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동영상Home >  국악동영상 >  기타
실시간
실시간 기타
-
-
[YTN 사이언스] 대표적 현악기 '거문고와 가야금' 과연 어떻게 다를까?
- 거문고와 갸야금은 모양이 비슷해 종종 두 악기를 혼동하는 경우가 있지만두 악기는 생김새, 연주법, 소리에서 모든 면이 확연히 다르다고 한다. 거문고와 가야금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본다.
-
- 국악동영상
- 기타
- 다큐.강의.정보
-
[YTN 사이언스] 대표적 현악기 '거문고와 가야금' 과연 어떻게 다를까?
-
-
곡성 죽동농악 -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35호
- 전남무형문화재 제35호 곡성죽동농악은 마당밟이나 당산굿과 같은 마을굿에서 시작하여 인근마을에 걸궁을 하는 들당산과 날당산굿, 그리고 판굿까지 한 바탕 전체를 전승하고 있어서 다른 어떤 지역의 농악보다 화려하고 많은 보유 종목을 자랑한다.
-
- 국악동영상
- 기타
- 다큐.강의.정보
-
곡성 죽동농악 -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35호
-
-
악기장이란?
- 악기장이란 거문고를 비롯하여 가야금·아쟁·해금 등 전통음악에 쓰이는 현악기를 비롯하여 법고·좌고·승무복 등의 북을 제작하는 기능 또는 그러한 기능을 가진 사람을 말한다. 거문고나 가야금이 고구려와 신라에서 사용되었던 점으로 보아 현악기를 만드는 장인은 이미 삼국시대부터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조선시대에는 궁중에 악기조성청(樂器造成廳)이라는 독립된 기관을 설치하여 국가에 필요한 악기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악기장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악기를 만드는 공예기술로 문화재 보존 차원에서 1971년에 중요무형문화재 제42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으며, 1995년에는 북 만드는 공예기술인 북메우기 종목이 악기장에 통합되었다. 현재 현악기 제작 기능보유자로 이영수, 고흥곤이 인정되었다. 북메우기는 보유자가 없으나 전수교육 조교인 이정기, 윤종국이 그 맥을 이어가고 있다. 이 영상물에는 악기 제작의 유래, 악기 제작 실연, 제작 도구, 전승자들의 전승 현황 등 악기장 전반이 상세히 수록되어 있다.
-
- 국악동영상
- 기타
- 다큐.강의.정보
-
악기장이란?
-
-
2007년 광주MBC 제작, 다큐멘터리 - 굿
- 2007년 광주MBC 제작. 한민족의 삶속에 깊이 뿌리내린 굿문화. 그 뿌리와 전통을 탐색한 다큐멘터리 ............ 2007년 광주MBC 제작. 현대적 양상으로 전승되고 있는 여러 가지 굿문화의 여러 양상들과 일본, 러시아 등 해외의 굿 사례.
-
- 국악동영상
- 기타
- 다큐.강의.정보
-
2007년 광주MBC 제작, 다큐멘터리 - 굿
-
-
1998년 '경기도도당굿' - 국가무형문화재 제98호
- 도당굿은 서울을 비롯한 한강 이북지방과 수원·인천 등지에서 마을의 평화와 풍년을 목적으로 매년 또는 2년이나 그 이상의 해를 걸러 정월초나 봄·가을에 정기적으로 행해지는 굿을 말한다. ⊙ 1990년 국가무형문화재 제98호로 지정된 경기도 도당굿은 경기도 일대의 한강 이남지역에 전해져 오는 마을굿으로, 지금은 부천의 장말에서만 완전한 형태의 경기도 도당굿을 볼 수 있다. 경기도 도당굿의 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지만 마을 동산의 소나무 숲속에 300년이 넘은 도당할아버지와 할머니를 모신 당가리가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시대를 통해 대대로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 자료 더보기
-
- 국악동영상
- 기타
- 다큐.강의.정보
-
1998년 '경기도도당굿' - 국가무형문화재 제98호
-
-
마들농요 (서울시 무형문화제 제22호) - 마들농요보존회 '김완수' 회장
- 과거 조상들이 농사일의 고달픔을 잊기 위해 부르던 노동요. 서울에서 유일하게 노원구에서 이 노동요의 맥을 잇고 있는데요. 기자가 만난 사람 이번 시간에는 서울시 무형문화제 제22호인 '마들농요보존회' 김완수 회장을 만나 보겠습니다.
-
- 국악동영상
- 기타
- 다큐.강의.정보
-
마들농요 (서울시 무형문화제 제22호) - 마들농요보존회 '김완수' 회장
-
-
국가무형문화재 제34호 '강령탈춤' 소개 영상 (1960년 제작)
- 강령탈춤은 매년 단오에 행해지는데 언제 어떻게 성립되었는지 밝힐만한 자료는 없으나, 늦어도 조선 후기까지는 성립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놀이는 사자춤·말뚝이춤·목중춤·상좌춤·양반과 말뚝이춤·노승과 취발이춤·영감과 할미광대춤의 7과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놀이에 앞서 탈과 의상을 갖추고 음악을 울리면서 공연장소까지 행렬하는 길놀이를 한다. 등장인물은 마부·사자·원숭이·말뚝이·목중·상좌·맏양반·둘째양반·재물대감·도령·영감·할미·용산삼개집·취발이·노승·소무 등 모두 20명이다. 파계승에 대한 풍자와 양반계급에 대한 모욕, 일부처첩의 삼각관계와 서민의 생활상에 대해 다루고 있다. 춤은 느린 사위로 장삼소매를 고개 너머로 휘두르는 장삼춤이 주가 되며, 장단에는 도드리, 타령, 자진굿거리가 주로 쓰이지만 소리의 사설이 30여 가지나 되고 소리마다 장단이 특이하다. ▶자료 더보기 ▶ 강령탈춤보존회 홈페이지
-
- 국악동영상
- 기타
- 다큐.강의.정보
-
국가무형문화재 제34호 '강령탈춤' 소개 영상 (1960년 제작)
-
-
국가무형문화재 제69호 '하회별신굿탈놀이' 소개 영상 (1982년 제작)
- 별신굿이란 3·5년 혹은 10년마다 마을의 수호신인 성황(서낭)님에게 마을의 평화와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굿을 말한다. 경북 안동 하회마을에서는 약 500년 전부터 10년에 한번 섣달 보름날(12월 15일)이나 특별한 일이 있을 때 무진생(戊辰生) 성황님에게 별신굿을 해왔으며 굿과 더불어 성황님을 즐겁게 해드리기 위하여 탈놀이를 하였다. ▶ 자료 더보기 ▶ 하회별신굿탈놀이보존회 홈페이지
-
- 국악동영상
- 기타
- 다큐.강의.정보
-
국가무형문화재 제69호 '하회별신굿탈놀이' 소개 영상 (1982년 제작)
-
-
돌아와요 부산항에 - 피겨여왕 '김연아' 배경음악
- 김연아 - 2010 밴쿠버올림픽 피겨 금메달리스트
-
- 국악동영상
- 기타
- 가요
-
돌아와요 부산항에 - 피겨여왕 '김연아' 배경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