 장구/ 조한민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KBS 국악한마당 방송안내] 11월 5일 (土) 오후 12시 10분 (정예진,서태경,이선,양정이,박진희,유창,김영지,권규리,이승희,고정훈 등 출연)
-
-
[KBS 국악한마당 방송안내] 10월 1일 (土) 오후 12시 10분 (천하제일탈공작소,허창열,김재민,민현기,박인선,이솔민,한충은,이슬기 등 출연)
- ♛ 천하제일탈공작소 ● <길놀이> 북청사자/ 김재민 민현기 말뚝이/ 허창열 문둥이/ 장해솔목중/ 최민우 미얄할미/ 박인선 이매/ 이주원태평소/ 이민형 꽹과리/ 조봉국 징/ 강병하 장구/ 조한민 북/ 경의찬 ● <고성오광대 中 비비마당>비비/ 허창열 양반/ 박인선 ● <골골샅샅탈탈>- 북청사자놀음 中 북청사자춤- 고성오광대 中 말뚝이춤- 통영오광대 中 문둥이춤- 강령탈춤 中 미얄할미춤- 은율탈춤 中 목중춤- 하회별신굿탈놀이 中 이매춤● 서도민요<자진난봉가, 변조난봉가, 사설난봉가>소리화반주/ 이음회● 서도민요<산천가, 신경발림>소리화반주/ 이음회★ 꿈나무한마당● 가곡<편수대엽> ‘모란은’이솔민 (염리초 4학년)대금/ 한충은 장구/ 김준수● 이건용 작곡<별과 시>25현가야금/ 이슬기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KBS 국악한마당 방송안내] 10월 1일 (土) 오후 12시 10분 (천하제일탈공작소,허창열,김재민,민현기,박인선,이솔민,한충은,이슬기 등 출연)
-
-
2022 국악대학전 참가자 모집 (접수기간 7월 25일 ~ 27일)
- 가곡, 산조, 판소리 전통음악으로 만나는 대학생들의 축제 국악대학전은 국악 전공 대학생의 가곡, 산조, 판소리 전문 연주자로서의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신청서 다운로드 ▶ 정가악회 홈페이지 접수기간 7/25(월) ~ 7/27(수) (3일간)
-
- 국악정보
- 경연대회,공모
- 서울
-
2022 국악대학전 참가자 모집 (접수기간 7월 25일 ~ 27일)
-
-
국가무형문화재 ‘가곡’ 보유자 이동규 씨 인정, 안숙선 씨 '판소리' 인정 예고
-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 국가무형문화재 ‘가곡’ 보유자로 이동규(李東圭, 서울 강남구) 씨를 인정하고, ▲ 김성락(金成洛, 경북 예천), 김윤경(金允炅, 경기 부천), 유세현(劉世鉉, 경기 파주) 씨를 ‘궁시장’ 보유자로 인정 예고하였다. 그리고 ▲ 안숙선(安淑善, 서울 강남구) 씨를 ‘판소리’ 보유자로 인정 예고하는 동시에 ‘가야금산조 및 병창’ 보유자로는 인정 해제를 예고하였다. ‘가곡’은 현악기와 관악기로 편성된 실내악 규모의 반주에 맞추어 시조시(時調詩)를 노래로 부르는 성악곡으로, 남창가곡과 여창가곡으로 구분되어 전승된다. 이번에 보유자(기·예능: 남창가곡)로 인정된 이동규 씨는 1958년 무렵부터 가곡을 학습하여 60년 이상 해당 분야에 종사하였고, 1982년 조교에 선정된 이래 ‘가곡’ 전승교육사로서 종목의 전승 활성화와 후학 양산에 힘써왔다. 현재 ‘가곡’ 보유자는 남성 1명, 여성 2명으로, 그간 남성 가객의 배출에 취약한 바가 있었으나 이동규 씨의 합류로 활기를 더할 수 있게 되었다. ‘궁시장’은 활과 화살을 만드는 기능과 그 기능을 가진 사람으로, 활 만드는 사람을 궁장(弓匠), 화살 만드는 사람을 시장(矢匠)이라 한다. 이번에 보유자로 인정 예고된 ▲ 김성락 씨는 1991년 아버지의 권유로 입문하여 지금까지 약 33년간 활 제작기술을 연마하였고, 2009년 국가무형문화재 ‘궁시장(궁장)’ 전승교육사로 인정되었다. ▲ 김윤경 씨는 궁시장(궁장) 보유자였던 故 김박영(金博榮, 1933년생)으로부터 그 기법을 전수 받아 약 20년간 활 제작 기술을 연마하였고 2009년 ‘궁시장(궁장)’ 전승교육사로 인정되었다. 이번에 같이 ‘궁시장(시장)’ 보유자로 인정 예고된 ▲ 유세현 씨는 증조부 때부터 4대째 화살 제작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는 장인이다. 현재 보유자인 아버지 유영기(劉永基, 1936년생)로부터 그 기법을 전수받아 약 37년간 화살 제작 기술을 연마하였고, 2004년에 전승교육사로 인정되었다. 현재 ‘궁시장’은 현장 전승이 어려운 전승취약종목이지만, 이번 인정조사를 통해 3명이 ‘궁시장(궁장2, 시장1)’ 보유자로 인정 예고되면서 향후 전승 현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문화재청은 ‘가야금산조 및 병창’ 보유자인 안숙선 씨를 ‘판소리(춘향가)’ 보유자로 인정 예고하는 동시에 ‘가야금산조 및 병창’ 보유자로는 인정 해제를 예고하였다. 안숙선 씨는 그간 판소리 명창으로서도 대중에게 널리 알려져 있을 만큼 폭넓은 활동을 해왔는데, 이번 ‘판소리(춘향가)’ 보유자 인정조사 결과 전승능력, 전승환경, 전수활동 기여도 등이 탁월하여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춘향가)’ 보유자로 인정 예고되었다. 안숙선 씨의 ‘판소리(춘향가)’ 보유자 인정이 예고되면서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체계의 안정성을 위하여 한 보유자를 복수 종목에 되도록이면 중복인정 하지 않도록 ‘가야금산조 및 병창’ 보유자 인정 해제를 동시 예고하였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국가무형문화재 ‘궁시장’ 보유자로 인정 예고한 김성락, 김윤경, 유세현 씨와 ‘판소리(춘향가)’ 보유자 인정 예고 및 ‘가야금산조 및 병창’ 보유자 인정 해제 예고 대상인 안숙선 씨에 대해서 30일 이상의 예고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무형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 및 해제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문화재청은 적극행정의 일환으로 앞으로도 지속적인 전승자 충원을 통해 전승기반을 확충하는 등 대국민 문화향유 토대 강화에 더욱 노력할 계획이다.
