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동영상Home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실시간
실시간 민속악(종합.무용)
-
-
국립국악원 수요춤전 : 장인숙의 춤 무시무종(舞始無終) Full 영상
- ▶장인숙 프로필 01. 동초수건춤 (8:07)전라북도 지방의 권번 또는 기방에서 동기(어린 기녀)나 초립동이 추었던 수건춤을 최선이 동초 수건춤으로 재정리하였다.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15호로 지정 된 춤이다.○ 춤/장인숙 02. 산조춤 (24:10)김백봉류 산조로써 심상의 부단한 기복을 마치 수필로 이어가듯 그려내는 매끄럽고 부드러운 춤이다. 김백봉은 스스로 풀이하기를 “그것은 마음의 노래요, 영혼의 속삼임”이라고 말한다.○ 춤/장인숙 03. 판소리춤극 5바탕 눈대목 (39:45)판소리 다섯 바탕의 춤을 춤꾼과 소리꾼이 한 무대에서 표현한다. 대표적인 판소리의 눈대목을 귀와 눈으로 즐겨보자.○ 청의 눈물 중에서 '아버지를 어쩌고 갈까': 춤/김혜진○ 춤추는 춘향 중에서 '사랑과 이별': 춤/변은정○ 수궁 별가 중에서 '토끼화상을 그리다': 춤/박명숙○ 타고남은 적벽 중에서 '타는 적벽': 춤/이해원○ 제비, 제부 흥부야 중에서 '흥부가 좋아라고': 춤/박명숙·이해원·김혜진·변은정 04. 호남살풀이춤 (56:45)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15호로 지정된 춤으로 우아하면서도 섬세한 아름다움을 자랑한다. 깊이 가라앉는 호흡의 춤사위와 엇가락이 일품인 춤이다.○ 춤/장인숙 05. 진주부채춤 (1:15:24)장인숙류의 전주 부채춤은 산조, 남도민요, 구음살풀이, 남도굿거리 등 전주의 시나위 가락, 전주 합죽선이 더해져 살풀이 춤의 그늘지고 깊은 호흡의 춤사위와 당당하고 화려한 부채춤의 춤사위가 함께 공존하는 춤이다.○ 춤/장인숙·박명숙·이해원·김혜진·변은정 * 출연/널마루 무용단* 연출/지기학* 음악- 소리/김대일·정승희, 장구/황상현, 피리/허진, 거문고/윤이나, 대금/박원배, 해금/김승정, 기타/박석주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국립국악원 수요춤전 : 장인숙의 춤 무시무종(舞始無終) Full 영상
-
-
부채춤 - 국립국악원 토요명품공연 (지도 최경자)
- 부채춤은 화려한 모양의 부채를 들고 추는 춤으로, 1954년 김백봉에 의해 창작되었다. 무속에서 무녀들이 추는 고운 춤동작과 굿의 신명을 궁중무용 춤사위에 결합하여 재구성한 것으로, 부채를 접고 펼 때의 소리가 악기 역할이 되기도 하는 독특한 매력을 가진 춤이다. 경쾌한 기악반주에 무용수들의 화려한 의상과 부채가 어우러지는 생동감 넘치는 작품이다. ○ 지도/최경자, 부채춤/김진정·최성희·윤은주·김영애·이주희·백미진·정승연·서희정·이미영·이윤정·박지애·이도경·임동연·이하경○ 피리/이호진, 대금/원완철, 해금/김정림, 가야금/박준호, 아쟁/윤서경, 장고/조용복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부채춤 - 국립국악원 토요명품공연 (지도 최경자)
-
-
김채봉과 장필성의 애틋한 사랑, 서도소리극 Full 영상
- 채봉역에 김유리, 장필성역에 김진찬, 평양감사역에 문현,이근찬, 문형식 등 2015년 12월 19일 서울 서초동 국립국악원 예악당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놀이.종합
-
김채봉과 장필성의 애틋한 사랑, 서도소리극 Full 영상
-
-
토끼이야기 - 김덕수 (장구) + 박종호 (소리)
- ▶김덕수 프로필 ▶박종호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놀이.종합
-
토끼이야기 - 김덕수 (장구) + 박종호 (소리)
-
-
지운하 명인 풍물인생 60주년 - 공연 Full 영상
- ▼ 1부 예인의 길 ▼ 2부 유랑의 길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놀이.종합
-
지운하 명인 풍물인생 60주년 - 공연 Full 영상
-
-
가무악 中 칠고무
