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동영상Home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실시간
실시간 민속악(종합.무용)
-
-
사랑가 - 장혜림
-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졸업, 2008년 동아무용콩쿠르 금상 수상 ▶ 장혜림 페이스북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사랑가 - 장혜림
-
-
남해안 별신굿 Full 영상 - 정영만과 남해안 별신굿 보존회
- ▶정영만 프로필 남해안 별신굿은 경상남도 통영시를 중심으로 남해안 일대 도서 지방의 농어촌 마을에서 이루어지는 공동제의 형태인 마을굿으로 수백 년의 전통과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87년 국가지정 중요문화재 제 82-4호로 지정되었으며 그들만의 무속음악과 제례 그리고 귀한 남녘 바닷가 춤들을 소담스레 풍류사랑방 무대에 펼쳐놓을 예정이다. 01. 혼맞이굿 신을 무대로 모시기 위한 혼맞이굿. 신이 오시는 길을 열어주며 인도하는 길베가 펼쳐진다. 마지막으로 신을 좌정시키며 굿하는 장소에 모셔놓는다. 02. 올림무관무관(舞館)이란 남해안별신굿에서 춤을 지칭하던 말이다. 남해안별신굿과 신청(神廳)에서는 춤을 잘 추는 사람을 보고 ‘무관이 좋다. 무관을 잘 한다.’고 표현했다. 승방(무녀)이 신칼을 들고 춘다하여 일명 신칼 무관으로도 불린다. 03. 통영진춤승방(무녀)과 산이(악사)를 길러내던 통영 신청(神廳)으로부터 전해지는 춤으로 ‘길다’의 경상도 방언 ‘질다’를 붙여 ‘진 춤’이라 한다. 신청(神廳) 예인들의 고풍스러운 정갈함과 단아함, 그 속에서 우러나는 세련된 정제미를 느낄 수 있다. 04. 승방무관천왕굿과 사찰의 제의에서 추어진 이 무관은 처음에는 불교 의식인 듯이 장삼을 입고 시작하여 장삼을 벗은 이후부터는 승방(무녀)으로서 본격적인 소리와 음악, 무관이 어우러진 굿을 행한다. 05. 용선놀음 승방(무녀)이 천상의 동물인 용을 이끌고 이승에 내려와 모든 액을 거두고 복을 나누어 주며 죽은 넋을 용선에 좌정시켜 천상옥계로 인도해 가는 무관이다. 선놀음은 남해안별신굿의 풍어제와 오귀새남굿에서 행해진다. 06. 송신굿 신을 청해 이승에서 함께 노닐었으니 이제는 신을 천상으로 다시 보내야 한다. 집에 왔던 손님을 떠나보낼 때 문 밖에 나가 배웅을 하듯, 신을 보낼 때에도 무관과 노래로써 배웅을 한다. ▢ 중요무형문화재 제82-4호 남해안 별신굿 보존회○ 이수자승방: 이선희, 타악: 김성훈·신승균·이현호, 피리·태평소: 정석진,대금: 정승훈, 해금·아쟁: 정은주○ 전수자승방: 공임정·심민서·하선주, 피리: 김동윤·김보미, 가야금: 이정민, 대금: 이호윤, 거문고: 이다경(국악방송 연주단) ○ 주최 및 촬영/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굿.무악.종교
-
남해안 별신굿 Full 영상 - 정영만과 남해안 별신굿 보존회
-
-
인당 박동진 선생 탄신 100주년 추모음악회 Full 영상
- 2016 박동진판소리명창명고대회 추모음악회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놀이.종합
-
인당 박동진 선생 탄신 100주년 추모음악회 Full 영상
-
-
동해안 오구굿 중 조상굿 - 김석출 명인 일행
- 1997년 5월 27일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후포7리 항구 실황 인간문화재 김석출 명인 일행 동해안 오구굿 중 조상굿무가:김동연, 장고:김동열, 꽹과리·호적:김석출, 징:오택근, 제금:김영희, 꽹과리:김용택·김정희·김정국현장 기록·촬영: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굿.무악.종교
-
동해안 오구굿 중 조상굿 - 김석출 명인 일행
-
-
동해안별신굿 中 세존굿 - 국가무형문화재 제 82-1호
- 각 가정에 자손창성과 명복, 부귀영화를 기원하는 세존 (世尊) 굿이다. 출연 : 김용택·김동연·김영숙·김정희·정연락·조종훈·손정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굿.무악.종교