-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
국가무형문화재 ‘가곡’ 보유자 이동규 씨 인정, 안숙선 씨 '판소리' 인정 예고
-
-
국가무형문화재 '가곡' 보유자에 이동규씨 인정 예고, 전승교육사(13종목 16명) 명예보유자 인정
-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국가무형문화재 ‘가곡’ 보유자로 이동규(李東圭, 서울 강남구) 씨를 인정 예고하고, 국가무형문화재 ‘고성오광대’ 전승교육사 이호원(李鎬原, 경남 고성군)씨 등 16명(13개 종목)의 전승교육사를 명예보유자로 인정 예고하였다. 이번에 가곡 보유자로 인정 예고된 이동규 씨는 1958년 국악사양성소(현 국립국악고등학교의 전신)에 입교하여 당시 교사였던 부친(두봉 이병성, 1909~1960)에게 배우며 가곡에 입문하였고, 1961년부터 고(故) 이주환 보유자(1909~1972)에게 본격적으로 사사받았다. 1971년부터는 국립국악원 정악단 단원으로 왕성한 활동을 펼쳐왔으며, 1982년 국가무형문화재 가곡 전승교육사로 인정되어 가곡 전승에 힘써오고 있다. 특히, 악곡에 대한 이해와 해석이 탁월하고, 남성의 호쾌한 창법과 오랜 경력을 통해 획득한 공력의 깊이가 뛰어나다는 평을 받았다. ▶ 이동규 프로필 이번에 명예보유자로 인정 예고한 '고성오광대' 이호원 씨를 비롯한 16명의 전승교육사는 20년 이상 국가무형문화재 전승교육사로서 전수교육과 전승활동에 힘써왔으며, 문화재청은 그간의 공로를 예우하여 명예보유자로 인정 예고하였다. 참고로, 문화재청은 전승자 예우 확대 차원에서 2020년 법령 개정을 통해 전승교육사의 경우에도 명예보유자로 인정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 바 있다. 문화재청은 국가무형문화재 ‘가곡’ 보유자 및 ‘고성오광대’ 등 명예보유자 인정과 관련하여 30일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최종적으로 무형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인정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국가무형문화재 관련 전승기반을 탄탄히 하는 한편, 무형문화재 전승에 헌신해 온 전승자들이 보람과 긍지를 가지고 전승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전승환경과 처우를 꾸준히 개선할 예정이다. 문화재청 홈페이지 ▶ https://www.cha.go.kr
-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
국가무형문화재 '가곡' 보유자에 이동규씨 인정 예고, 전승교육사(13종목 16명) 명예보유자 인정
-
-
어장 동희스님 범패 음반 발매 - 범음 13장 등 총 18장 CD로 출시
- 범패음악 집대성 음반 수록은 처음 송암 문하서 65년간 범음범패 계승 종교적·음악적으로 모두 가치 있어 어장(魚丈) 동희 스님<사진>이 불교 고유의 성악곡, 범패를 18장의 CD에 담아 출시했다. 분야는 범음 13장, 화청 2장, 작법 2장, 대령ㆍ관욕 1장으로 구성했다. 9세기 무렵 신라시대부터 전해오기 시작한 범패는 불교의식을 보다 장엄하게 하고, 심신을 심화시켜 어지러운 마음을 다스려 부처님께 예를 올리는 의식음악이다. 장단과 화성이 없는 단성선율로 이루어진 범패는 서양의 그레고리안 찬트와 같은 성격의 의식음악으로, 특히 범패 중 영산재는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됨으로써 종교음악의 가치를 넘어 한국을 대표하는 소중한 민속음악이기도 하다. 범패의 세계는 무척 넓지만 이번 음반작업에서는 대중들과 나누어야 할 곡들을 추려 ‘범음’ 13장 음반에 담았으며, 불교 무용 세계에 꼭 필요한 곡들은 ‘작법’ 음반에, 불경 속의 교훈적 이야기를 담은 곡들은 ‘화청’ 음반에 각각 수록했다. 그리고 스님들의 의식에 자주 사용되는 곡들은 ‘대령·관욕’으로 따로 담았다. 가곡ㆍ판소리와 더불어 우리나라 3대 성악곡의 하나로 꼽히는 범패 음악이 이처럼 체계적으로 집대성되어 음반에 수록된 경우는 이번이 처음 있는 일이며, 종교적으로는 물론 음악적으로도 매우 가치 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동희 스님은 1945년 해방둥이로 태어나 한국전쟁 중이던 여섯 살 때 서울 청량사에서 조계종 비구니로서의 삶을 시작했다. 13세 때 범패로 명성이 높았던 어장(漁丈) 송암 스님 문하에서 입문하여 범패를 시작했고, 지금까지 65년간 변함없이 범음범패를 계승하면서 그 맥을 잇고 있다. ‘국가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 교육조교 및 조계종 염불종장’인 동희 스님은 비구니로서는 최초로 범패승 계보에 올랐으며, 불교 의식의 무대 공연화를 시도하여 큰 성공을 거두기도 했다. 30세에 옥천범음대학에서 강의를 시작한 이래, 동국대·서울대·한국예술종합학교·각 승가대학교와 국립국악원 등에서 범음과 범패를 가르쳐왔으며, 현재는 동희범음회의 대표로 후학들을 지도하고 있다. ‘국가무형문화재 제126호 진관사 수륙재’ 등 국가의 주요 불교 행사를 집전하고 있으며, 1980년 ‘베를린음악제’ 초청 영산재 공연 이후 로마 교황청 초청 공연, 뉴욕 사운드스페이스 공연, 워싱턴 케네디센터 공연, 도쿄 국립극장 공연 등 해외공연을 통해서도 소중한 우리 문화를 알리는 데 힘쓰고 있다. 스님의 범패는 영혼을 다스리는 소리이며, 스님의 춤은 마음을 다스리는 몸짓’이라는 평가를받고 있다. (자료 문의 : A&A (02)583-4300, 청량사 (02)966-1505) ▶ 해당기사 원문보기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어장 동희스님 범패 음반 발매 - 범음 13장 등 총 18장 CD로 출시
공연소식 검색결과
-
-
[국악공연] 4월 11일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 이아름 여창가곡 한바탕 '녹음방초'
- 1. 공연명 : 이아름 여창가곡 한바탕 '녹음방초2. 장소 : 서울 서초동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 지도보기3. 날짜 : 2023년 4월 11일 (화요일)4. 시간 : 오후 6시 5. 티켓료 : 전석 10,000원6. 문의 : 02-786-1442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 이아름 프로필
-
- 공연소식
- 서울
-
