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동영상Home >  국악동영상
실시간
-
소리꽃 가객단 - 톱송 & 사철가 (한승석 작사 작곡)
작사, 작곡 - 중앙대 한승석 교수 ▶ 한승석 프로필 소리꽃가객단은 '들려주는 소리'를 넘어 '보여주는 소리'로의 확장을 시도하는 음악집단이다. ▶ https://youtu.be/YsZjH8w20Nc [톱송] 판소리 흥보가 중 “박타는 대목”과 “흥보 밥 먹는 대목”을 재구성하여 새롭게 작곡한 노래로, 원곡의 진양조, 중중모리 소리를 휘모리로 바꿔 짜 곡의 속도감을 배가시켰다. [사철가] 단가 “사철가”의 소리꽃 버전이다. 느리고 애상적인 원곡에 비해 소리꽃의 사철가는 경쾌하고 쿨하다.
-
최예림 - Lose Yourself (JTBC 풍류대장 1회)
▶ 최예림 프로필 2021년 JTBC풍류대장에 출연, 에미넴의 ‘루즈 유어셀프(LOSE YOURSELF)’라는 파격적인 곡을 개사하여 힘겨웠던 자신의 삶을 담아 카리스마 넘치는 무대를 꾸며 큰 인기와 함께 엄청난 유튜브 동영상 조회수로 화제가 되었다.
-
가야금병창 전해옥 - '액막이' (BLOCK OF BAD LUCK)
▶ 전해옥 프로필 인류에 COVID-19라는 액운이 엄습하여 많은 이들이 아픔을 겪고 있다. 우리는 이 액을 막기 위해 대한민국의 중심인 광화문에 첫 발을 내딛었다. 우리는 '희망의 전령사'가 되어 서울의 동, 서, 남, 북, 중앙을 돌며 노래와 춤으로 '액막이' 의례를 하였다. "전 세계인들의 평화와 안녕을 기원하며..." [액맥이타령]
-
-
퓨전국악밴드 이야기 (IYAGI) - 출두요
- IYAGI 는 가야금 등 국악기와 양악기와의 조화를 통해 국악의 새로운 길을 개척하고 있는 팀이다. 출두요! 는 한양으로 갔던 이몽룡이 어사가 되어 내려오는 어사출도 장면을 한국음악과 락의 크로스오버로 풀어낸 곡이다. 보컬 ▶ 박상훈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신국악
- 퓨전(크로스오버)
-
퓨전국악밴드 이야기 (IYAGI) - 출두요
-
-
판소리 만정제 춘향가 中 적성가 - 소리꾼 조수황
- 이몽룡이 광한루에 구경 왔다가 사면의 경치를 보면서 사나이의 부푼 마음과 뜻을 한가하게 노래하는 대목이다. 소리 ▶ 조수황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성악)
- 판소리.병창.창극
-
판소리 만정제 춘향가 中 적성가 - 소리꾼 조수황
-
-
[힐링국악 연주곡] 신수용작곡 '새벽 강가에서'
- 신수용 작곡집 Vol.3 '나는 만사형통 나는 운수대통'수록곡 신수용 - 국악뿐만 아니라 성악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이용해 퓨전음악 작업을 하고 있는 국악인이다 관련기사 보기 ▶ http://me2.do/FWFGDhjU
-
- 국악동영상
- 신국악
- 창작(판소리)국악
-
[힐링국악 연주곡] 신수용작곡 '새벽 강가에서'
-
-
[국악가요] 김치와 밥도둑 - 신수용 작사, 작곡, 노래
- 신수용 창작 국악 가요 1집 "그대에게 가는 길" 중 트랙7 신수용 - 국악뿐만 아니라 성악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이용해 퓨전음악 작업을 하고 있는 국악인이다 관련기사 보기 ▶ http://me2.do/FWFGDhjU
-
- 국악동영상
- 신국악
- 국악(풍)가요
-
[국악가요] 김치와 밥도둑 - 신수용 작사, 작곡, 노래
-
-
쥐불놀이 - 퓨전국악그룹 별마루
- 별마루 1집의 앨범 (2007) 타이틀 곡인 '쥐불놀이'는 이미 많은 축제와 행사에 불꽃놀이 전야음악에 쓰여지고 있으며그 인기는 인터넷 국악 차트에 장기간 1위를 차지하여 매니아들 사이에 많은 사랑을 받았다.유럽 및 호주 DJ들이 리믹스 할 만큼 해외 음악 사이트에서도 큰 각광을 받았던 곡이다.