-
동해안별신굿 中 세존굿 - 국가무형문화재 제 82-1호
-
-
2016 한국전통춤협회 정기공연 '전신사조' Full 영상
- 1. 호남산조춤무용/ 김정임 외 10명 2. 이동안류 태평무무용/ 정주미 3. 승무무용/ 신미경 4. 도살풀이춤무용/ 김연의 5. 달구벌 입춤무용/ 유경희 6. 12체 장고춤무용/ 임미례 7. 이매방류 살풀이춤무용/ 문숙경 8. 북춤무용/ 염현주 외 8명 1. 살풀이 춤무용/ 진유림 외2. 강선영류 태평무무용/ 임현선3. 승무무용/ 오은희4. 한량무무용/ 채상묵5. 전통 굿거리춤무용/ 김은희6. 소고춤무용/ 한혜경7. 호남산조춤무용/ 이길주8. 장고춤무용/ 채향순, 최지선, 한진희, 박차은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2016 한국전통춤협회 정기공연 '전신사조' Full 영상
-
-
국립국악원 수요춤전 : 그날의 기억 - '벽사 (碧史) 정재만' Full 영상
- ▶故 정재만 프로필 01. 살풀이춤 (11:36)살풀이 장단에 춤을 붙여 춤추는 이의 심적 고저 또는 내면의 세계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고도의 기교가 요구되는 춤이다. 즉흥무 또는 수건춤이라고도 불려지나 1935년 부민관에서 초연되면서 한성준에 의해 살풀이춤으로 명칭이 고정되었다고 한다. 이 춤은 인간의 한과 비애를 풀어 슬픔을 기쁨으로 승화시킨다. 또한 내면의 이중적 구조를 지닌 예술성이 높은 춤으로 정·중·동과 절제미의 극치를 이루는 춤이다. 벽사류 춤의 사군자 중 국화(菊)에 비유된다.○ 춤/정형진 02. 승무 (33:34)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로 지정된 승무는 한국 춤의 백미라 할 수 있다. 한국 춤사위를 총 집대성 해놓은 춤으로 질량의 확대가 크며 공간 구성미가 돋보인다. 또한 중용(中庸)의 법칙을 바탕으로 인간 내면철학의 경지로 승화되었다. 벽사류 승무는 한성준-한영숙-정재만으로 전해지며, 기원의 성격을 띤 제의의 춤으로 天, 地, 人 삼재(三才) 사상이 내제된 담백하고 우아하며 정제된 고품격의 춤이다. 벽사류 춤의 사군자중 대나무(竹)에 비유된다.○ 춤/정용진·이화진·김은숙·천순진·김미경·손현주 03. 큰태평무 (52:48)1900년대 한국 근대춤의 대가인 故 한성준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나라의 태평성대를 바라는 왕과 왕비의 마음을 담은 춤이다. 지신(地神)에게 마음을 다해 기원하는 의미로 발디딤이 섬세하고 활동적이다. 이 춤은 그의 손녀인 故 한영숙에게 전해졌으며, 그녀의 제자인 故 정재만에 의해 계승·발전 되었다.故 한영숙의 태평무는 본래 붉은 원삼 속에 당의를 입고 양손에는 한삼을 끼고 추었다가, 이후에는 당의만 입고 추는 춤으로 간결하게 바뀌었다. 후에 故 정재만에 의해 다시 복원되었으며, 나아가 군무화 되면서 큰태평무로 발전하여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벽사류 춤의 사군자 중 난(蘭)에 비유된다.○ 춤/김미숙·장미옥·윤민숙·이태영·박서연·박남영 04. 광대무 (1:02:30)광대무는 故 한성준으로부터 전래되었다. 정확한 춤의 형태는 전해지지 않으나 패랭이에 깃털을 꽂고 춤추는 故 한성준의 사진을 기반으로 손녀딸인 故 한영숙의 고증을 통해 복원되었다.2005년 무용극 [놀당갑서]에서 故 정재만에 의해 초연되었으며, 허튼 가락과 맺고 끊는 춤사위가 특징이다. 또한 줄타기하는 모습과 부채를 들고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광대의 멋이 잘 나타나는 작품이다. 지금은 그의 아들인 정용진에 의해 계승되어 추어지고 있다.○ 춤/정용진 * 출연/정재만 춤 보존회* 음악감독/유인상 ○ 주최 및 촬영/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국립국악원 수요춤전 : 그날의 기억 - '벽사 (碧史) 정재만' Full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