[국악공연] 4월 11일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 이아름 여창가곡 한바탕 '녹음방초'
-
-
12월 31일 국립부산국악원 - 2022 송년공연 '전통에 대한 경의 special'
- 12월 31일(토) 오후 3시 국립부산국악원 연악당에서국립부산국악원의 송년선물!전통예술을 기반한 국악관현악 협주곡으로 임인년을 보내고 계묘년의 안녕을 기원한다.□ 국립부산국악원(원장 이정엽)은 한 해를 마무리하고 새해의 희망을 전하는 2022 송년공연<전통에 대한 경의 special>을 12월 31일(토) 오후 3시에 연악당에서 개최한다.전통에 대한 경의를 표하는 스페셜 무대를 만들다.□ 국립부산국악원은 2014년 제10회 기악단 정기연주회 ‘전통에 대한 경의 Ⅰ’을 개최한 이래, 전통의 계승과 발전을 위해 동․서양음악의 작곡가들과 작업을 지속해오고 있다. 강태홍류 가야금산조와 동래학춤, 부산농악, 부산 기장 오구굿 등 지역에 뿌리를 둔 무형문화재들을 중심으로 재탄생시킨 초연 작품들을 발표하고, 음반과 악보집을 발간하여 창작국악의 새로운 지표를 찾아가고 있다.□ 이번 송년공연은 <전통에 대한 경의 시리즈> Ⅰ~Ⅴ 중 관객의 찬사를 받은 창작곡을 한 자리에 모았다. 수룡음, 수체천, 태평가, 가야금산조, 부산 기장 오구굿과 같은 전통음악에 기반을 두었으며, 원영석(KBS 국악관현악단 상임지휘자) 객원지휘자와 40여명의 국립부산국악원 단원이 함께하여 창작 국악관현악의 진수를 선사한다.전통과 현대가 교감하는 특별한 무대!□ 공연은 전통에 깊이 뿌리를 둔 국악관현악 협주곡이다. 남창가곡을 위한 국악관현악 「폭포수 아래 Ⅱ」, 여창과 거문고를 위한 국악관현악 협주곡 「태평성대」, 수제천 주제에 의한 대금 협주곡 「영원: Eternity」, 강태홍류 가야금산조 주제에 의한 가야금 협주곡 「파사칼리아」, 국악관현악을 위한 「춤추는 바다」 등 총 5작품을 펼친다. 전통에 경의를 표하는 자리를 마련하다□ 국립부산국악원 이정엽 원장은 “새로운 도약을 모색하는 작곡자와 연주자의 창작활동으로 전통음악의 계승과 창조적인 국악발전을 모색하는 무대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공연관람은 취학아동이상으로 전석 10,000원이며, 국립부산국악원 누리집(http://busan.gugak.go.kr)에서 온라인예약 및 전화예약이 가능하다. 국립부산국악원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공연현장 관련 방역 지침이 잘 준수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문의) 051-811-0114
-
- 공연소식
- 부산,경남
-
12월 31일 국립부산국악원 - 2022 송년공연 '전통에 대한 경의 special'
-
-
12월 1일~16일 서울돈화문국악당 - 2022 국악대학전 '내일의 예인'
- 서울남산국악당과 정가악회의 공동기획으로 선보이는<2022국악대학전>이 10월 31일(월)~11월 2일(수)에 서울남산국악당에서 진행되었다. 국악대학전은 2014년 ‘예인, 한옥에 들다’를 전신으로 하여, 2017년부터는 ‘가곡’, ‘판소리’, ‘산조’ 분야로 장르를 확장하여 현재까지 6년째 이어져오고 있는 국악분야 대표적 예술축제이다. 국악대학전은 전국의 국악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별 대표 소리꾼, 산조연주자, 가단을 선정하고 멘토링 및 다양한 워크숍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에게 예술가로 성장할 기회를 제공한다. 단순히 경쟁만으로 과열되는 것이 아닌, 출연자 모두가 함께 성장하고 발전된 모습을 선보임으로써 ‘건강한 축제의 장’을 마련한다.올해 국악대학전은 지난 7월 참가자 모집을 시작으로 7월 31일부터 8월 14일까지 유튜브를 통해 전문평가단의 평가와 관객의 투표로 이루어지는 <1차 동영상 무대>와, 8월 30일부터 31일까지 멘토가 직접 선정에 참여하는 <2차 대면 무대>를 통해 ‘가곡대학전’ 3팀, ‘판소리대학전’ 5팀, ‘산조대학전’ 10명의 출연자들을 선발하였다. 이후 9~10월 중 개별 멘토링과 10월 7일~10일 3박 4일간 필봉문화예술촌에서 열린 <정가악회 음악학교> 프로그램을 통한 합숙형 워크숍을 진행하였으며, 대망의 <2022 국악대학전 본 무대>에서 당일 관객투표와 심사위원 평가를 통해, 장르별 ‘내일의 예인’과 ‘음원 특전’을 선정하며, 선발된 출연자에게는 ‘멘토와 함께하는 개인 독주회’와 ‘온라인 음원 발매’ 특전이 주어졌다.국악대학전은 지금까지 관객과 함께하는 ‘축제’의 형태로 진행해왔다. 특히 본 공연에서 관객들의 현장 투표로 내일의 예인과 음원 특전을 선정하는 방식은 이슈가 되기도 했다. 본 공연 또한 라이브 생중계로도 동시에 진행하며 관객의 투표를 온라인으로 받아 관객들과의 새로운 소통방식의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한다. 라이브 생중계는 정가악회 유튜브 채널을 통해 송출되었다.공연당일 결과를 통해 2022국악대학전 특전 선정자가 선발 되었다.내일의 예인에 선정된 특전자들은 12월1일~16일 19:30에 ▶ 서울돈화문국악당 에서 만날 수 있다. 산조대학전 내일의 예인 박수빈(서울대), 오대주(한예종), 이지수(서울대), 정혜원(한예종),온라인 음원 민지원(한양대), 박수빈(서울대), 원혜정(서울대), 이우현(한양대)
-
- 공연소식
- 서울
-
12월 1일~16일 서울돈화문국악당 - 2022 국악대학전 '내일의 예인'
-
-
[무료초대] 11월 15일 평화문화진지, 가곡 이수자 이아름과 황신혜밴드 허동혁 협업 - 느림과 빠름 고민한 공연 ‘시-시(時-詩)’ 선보여
- 1. 공연명 : 이아름의 정가 '시시'2. 장소 : 서울 도봉구 마들로 932 ▶ 지도보기3. 날짜 : 2022년 11월 15일 (화요일)4. 시간 : 오후 5시 5. 티켓료 : 무료초대6. 문의 : 010-2302-9029 ◆ 출연진 : ▶ 이아름 프로필 , 사운드 디자인- 황신혜밴드, 팔도보부상 멤버 허동혁 ‘시-시(時-詩)’라는 공연 타이틀을 생각한 계기에 대해 공연을 기획한 이아름은 “빠른 속도에 적응하지 못하면 불안감을 조성하는 사회에서 느린 음악을 들을 때 시계를 보는 사람이 왜 많은지 조금은 이해가 됐다.”며 “느림이 인생의 특권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고, 속도의 결정권이 스스로에게 있다는 의미를 담았다”고 말했다. 프로그램1. 십이난간-심영경(조선 고종, 7언시)2. 북두칠성-작자미상3. 달은 반만-작자미상4. 임술지-작자미상5. 모란은-김수장(조선 숙종,영조)6. 반딧불-윤동주(1917-1945)7. 별 헤는 밤-윤동주(1917-1945)
