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동영상Home >  국악동영상 >  민속악(성악)
실시간
실시간 민속악(성악)
-
-
조수황의 만정제 '춘향가'
- < ▶ 조수황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성악)
- 판소리.병창.창극
-
조수황의 만정제 '춘향가'
-
-
12잡가 '방물가' - 이금미
- 서울 경기지방에서 불려지는 12잡가는 전문적인 소리꾼들에 의해 불려졌던 민속성악곡으로 긴잡가 라고도 하며, 19세기 무렵 성행하였다. 선율과 장단, 형식 등이 민요에 비해 어렵고 세련된 것이 특징이다. 서서 부르지 않고 앉아서 부르기 때문에 12 좌창이라고도 한다.‘방물가’는 한양으로 떠나는 임을 그리며 애가 타는 아녀자의 속도 모르고 집, 세간, 의복, 노리개 치레 등 허다한 물건을 들추어내며 아녀자의 소원을 풀어 주겠다며 돈자랑하는 시골 부자의 사랑노래이다. 노래 ▶이금미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성악)
- 민요.잡가
-
12잡가 '방물가' - 이금미
-
-
판소리 수궁가 中 일개한퇴 - 오롯이 (최잔디,민현경,왕윤정)
- ▶ 최잔디 프로필 ▶민현경 프로필 ▶왕윤정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성악)
- 판소리.병창.창극
-
판소리 수궁가 中 일개한퇴 - 오롯이 (최잔디,민현경,왕윤정)
-
-
해녀노래 '이어도사나' - 유지숙·김민경·이주은·조정희, 장구 정준호
- '해녀노래-이어도사나'는 해녀들이 제주도 특유의 뗏목인 테우를 타고 물질을 나가거나 일을 마치고 돌아올 때, 노를 저으면서 부르던 노래이다. 가족을 위해 목숨을 걸고 바다로 나가야 했던 해녀들의 애환이 잘 나타난 노래이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성악)
- 민요.잡가
-
해녀노래 '이어도사나' - 유지숙·김민경·이주은·조정희, 장구 정준호
-
-
남도민요 '흥타령' - 박성희
- ▶박성희 프로필 2017.11.15 국립부산국악원 예지당 박성희 여섯번째 독주회 "육자배기" 中 흥타령 (공연실황)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성악)
- 민요.잡가
-
남도민요 '흥타령' - 박성희
-
-
정선아리랑 '긴아라리' - 강원도 예능보유자 '김남기'
- 김남기 -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호 정선아리랑 예능보유자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성악)
- 민요.잡가
-
정선아리랑 '긴아라리' - 강원도 예능보유자 '김남기'
-
-
구음시나위 - 전라북도립국악단
- 시나위 - 연주/ 전주시립국악단 서민들 사이에서 불리워진 '민속악'의 한 종류로 주로 남도 지방의 무악, 즉 살풀이굿을 할 때 연주했던 기악에서 유래했던 것으로 보이며, 장단은 거의 '살풀이장단'이고, 경기지방에서는 '도살풀이장단' , 전라도지방에서는 '살풀이'로 통한다. 굿을 할 때 즉흥적, 유동적으로 연주되었던 것으로 즉흥적인 조화미에 그 묘미가 있다. 판소리 또는 계면조 가락과 비슷하다. 연주악기는 향피리,대금,해금,장고 등으로 편성된다. 무당이 전라도 대표민요인 육자배기 토리로 된 무가를 부르면 편성된 악기들이 저마다의 선율을 연주하면서도 즉흥적인 조화를 이루면서 연주해야 하므로 고도의 음악성과 연주기술이 요구된다. 출처 : 문화콘텐츠닷컴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성악)
- 구음
-
구음시나위 - 전라북도립국악단
-
-
평창아라리 - 유라예술단
- ▶ 유라예술단 페이스북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성악)
- 민요.잡가
-
평창아라리 - 유라예술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