- 칠고무는 틀 위에 큰북을 일곱개 걸어놓고 북을 치면서 추는 춤으로 화려하고 활기차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가무악 中 칠고무
-
-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정기공연 - Full영상
- 예술감독 안숙선, 연출 홍원기, 작곡 양승환, 음악 구성 김영길 유지숙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놀이.종합
-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정기공연 - Full영상
-
-
국립국악원 수요춤전 - 가무악인 박병천
- 01. 천개 (7:13)하늘을 여는 소리 천개는 박병천 선생님의 영상 구음과 어우러지는 창작 춤으로 각개인의 선생님의 구음으로 마음에 전달되는 몸짓들을 각기표출 정중동의 멋과 소리 속에 품어있는 자연스러운 삶의 흐름을 춤으로 표출해간다.○ 안무‧구성/이경화, 춤/이경화‧명나리‧이규정‧유현진‧김학영‧김은희‧하지연 02. 신쾌동류 거문고 산조 (26:34)○ 거문고/박영실, 장구/김태영 03. 영돗말이 지전춤, 고풀이 (45:56)영돗말이는 중요무형문화재 제72호 진도 씻김굿 중 한 굿거리로 영가혼을 돗자리에 말았다는 뜻이다. 망자의 넋을 돗자리에 말아 세워놓고 처음에 향물로 목욕시키는데 향의 냄새는 이 세상과 저 세상을 연결한다는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두 번째 중탕에 목욕할 때는 쑥물로 목욕을 시키는데 이는 잡귀신의 침범을 막기 위함이며, 세 번째 하탕에 목욕할 때 맑은 청계수로 목욕시키면 모든 것이 깨끗해진다는 뜻이 된다. 이것을 모두 씻김이라고 부른다. 지전은 종이로 만든 돈이라는 뜻으로 이것을 들고 춤을 춘다하여 지전춤이라 한다. ‘유전(有錢)이면 가사귀(可事歸)’라 하여, 동·서·남·북·중앙 오방신장에게 돈을 바치며 기원하는 춤으로, 신에게 돈을 바쳐, 액과 살을 막고 항상 복이 같이 하기를 기원하는 춤이다. 마지막으로 고풀이는 진도씻김굿중 액과 고를 풀어주는 춤이다.○ 재구성 및 지도/강은영, 춤/강은영‧송영인‧강민아 04. 강강술래 (59:10)○ 재구성 및 지도/김진옥, 춤/구명서‧정혜준‧유혜지‧김수아‧이채연‧장영민‧강지숙‧김승현 05. 진도북춤 (1:11:49)박병천 선생에 의해 널리 알려진 춤으로, 농요에 맞춰 일꾼들을 격려하여 흥을 돋우어 주던 두레굿에서 소박한 농촌의 북만을 따로 독립시켜 춤으로 승화시킨 독특한 북춤사위와 가락이 농축된 작품이다. 리듬감이 경쾌하고 우아하며 풍물 가락과 판소리 가락, 의식의 가락으로 다양하고 폭넓게 구성되어 있고 역동적이면서도 직선미와 곡선미의 조화가 뚜렷하다. 이 춤의 특징은 2개의 쌍북가락을 양손에 나뉘어 쥐고 손에든 북가락을 쥐락펴락하며 나는 듯 머무르는 듯 화려한 발놀림으로 몰아치고 되돌아가는 멋과 자진모리로 등장한 장단이 굿거리에서 자진모리, 동살풀이, 휘모리로 휘몰아쳐 흥과 멋의 극치를 자아내는 데 있다. 오묘한 가락에 오묘한 몸짓이 있듯이 장단과 가락, 춤의 조화가 어우러져 춤사위의 기교가 뛰어나 세련되면서도 매우 힘이 있으며 예술성이 돋보이는 춤이다.○ 재구성 및 지도/이경화, 춤/이경화‧이규정‧유현진‧이지은‧김학영 * 출연/ (사)박병천류진도북춤보존회(이사장 이경화)이경화/(사)박병천류진도북춤보존회 이사장강은영/ (사)박병천류진도북춤보존회 수석 부회장김은희/ (사)박병천류진도북춤보존회 이사(사)박병천류진도북춤본존회 회원/명나리, 이규정, 유현진, 김학영, 하지연, 구명서, 정혜준, 유혜지,김수아, 이채연, 장영민, 강지숙, 김승현, 송영인, 강민아 * 특별출연: 박영실/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한국음악과 재학, 故 박병천 손녀* 음악감독: 김오현/진도군립예술단 단장* 지도김진옥/ (사)박병천류진도북춤보존회 상임이사윤명화/ (사)박병천류진도북춤보존회 부회장 ○ 주최 및 촬영/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국립국악원 수요춤전 - 가무악인 박병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