-
- 공연소식
- 서울
-
[무료초대] 11월 15일 평화문화진지, 가곡 이수자 이아름과 황신혜밴드 허동혁 협업 - 느림과 빠름 고민한 공연 ‘시-시(時-詩)’ 선보여
-
-
10월 31일~11월 2일 서울남산국악당 크라운해태홀 - '2022 국악대학전'
- 1. 공연명 : 2022 국악대학전2. 장소 : 서울남산국악당 크라운해태홀 ▶ 지도보기3. 날짜 : 2022.10.31 ~2022.11.024. 시간 : <산조대학전> 10월 31일 (월) : 18시 30분 <가곡대학전> 11월 01일 (화) : 19시 00분 <판소리대학전> 11월 02일 (수) : 19시 00분 5. 티켓료 : 전석 12,000원6. 문의 : 02-583-9979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
- 공연소식
- 서울
-
10월 31일~11월 2일 서울남산국악당 크라운해태홀 - '2022 국악대학전'
-
-
9월 14일~22일, 전통 바탕으로 색다른 창작 무대 이어가는 국립국악원 기획공연 ‘공감시대’ 선보여
- 국립국악원(원장 김영운)이 전통을 바탕으로 관객과 공감할 수 있는 창작 예술가들의 기획공연 <공감시대>를 오는 9월 14일(수)부터 10월 20일(목)까지 총 10회에 걸쳐 풍류사랑방 무대에 올린다. 이번 <공감시대> 공연은 각 월별 장르별 무대로 꾸며, 성악과 기악 분야의 연주자를 중심으로 구성한 9월과 무용과 연희 분야로 꾸민 10월 공연으로 색을 달리해 선보인다.판소리합창으로 듣는 소리극 ‘판소리아지트놀애박스’정가 창법으로 듣는 서양가곡과 90년대 가요 리메이크 ‘장명서×안정아’9월 공감시대의 첫 무대는 전통 성악을 기반으로 한 창작 공연 두 작품으로 문을 연다. 14일(수) 첫 무대에서는 소리꾼 박인혜가 직접 각색과 연출, 작사, 작창, 음악감독까지 맡아 최근 다양한 무대를 통해 화제를 모은 바 있는 ‘판소리 합창 <오버더떼창: 문전본풀이>’의 눈대목을 모아 선보인다. 15일(목)에는 젊은 가객 안정아와 장명서가 정가 창법을 통해 들려주는 서양 가곡과 90년 가요 등을 리메이크해 성큼 다가온 초가을 밤의 편안한 휴식 같은 시간을 선사한다.이것은 국악인가, 중동 음악인가? 국경 넘나드는 그룹 ‘TAAL’자유로운 즉흥의 하모니, 시나위로 형식 넘나드는 ‘앙상블시나위×김덕수’국악으로 색다른 자유로움을 추구하는 두 단체의 9월 20일(화) 무대도 눈길을 끈다. 파키스탄의 전통음악인 까왈리(Qawwali)에 우리 전통음악인 경․서도소리를 더해 국경을 넘나드는 그룹 ‘TAAL’의 무대에서는 두 음악의 환상적인 조화를 통해 탄생한 색다르고도 놀라운 음악을 만날 수 있다. 이어서 장구의 김덕수 명인과 함께하는 앙상블시나위의 무대에서는 즉흥이라는 주제로 하모니를 이뤄가는 ‘길 위의 시나위’를 통해 음악적 형식을 넘어 쏟아내는 흥과 신명을 자유롭게 펼쳐낼 예정이다.익숙한 듯 생소한 전통 악기로 빚은 매력적인 음악‘한솔잎’의 철현금과 운라, ‘정영범’의 비파, ‘윤은화’의 양금9월 21일(수) 무대에서는 철현금, 비파, 양금 등 생소하지만 매력적인 음색을 지닌 악기들이 빚어내는 색다른 음악을 소개한다. 섬세하면서도 힘과 절도가 느껴지는 철현금과 운라, 사랑하는 사람을 안고 대화를 나누는 것 같은 비파, 박진감 넘치는 타악기와 화려한 선율을 들려주는 현악기의 멋을 품은 양금과의 만남이다. 철현금 및 운라연주자 및 창작자 한솔잎과 우리나라의 첫 남성 비파 연주가인 정영범, 대표 양금 연주자 윤은화가 함께한다.바이올린, 하프 등 서양악기와 국악기가 만나 전하는 색다른 성음‘SaaWee’(바이올린×장구), ‘줄앙상블’(해금×비올라), ‘1247’(가야금×하프)9월 22일(목) 무대는 유럽과 미국을 주 무대로 국악기와 서양악기의 조화를 통해 새로운 장르를 창조하는 예술가들의 무대다. 가야금과 하프의 만남 ‘1247’, 해금과 비올라의 조화 ‘줄앙상블’, 바이올린과 장구가 만나 다채로운 음악을 표현한 ‘SaaWee’가 무대에 오른다. 이 세 팀은 국립국악원에서 국내외 국악 콘텐츠 홍보 등을 위해 제작한 뮤직비디오 <국악人프로젝트>에서 발굴한 단체로 화면을 벗어나 실제 무대를 통해 관객과 만나는 뜻 깊은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국립국악원 기획공연 <공감시대> 9월 공연은 9월 14일(수)과 15일(목), 그리고 20일(화)부터 22일(목)까지 총 5회에 걸쳐 19시 30분,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에서 선보인다. 국립국악원 누리집(http://www.gugak.go.kr)과 전화(02-580-3300)로 예매 가능하다. 전석 2만원 (문의 02-580-3300)
-
- 공연소식
- 서울
-
9월 14일~22일, 전통 바탕으로 색다른 창작 무대 이어가는 국립국악원 기획공연 ‘공감시대’ 선보여
-
-
9월 4일 오후 3시, 제10회 손정화 가야금독주회 METAVERS&GAYAGEUM (메타버스&가야금정악)
- 9월 4일 오후 3시, 제 10회 손정화 가야금 독주회 METAVERS&GAYAGEUM (메타버스&가야금정악)이 이프랜드(IFLAND) 도란도란 공연장 룸에서 진행된다. ▶ 손정화 프로필 이프랜드(IFLAND)는 SKT에서 개발한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관객들은 핸드폰을 통해 입장하면 가상공간에서 실제 공연을 보는 듯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이번 공연에서는 한국 전통음악의 여러 갈래 중 하나인 정악을 거문고, 대금, 피리, 생황 등과 함께 옴니버스 형식으로 선보일 예정이며, 궁중에서 연주된 연례악인 도드리와 천년만세, 수요남극지곡, 평조회상과 풍류방 음악인 여창가곡이 연주된다.손정화는 한양대학교에서 음악연주학 박사학위(D.M.A)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사)김병호류 가야금산조 보존회와 (사)한국가야금연주가협회, 양금연구회의 회원으로 활발한 연주활동과 더불어 국가무형문화재 종묘제례악 이수자 및 6장의 음반 발매 및 저서 ‘전공자를 위한 12현 가야금 초견’을 발간하였다.출연자로는 손정화 외 장구 서수복(국립국악원 창작악단 단원)과 거문고 도경태 (KBS국악관현악단 단원), 대금/단소 이승엽 (국립국악원 정악단 부수석), 피리/생황 안형모 (KBS국립국악관현악단 단원)가 함께 참여하였다.공연 관람방법은 휴대폰 앱스토어에서 이프랜드를 다운로드 받은 뒤 회원가입 후 손정화 가야금 독주회 검색을 통해 입장할 수 있으며, 이프랜드 정원제에 따라 130명만 관람이 가능하다.