-
- 국악동영상
- 신국악
- 퓨전(크로스오버)
-
쥐불놀이 - 퓨전국악그룹 별마루
실시간 국악동영상
-
-
진도북춤 - 염현주
- 진도북춤은 진도씻김굿 예능보유자 故박병천 선생에 의해 구성된 춤으로 농악 중 북놀이에서 파생된 춤이다. 화려한 북장단과 춤사위를 기본으로 두 손에 북채를 들고,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즉흥성과 신명을 바탕으로 추는 춤이다. ▶염현주 프로필 유진주, 안상화, 임지연, 권민경, 김미경, 오미인, 김현우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진도북춤 - 염현주
-
-
전북무형문화재 제25호 ' 익산기세배'
- 익산 기세배 놀이는 전북지방의 대표적인 민속놀이 가운데 하나이다. 기세배는 농경문화를 대표하는 놀이로서, 옛 마한과 백제시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정월 대보름의 민속놀이이다. 금마 12개 마을이 한자리에 모여 농사의 신에게 풍년을 기원하고, 마을끼리의 협동심과 연대감을 조성시켜 주는데 이 놀이의 목적이 있다. 놀이의 구성 내용은 기제사· 영행 인솔· 당산굿· 기세배· 기놀이· 군무 등으로 되어 있다. 1995년부터는 익산기세배보존회 (회장 소월례)를 설립하여 이 놀이를 계승 발전에 노력하고 있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놀이.종합
-
전북무형문화재 제25호 ' 익산기세배'
-
-
'고창농악' 판굿, 개인놀이 - 전북무형문화재 제7-6호
- 고창농악 판굿, 개인놀이 (고깔소고춤, 통북놀이, 부포춤, 설장구) 기수-박세훈, 윤송희, 김세혁, 이동화꽹과리-이광휴, 김한섭, 박성준징-문기태, 구경모장구-이성수, 서현덕, 김은선, 권지혜, 홍예림북-주영롱, 김호영, 엄재권, 장용수 소고-임성준, 박혜진, 배세진, 이나경, 이새결, 문현주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농악.사물놀이
-
'고창농악' 판굿, 개인놀이 - 전북무형문화재 제7-6호
-
-
전남무형문화재 제18호 '양태옥류 진도북놀이'
- 진도북의 특징은 허리에 북을 고정시키고 북채를 양손에 쥔다는것에 있다. 두 손으로 치기 때문에 가락이 다양하고 다듬이 가락이 발달했으며, 북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춤사위를 다양하게 구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장단마다 리듬이 있으며 가락이 무척 다양하다 ▶ 양태옥류 진도북놀이보존회 (보유자 박강열)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놀이.종합
-
전남무형문화재 제18호 '양태옥류 진도북놀이'
-
-
경남무형문화재 제12호 '진주포구락무'
- 1991년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된 는 경상남도 진주 지방의 교방에서 추어지던 일종의 놀이춤으로 채구(용알·공)를 구문의 풍류안(風流眼)에 던져 넣은 놀이를 음악과 무용으로 형상화한 궁중가무의 하나이다. ▶ 자료 더보기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놀이.종합
-
경남무형문화재 제12호 '진주포구락무'
-
-
판소리 심청가 中 심봉사 눈뜨는대목 - 양가람, 정보권 (고수 김한샘)
- 양가람 - 2016 제34회 전주대사습놀이 학생전국대회 판소리 부문 차상 수상자 정보권 - 2017 제18회 박동진 판소리 명창·명고대회 판소리 일반부 장원 수상자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성악)
- 판소리.병창.창극
-
판소리 심청가 中 심봉사 눈뜨는대목 - 양가람, 정보권 (고수 김한샘)
-
-
사주팔자 - 소리꾼 '정보권'
- 정보권 - 2017 제18회 박동진 판소리 명창·명고대회 판소리 일반부 장원 수상자 미연(피아노), 박재천(드럼), 이명훈(대금), 곽재혁(피리), 이충우(타악), 최영진(해금), 김민영(가야금), 최부미(건반), 이진희(기타), 김윤철(베이스), 채재영, 김소원, 조아라, 문혜연, 정민지(바이올린), 최정욱, 채인영(첼로)
-
- 국악동영상
- 신국악
- 퓨전(크로스오버)
-
사주팔자 - 소리꾼 '정보권'
-
-
설장구춤 - 국립국악원 토요명품공연
- 설장구춤설장구는 원래 풍물굿의 판굿에서 장구잽이의 우두머리를 지칭하는 말이나, 이것이 다시 설장구의 놀이까지도 일컫게 되었다. 판굿 후반부의 개인놀이 중에 펼쳐지는 것이어서 지역이나 사람에 따라 가락의 구성이 달라진다. 이 설장구가 무용수들에 의해서 새롭게 안무되는 경향이 지속되어왔는데, 그 중 하나가 이 ‘설장구춤’이다. 국립국악원의 ‘설장구춤’은 국립국악원 연희부의 박은하에 의해 군무로 짜여진 작품이다.휘모리-오방진(동살풀이)-굿거리삼채(자진모리)-휘모리장단에 맞추어 독무와 군무가 대비되도록 구성되었으며, 이 속에서 장단의 긴장과 이완이 잘 드러난다. SeoljangguDanceThe term “seoljanggu” originally referred to the chief player of janggu in Pangut, but later came to mean the whole performance as well. Since this is performed solo toward the end of Pangut, its melodic makeup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and from one region to another. Seoljanggu has been re-choreographed by numerous dancers, and this is one of them. This particular version by the NGC has been re-choreographed juxtaposing solo and group dances over the rhythmic cycles of hwimori, obangjin (dongsalpuri), gutgeori samchae (jajinmori), and hwimori, featuring their tension and relaxation. ○ 재구성 안무/박은하 (re-choreographed by Park Eun-ha)○ 주최 및 촬영/국립국악원 [National Gugak Center]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설장구춤 - 국립국악원 토요명품공연
-
-
단가 '인생백년' - 소리 & 판소리 '심청가 초입~ 상여나가는대목' - 소리
- 단가 인생백년 소리 정순임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34호 판소리 흥보가 보유자) 고수 송강수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심청가 초입~ 상여나가는대목소리 조아라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34호 판소리 흥보가 이수자, 제39회동래전국전통경연대회 일반부 대상 국회의장상)고수 박재현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정순임 프로필 ▶ 조아라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성악)
- 판소리.병창.창극
-
단가 '인생백년' - 소리 & 판소리 '심청가 초입~ 상여나가는대목' - 소리
-
-
난봉가연곡 - 한명순, 놀량사거리 보존회
- 놀량사거리 보존회황해도 무형문화재 제3호인 한명순을 중심으로 실기인 및 서도소리 애호가로 구성된 단체로 서도소리의 육성발굴 연구보급 경연과 공연 등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 한명순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성악)
- 민요.잡가
-
난봉가연곡 - 한명순, 놀량사거리 보존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