-
- 공연소식
-
9월 4일 오후 3시, 제10회 손정화 가야금독주회 METAVERS&GAYAGEUM (메타버스&가야금정악)
-
-
5~11월 마지막주 수요일, 전주 국립무형유산원 '21세기 무형유산 너나들이'
-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이경훈)은 5월부터 11월까지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 저녁 7시 30분에 기획공연 <21세기 무형유산 너나들이>를 개최한다. <21세기 무형유산 너나들이>는 무형유산을 기반으로 예술성, 대중성, 동시대성 무대를 선보이며 자신만의 음악적 노선을 추구하는 아티스트들의 콘서트 형식의 공연이다. ‘너나들이’는 서로 ‘너’, ‘나’ 하고 부르며 터놓고 허물없는 사이를 뜻하는 순우리말로, 무형유산 공연이 많은 대중들과 소통하길 바라는 의미를 담았다. 첫 공연인 ▲ 5월 25일에는 한국방송공사(KBS) <트롯 전국체전 TOP4>에 오른 국악인 겸 가수 ‘신승태’, 매일방송(MBN) <보이스퀸>에 출연해 트롯퀸이라는 애칭을 얻은 가수 겸 국악인 ‘이미리’ 그리고 한국 대표적인 재즈그룹 ‘프렐류드’의 베이스 연주자인 ‘최진배 밴드’가 우리 전통음악과 재즈를 접목해 남녀노소 모두가 즐길 수 있는 무대가 열린다. ▲ 6월 29일에는 혜원, 민희로 이뤄진 여성 2인조 ‘해파리(HAEPAARY)’의 공연이 열린다. 국가무형문화재이자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인 종묘제례악과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가곡(歌曲)을 전자음악과 국악이 공존하는 실험적인 음악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 7월 27일에는 한국음악계에서 가장 창의적이고 개성적인 해금연주가로 꼽히는 강은일의 ‘강은일 해금플러스’ 공연이 열린다. 찰현악기 해금과 피리, 타악, 피아노의 선율이 어우러져 해금 크로스오버 음악의 다채로운 매력을 감상할 수 있는 자리이다. 특히 이번 공연에서는 <21세기 무형유산 너나들이> 무대를 위해 작곡한 신곡(新曲)도 감상할 수 있다. ▲ 8월 31일에는 대중과의 소통을 지향하는 그룹 ‘원초적음악집단 이드’의 무대가 열린다. 이번 무대에서 이드는 한국전통음악의 어법(호흡, 장단, 시김새)을 기반으로 서양의 리듬과 선법을 결합해 대중과의 공감대를 확장하고 새로운 활력을 불러일으키는 신명나는 공연을 펼칠 예정이다. ▲ 9월 28일에는 국악창작그룹 ‘뮤르(MuRR)’의 신나는 콘서트가 열린다. ‘국악계의 뮤즈’라 불리는 뮤르는 MBN <조선판스타>를 통해 이름을 알리며 온라인과 현장에서 다양한 무대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그룹이다. 국악과 재즈·블루스·뉴에이지 장르 등 여러 음악 장르와의 작업을 통해 대중적인 무대를 선보인다. ▲ 10월 26일에는 가야금 연주자 윤다영과 첼로 연주자 김 솔 다니엘이 독일 베를린에서 결성한 듀오인 ‘첼로가야금’ 공연이 진행된다. 한국 전통음악이 지닌 음률과 전통악기가 지닌 특수성, 그리고 첼로가 가진 고유의 매력과 특색이 어우러져 동서양의 조화로운 음악이 연주된다. ▲ 11월 30일에는 ‘이정표 밴드’의 경성살롱 공연이 열린다. 1923년부터 1940년의 시대를 풍미했던 유행가들을 가야금 싱어송라이터 이정표가 재해석하여, 그 시기 전통의 아름다움을 복원하고 현대성을 갖춘 새로운 노래들로 재탄생한다. 이번 무대는 복원과 재해석,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공연 예약은 국립무형유산원 누리집(http://www.nihc.go.kr)을 통해 가능하며, 전석 무료초대 공연이다. 현장 참석이 어려운 관객을 위해 네이버 NOW. 국립무형유산원(http://tv.naver.com/nihc)에서 실시간 공연 관람을 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전화(☎063-280-1500, 1501)로 문의하면 된다.
-
- 공연소식
- 광주,전라
-
5~11월 마지막주 수요일, 전주 국립무형유산원 '21세기 무형유산 너나들이'
-
-
4월~6월 격주 토요일, 충주시립우륵국악단 - 토요상설공연 '국악버스킹'
- 1. 공연명 : 충주시립우륵국악단 - 토요상설공연 '국악버스킹' 2. 장소 : 중앙탑공원 내 풍류문화관 (충주시 중앙탑면 탑정안길 10) 상설무대 ▶ 지도보기 3. 날짜 : 총 6회 - 2022년 4월 9일, 4월 23일, 5월 7일, 5월 21일, 6월 4일, 6월 18일 4. 시간 : 오후 2시 5. 티켓료 : 무료초대 6. 문의 : 043-850-7305 ◆ 출연진 : 충주시립우륵국악단 ▶ https://www.chungju.go.kr/chungjuureuk
-
- 공연소식
- 대전,충청
-
4월~6월 격주 토요일, 충주시립우륵국악단 - 토요상설공연 '국악버스킹'
-
-
4월 14일 대구시립국악단 제205회 정기연주회, 젊은 명인전 '시간 여행자들' (고보석, 이희재, 이필기, 임형석 등 출연)
- 1. 공연명 : 대구시립국악단 제205회 정기연주회, 젊은 명인전 '시간 여행자들' 2. 장소 : 대구 성당동 대구문화예술회관 팔공홀 ▶ 지도보기 3. 날짜 : 2022년 4월 14일 (목요일) 4. 시간 : 오후 7시 30분 5. 티켓료 : 전석 10,000원 6. 문의 : 053-606-6193 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 출연진 : 지휘 이현창, 거문고 고보석, 가곡 이희재, 대금 이필기, 피리 임형석, 작곡 이영록
-
- 공연소식
- 대구,경북
-
4월 14일 대구시립국악단 제205회 정기연주회, 젊은 명인전 '시간 여행자들' (고보석, 이희재, 이필기, 임형석 등 출연)
국악동영상 검색결과
-
-
[동영상] 소무.독경 - 일렉트로닉 듀오 '해파리 (HAEPAARY)'
- HAEPAARY는 최혜원과 박민희가 공동 프로듀싱하여 음악을 만드는 일렉트로닉듀오다. 앰비언트와 테크노를 기반으로, 한때 남성의 음악이었던 종묘제례악과 남창가곡을 여성의 목소리로 전복한다. 건반악기와 타악기, 가상악기, 그리고 목소리를 주 악기로하여 작곡·편곡한다. ▶ 박민희 프로필 첫 싱글 ‘소무독경’을 통해 종묘제례악을 앰비언트(반복적이면서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멜로디 구조를 부각하는 인스트루멘틀 음악)와 테크노를 아우른 팝음악으로 선보였다. 해파리 홈페이지 ▶ http://haepaary.com
-
- 국악동영상
- 신국악
-
[동영상] 소무.독경 - 일렉트로닉 듀오 '해파리 (HAEPAARY)'
-
-
[동영상] 부러울 것이 없어라 - 듀오 '해파리 HAEPAARY' (최혜원&박민희)
- ▶ 박민희 프로필 HAEPAARY(해파리)는 박민희(보컬/총괄 프로듀서)와 최혜원(사운드 프로듀서/인스트루먼트)으로 이뤄진 얼트-일렉트로닉 듀오다. 제사 음악이었던 종묘제례악과 풍류 음악이었던 전통 가곡 중 남창가곡의 선율과 가사를 재해석해 엠비언트와 테크노를 기반으로 한 사운드 스케이프 속에 배치한 노래를 주로 선보인다. 해파리 홈페이지 ▶ http://haepaary.com
-
- 국악동영상
- 신국악
- 퓨전(크로스오버)
-
[동영상] 부러울 것이 없어라 - 듀오 '해파리 HAEPAARY' (최혜원&박민희)
-
-
시조 '월정명' - 박덕화 (경북무형문화재 제28호 가곡 보유자)
- 박덕화 (본명 박기자) 경북무형문화재 제28호 가곡 보유자 (2008년 인정) 1988년 백제문화제 대통령상 수상 2005년 경상북도 제46회 문화상 (공연예술부문) 수상 2009년 KBS 국악대상 가악상 수상
-
- 국악동영상
- 정악
- 정가
-
시조 '월정명' - 박덕화 (경북무형문화재 제28호 가곡 보유자)
-
-
국가무형문화재 제41호인 '가사' 소개 영상 (2009년 제작)
- 국가무형문화재 제41호인 가사는 가사체(歌辭體)의 긴 사설을 일정한 선율과 장단의 틀에 넣어서 노래하는 성악곡으로 음악적 구조가 가곡이나 시조보다 확대된 형식을 보여주며, 감정의 표현이 자유롭다. 또한 사설에 따라 가락이 조금씩 다르고, 조바꿈이나 반복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오늘날은 흔히 12가사라고 불리는 12곡이 전해지는데, 이는 일제강점기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에서 아악생들에게 12가사를 가르치면서 전수되었다. 현재는 이 전통이 예능보유자 이양교에게 전승되어 내려오고 있다 이 영상물에서는 가사의 발생과 전승, 12가사의 내용과 음악적 특징, 이양교 보유자와 황규남 전수교육조교를 비롯한 이수자의 실연과정, 전승현황 등에 대한 내용이 상세하게 수록되어 있다. 국가무형문화재 제41호 '가사' 예능보유자 ▶이준아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기타
- 다큐.강의.정보
-
국가무형문화재 제41호인 '가사' 소개 영상 (2009년 제작)
-
-
가곡 태평가 - 이동규, 이승윤
- 반주 : 가야금 송인길, 거문고 이오규, 대금 이삼스님, 피리 곽태천, 해금 이자연, 단소 김상준, 장구 사재성
-
- 국악동영상
- 정악
- 정가
-
가곡 태평가 - 이동규, 이승윤
-
-
경풍년 우조 - 김창곤, 김인애, 윤형욱
- 경풍년(慶豊年)이란 ‘풍년을 기뻐한다’는 뜻으로 궁중행사에서 축하용 음악으로 연주될 때 붙여진 이름이다.성악곡인 가곡 중에서 관악기 편성으로 기악화한 것이다.
-
- 국악동영상
- 정악
- 궁정악.풍류
-
경풍년 우조 - 김창곤, 김인애, 윤형욱
-
-
가곡 태평가 - 이정규, 김상준, 김주남, 김미숙, 안성일
- 노래/이정규, 대금/김상준, 해금/김주남, 거문고/김미숙, 장구/안성일
-
- 국악동영상
- 정악
- 정가
-
가곡 태평가 - 이정규, 김상준, 김주남, 김미숙, 안성일
-
-
수룡음 4중주 - 김철, 이승엽, 조유회, 김인애
- 수룡음(水龍吟)은 ‘용이 물을 희롱하듯 읊조린다.’의 의미가 있습니다.가곡 계면조의 평롱ㆍ계락ㆍ편삭대엽의 반주 선율을 기악곡으로 변주한 곡이며, 주로 단소와 생황의 이중주로 연주되지만, 양금과 대아쟁을 편성하여 연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맑고 깨끗한 단소 소리가 화음 악기인 생황의 구름을 감싸는 듯한 소리를 뚫고 솟아오르면, 어디선가 들려오는 청아한 양금의 울림이 묵직한 저음의 대아쟁 소리와 함께 묘한 대조를 이루며, 선율의 물결을 만들어가는 어울림과 소통의 미학을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 글 국립국악원 문주석 학예연구사 영상정보 국립국악원 토요명품공연 [2015.03.14.] 02. 수룡음 4중주 (7분)전통 가곡의 반주음악을 노래 없이 기악곡으로 연주하는 형태를 자진한잎이라 부른다. 자진한잎은 기악독주나 병주, 중주, 관악합주 등 다양한 형태로 연주되며, 악기 편성에 따라 음악의 질감이 사뭇 달라진다.원래 수룡음이라는 음악은 고려시대 송나라에서 수입되어 조선시대까지 궁중음악으로 사용된 당악곡의 명칭이며, 지금은 전승이 단절된 음악이다. 오늘날은 가곡의 여러 곡목 중에서 평롱, 계락, 편수대엽을 기악으로 연주할 때 이를 수룡음이라 부른다.○ 출연/국립국악원 정악단 - 생황/김철, 단소/이승엽, 양금/조유회, 아쟁/김인애
-
- 국악동영상
- 정악
- 궁정악.풍류
-
수룡음 4중주 - 김철, 이승엽, 조유회, 김인애
-
-
[여창가곡] 계락 '청산도' - 박진희
- 노래/박진희, 피리/윤형욱, 대금/김휘곤, 해금/전은혜, 가야금/강효진, 장구/홍석복 ▶박진희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정악
- 정가
-
[여창가곡] 계락 '청산도' - 박진희
국악인프로필 검색결과
-
-
박새한 프로필 - 피리연주가
- ☆ 박새한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피리, 태평소연주가, 장새납연주가 수련과정ㅣ학력 곽태규, 박영기, 이영, 이영훈, 이호진 선생 사사국립국악중학교 및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한국예술영재교육원 수석 수료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음악과 재학 중 활동 경력 사단법인 경기음악연구회 동인국립국악원 국악 디지털 음원 피리, 태평소 실연자 수상 경력 2018 제17회 평택 지영희 전국국악경연대회 고등부 장원2018 제5회 화성시 전국청소년국악경연대회 대상2019 제35회 동아국악콩쿠르 학생부 피리부문 금상2020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상2022 제42회 온나라국악경연대회 대통령상 홈페이지ㅣSNS https://www.instagram.com/saehaniii [인스타그램]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wHZZZDnq7rQ [서용석류 피리산조]https://youtu.be/mNJc2Xh9CDY [피리독주 상령산풀이]https://www.youtube.com/@Taepyeongso [박새한 유튜브채널] 기타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피리수석이자 가곡 반주의 대가인 ▶ 박영기 선생의 아들이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라,마,바
-
박새한 프로필 - 피리연주가
-
-
김승란 프로필 - 정가
- ☆ 김승란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정가, 가사, 가곡 수련과정ㅣ학력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한양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졸업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 재학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전수자 활동 경력 수상 경력 2013년 제29회 동아국악콩쿠르 학생부 정가부문 금상2016년 제36회 온나라국악경연대회 정가부문 금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N8YeZ8Ipr7Q [가사 '수양산가']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
김승란 프로필 - 정가
-
-
정승준 - 정가
- ☆ 정승준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정가, 가곡 수련과정ㅣ학력 국립국악중학교 및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중앙대학교 전통예술학부 졸업 (학사)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전수자 활동 경력 수상 경력 제25회 전국학생국악경연대회 시조부문 최우수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제8회 월하전국 정가경창대회 명가부 우수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ZSW-ifw6PN4 [태평가 - 구민지, 정승준]https://youtu.be/mWVxDu4bFDA [남창가곡 편락 ‘나무도’]https://youtu.be/MX-X3gedynM [정승준 '북천이 맑다커늘' (풍류대장 1회)]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정승준 - 정가
-
-
안하윤 - 태평소, 피리연주가
- ☆ 안하윤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피리, 태평소연주가 수련과정ㅣ학력 배양현, 김경수 선생 사사부산대학교 한국음악학과 졸업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한국음악학과 석사 졸업 활동 경력 가곡전수관 (마산) 국악연주단 '정음' 단원 역임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비상임단원 역임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0호 동래고무 일반전수생국악그룹 '뜨락' 피리,태평소 연주자창원국악관현악단 단원김해문화원 문화학교 및 국악관현악단 강사 수상 경력 제26회 부산국악대전 일반부 기악 장원제10회 포항전국국악경연대회 일반부 기악 대상 홈페이지ㅣSNS http://www.instagram.com/hayoonahn [인스타그램]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wvOvscnjx38 [피리협주곡 자진한잎 (작곡 이상규, 피리 안하윤)]https://youtu.be/T7PQ67eyEdk [e-끌림 콘서트 '육사씨미']https://youtu.be/RpmfwKNUCa8 [창작국악관현악 '맥을 잇다' (창원국악관현악단)]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안하윤 - 태평소, 피리연주가
-
-
조윤영 프로필 - 정가
- ☆ 조윤영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정가 수련과정ㅣ학력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음악과 졸업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재학 활동 경력 현재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프로젝트 단원서울시청소년국악단 단원 수상 경력 2016 제32회 동아국악콩쿠르 학생부 은상2017 제16회 전국정가경창대회 일반부 전체대상 (국무총리상)2018 국악대학전 내일의예인 선정2020 제40회 온나라국악경연대회 정가 은상2022 제42회 온나라국악경연대회 정가 금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9ADnvhBEOgA [여창가곡 계면조 평롱 '북두칠성']https://youtu.be/qBGYlZybyuU [무엇찾니]https://han.gl/ssAtv [조윤영 유튜브채널]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조윤영 프로필 - 정가
-
-
신근영 - 거문고연주가
- ☆ 신근영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거문고 연주 수련과정ㅣ학력 대전예술고등학교 졸업추계예술대학교 졸업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 졸업 활동 경력 가곡전수관 연주단원 역임프로젝트팀 '더탄' 대표 수상 경력 전국난계국악경연대회 고등부 장려상전국학생국악경연대회 현악 대상 전국승달국악대제전 현악 일반부 최우수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기타 싱글 디지털앨범 '인스툴(INSTOOL)' 발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신근영 - 거문고연주가
-
-
구민지 - 여창가객
- ☆ 구민지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정가, 가곡 수련과정ㅣ학력 국립국악중학교 및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이화여자대학교 한국음악과 졸업이화여대대학교 일반대학원 한국음악과 석사과정 재학 활동 경력 서울시청소년국악단 단원음악그룹 '구이임' 동인 수상 경력 2017 제37회 온나라국악경연대회 정가부문 1등2020 제30회 kbs국악대경연 성악부문 은상 홈페이지ㅣSNS https://www.instagram.com/koominji_s2 [구민지 인스타그램] 동영상 보기 https://han.gl/3SlLM [구민지 유튜브채널]https://youtu.be/YUxI9pXVIC8 [구이임 프로젝트 - 나의 바다]https://youtu.be/jnDV_q8I_0Y [해음 (구민지,황혜영,하수연) - 싸구려 커피 (풍류대장 4회)] 기타 ‘구이임프로젝트'는 국립국악고등학교 동문 (구민지, 이채현, 임정완) 이 만나 2020년 결성된 정가, 가야금, 건반 및 미디사운드로 구성된 팀이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
구민지 - 여창가객
-
-
이성순 - 여창가객
- ☆ 이성순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판소리, 정가, 가곡, 가사 수련과정ㅣ학력 조창훈, 김호성, 조순자, 이동규, 이준아 선생 사사판소리 송순섭, 민요 강송대 선생 사사동국대학교 불교문화예술대학원 석사 (가곡 전공)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이수자 활동 경력 전통음악연구회 '소리무늬' 대표 수상 경력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7SSlkystVcw [사설시조 명년삼월] 기타 2019년 남도가객 '이성순 시조' 음반 발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이성순 - 여창가객
-
-
김미경 - 가곡 / 공연기획 및 연출/ 배재대학교 행정학과 외래교수
- ☆ 김미경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가곡전공 / 공연기획 및 연출, 문화예술행정 강의 수련과정ㅣ학력 경북대학교 예술대학 국악과 졸업(음악학사-가곡전공)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졸업(공공행정 전공 -행정학석사)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과 졸업(문화예술행정전공 -행정학박사) 논문 : 시도무형문화재 정책의 타당성 분석 -법제도를 중심으로- 논문 : 무형문화재정책및 운영의발전방안 연구 논문 : 중요무형문화재 보호관련 법제 및 정책의 개선방안 활동 경력 외 기타경력 전)대전시립연정국악연구원 상임단원(1988~2000) 전)대전국악관현악단, 오주악단 단무장(2000~2003) 전)세종특별자치시 갈등관리 운영위원(2013~2015) 전)배재대학교 자치여론연구소 연구원 가곡 -국가무형문화재 제 30호 홍원기, 조순자 선생님께 사사 가사 - 국가무형문화재제41호 이양교,김호성, 황규남 선생님께 사사 공연경력 :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홍원기문하생 가곡발표회(1989 한국의집) 무대지원공연공연작품 가무악극"오주악" 조연출(2000 대덕과학문화센터) 중요무형문하재제41호 가사 황규남 문하생 가사발표회 (2014.04.24 가곡전수관 영송헌)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기획공연 "가곡"(2014.05.29 가곡전수관 영송헌)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공개행사 "가집속에 숨은 노래 해동가요" (2014.09.25 가곡전수관)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기획공연 "가곡"(2014.05.29 가곡전수관 영송헌)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공개행사 "자즌한닢-첫째바탕" (2015.08.27 가곡전수관 영송헌) 제9회 천년지기 동금악회 정기공연"천년의소리 지기의향기' 봄 거문고소리에 물들다.(2016.04.24 대전연정국악원 작은마당 ) - 가곡공연 및 거문고병창지도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공개행사"가곡원류-정음바로잡기"(2016.08.18 가곡전수관) 제2회 세종시민과 함께하는 가을 음악회 "왔슈 우리가락 한마당" -공연기획및연출, 공연사회및가곡공연(2016.10.01 세종시 시립고복공원 야외무대) 경운대학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산업단 인문학강의 " 자신의 우주라 생각하고 마음껏 펼쳐보자" -효명세자- (2016.11.18 경운대학교 11호관 101호)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공개행사"가집속에 담아낸 노래와 사람들" (2017.09.14 가곡 전수관 영송헌) 올해의무형유산도시 전주의 무형유산 특별기획공연 "전주에 살판,놀판,날판 났네" -가곡공연 (2017.10.21 무형유산원 얼쑤마당 대공연장) 인남순정재 궁중무용50년 "축화지연무회파"- 정재 창사 (2017.11.22 국립국악원 예악당) 전통음악축제 "영송헌금추야연"-가곡공연(2017.12.09 가곡전수관 영송헌) 사)한국전통가무악연구원 초청 국악공연"풍류"-공연기획 및 해설 (2018.04.26 행정안전부 지방자치인재개발원) 사)한국전통가무악연구원 김천에술고등학교 초청공연"명품 그 새로운 감동" -공연기획 및 해설, 가곡공연(2018.06.14김천예고 금산홀)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공개행사 "자즌한닢 둘째바탕" (2018.08.09 가곡전수관 영송헌) 광복73주년 기념공연 "남북한의 처용무" -창사 (2018.08.15 국립중앙박물관 열린마당) 전통음악축제 "영송헌금추야연" 사)한국전통가무악연구원 초청공연"전통의 미래"-공연기획및 연출, 공연사회 (2018.09.07 가곡전수관영송헌) 무형유산전통공연 에술실무가 가정 작품제작 발표공연 "꿈꾸는 산대" 가곡공연 및 정재 처용무 공연(2018.11.24 국립무형유산원 얼쑤마당) 2019.08.08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 "가곡의 시김" (가곡전수관 영송헌) - 여창가곡 노래 2019.08.23 IN DANCE COMPANY "팔방무인(八方舞人)" ( 민속극장 풍류) - 춘앵전 창사 (영친왕 춘앵전 복원공연) 2019.08.31 ~ 2019.09.03 세종특별자자치시 국제교류 중국 구이져우성 "한국전통가무악연구원 초청 해외공연" - 공연기획 및 총연출, 공연사회, 인솔 2019.09.21 이수자 뎐 "풍류에서 한류를 꿈꾸다" (국립무형유산원 얼쑤마당) - 공연기획 및 연출 및 출연 - 손시김 평조 이삭대엽(버들은.)노래 - 창작곡 신처용, 환계락(사랑을...) 편삭대엽 (모시를...) - 창작곡 신처용 ( 정재 처용무 재해석 현대무용과 함께) 2019.09.18 "2019대전방문의 해 한.중 국제교류 축하공연" (대전광역시 주최 한국전통가무악연구원 공연) - 기획 및 공연사회 2019.11.14 국가무형 문화재 공개행사 "연서(戀書)노래로 전한 편지" (가곡전수관 영송헌) - 여창가곡 노래 2019.11.24 서은미와 전통춤을 "마음모아 나빌레라" (소극장 커튼콜) -공연기획 및 연출, 공연 사회 2019.12.07 궁중정재 "최애화전태 (最愛花前態)의 고궁을 걷다" (국립민속박물관) - 가곡 및 공연사회 2020.08.13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공개행사 "만년장환지곡(萬年長歡之曲)" (가곡전수관 영송당) - 여창가곡 평조 평거(일소백미..), 계면조 평거(초강이...) 2020.09.11 처용무 처용가 여창으로 전장 최초노래 (정효문화재단) * 2019년 신문 및 방송 2019년 5월3일.~6월 28일(총9회) 대전일보 "한밭춘추" 국악칼럼 - 매주 금요일 실림. * 2019년7월3일~31일 (총5주 연속 출연) FM 90.5 대전국악방송 18:00~19:30 <금강길 굽이굽이> 매주 수요일 '라디오 사람책'에 5주 연속 출연, 5주 분량은 매회 20분 출연 라디오 사람책은 다양한 콘텐츠를 갖고 계신 지역 명사초청 전문적인 이야기를 들어보는 코너 첫방송일은 7월 3일 (수)~ 7월 31일이 수요일까지 연속 5주 출연 (방송대본 직접 씀) 기타경력 : 공연예술 음악감독 및 대전, 충북문화재단 심의 및 전국국악경연대회 심사 진주국악원, 대전교원연수원 충남교원연수원 등 강의 다수의 학회발표 토론및 강연 사)한국지역인적자원개발학회 기획조정위원 한국우주전략포럼 이사 사)아름다운우리가곡 이사 사)한국예술문화진흥원 부회장 현)세종특별자치시 갈등관리 운영위원(2018~2020) 현) 한국갈등관리연구원 부원장 현)한국지역인적자원개발학회 교육위원 현) 고려대 ,배재대 외래교수 현) 한국전통가무악연구원 대표 수상 경력 동아국악콩쿨 정가 일반부 동상(1994) 대전시립연정국악원 국악발전유공표창 원장상(1996) 대전광역시 문화예술부문 국악발전유공표창 시장상(1998) 2019.12.18 세종특별자치시 국제문화교류 한국전통가무악연구원 - 세종특별자치시 : 시장표창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기타 자격증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이수자 국가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전수자 문화예술교육사 2급 갈등상담사 2급 기타 1급자격증 - 음악심리상담사, 학교폭력예방상담사, 방과후학교지도사 - 부모교육상담사, 가족상담사, 노인심리상담사, 진로적성상담사 교육이수및 수료증 : 국립무형유산원 2017년 무형유산 공연기획 전문역량 과정 이수 및 수료 2018년 무형유산 전통공연 예술 실무자 입문과정및 실무자과정 이수 및 수료 2019년 무형유산 전수교육 교수역량강화과정 이수 2020년 무형유산 전통공연. 예술 실무자 입문과정 수료 (국립무형유산원장) 2020년 무형유산 교수역량 강화과정 수료 (국립무형유산원장, 전주교육대학교총장)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
김미경 - 가곡 / 공연기획 및 연출/ 배재대학교 행정학과 외래교수
-
-
이나연 - 피리, 생황연주가
- ☆ 이나연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피리연주가, 생황연주 수련과정ㅣ학력 국립국악중학교 및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서울대학교 국악과 및 동대학원 졸업 활동 경력 서울시청소년국악단 단원 역임(사) 정가악회 단원 역임현재 모던가곡 멤버 수상 경력 제6회 월하전국정가경창대회 일반부 준우수상제24회 동아국악콩쿠르 피리 일반부 동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bit.ly/2Is0OeA [유튜브]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이나연 - 피리, 생황연주가
관련사이트 검색결과
-
-
류국악 대금연구소
- 대금, 가야금, 소금, 단소, 정가, 가곡, 가사, 음악이론, 개인레슨
-
- 관련사이트
- 단체/기관
-
류국악 대금연구소
-
-
한국의 성악 '정가' - 김재락 다음카페
- 대전시립연정국악원 성악단 상임단원 (가곡, 시조, 가사, 시창 악보 및 음원 수록) http://cafe.daum.net/classicalsong
-
- 관련사이트
- 국악인(팀)
-
한국의 성악 '정가' - 김재락 다음카페
-
-
김영기가곡보존회 - 다음카페
-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보존회, 동영상, 팜플릿 등 자료실
-
- 관련사이트
- 국악인(팀)
-
김영기가곡보존회 - 다음카페
-
-
정가악회
- 2000년 창단, 가곡과 줄풍류 등의 전통음악과 창작음악을 바탕으로 활동하는 국악단체
-
- 관련사이트
- 국악인(팀)
-
정가악회
-
-
월하문화재단
- 서울시 종로구 낙원동 위치, 정가, 가곡, 가사, 시조, 시창 등 교육프로그램 안내 http://www.wolha.or.kr
-
- 관련사이트
- 단체/기관
-
월하문화재단
-
-
가곡전수관 트위터
-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전수관 (경상남도 사천시)
-
- 관련사이트
- 기타
-
가곡전수관 트위터
-
-
가곡 전수관
-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전수관은 가곡의 전승 및 보전을 위해 2006년 9월 경남 마산에 건립
-
- 관련사이트
- 단체/기관
-
가곡 전수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