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동영상Home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실시간
실시간 민속악(기악)
-
-
Beat DoDo (비트 도도) - 여성전통타악그룹 도도
- 우리가락 우리문화 ▶ 여성전통타악그룹 '도도' 홈페이지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타악
-
Beat DoDo (비트 도도) - 여성전통타악그룹 도도
-
-
순환 - 월드타악그룹 '고리'
- 제1137회 국악한마당 ▶ 월드타악그룹 '고리' 페이스북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타악
-
순환 - 월드타악그룹 '고리'
-
-
4대의 꽹과리를 위한 타악 앙상블 '일식' - 윤용준
- 무율악기인 꽹과리를 사용하여 음률을 가진 창작음악으로 구성. 작곡 : 윤용준 초연 : 2009년 6월 28일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타악
-
4대의 꽹과리를 위한 타악 앙상블 '일식' - 윤용준
-
-
강릉농악 (국가무형문화재 제11-4호) 정기공연
- 국가무형문화재 제11-4호인 강릉농악은 강원도 태백산맥 동쪽에 전승되어 오는 대표적인 영동농악의 하나로 농경생활을 흉내내어 재현하는 농사풀이가 있기 때문에 '농사풀이농악'이라고도 한다. 유래에 관한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농경생활을 시작하면서부터 발생한 것으로 추측된다. 강릉농악은 농기, 쇄납(날라리), 꽹과리, 징, 북, 장구, 소고, 법고(불교의식 때 쓰는 작은북) 및 무동(사내아이)으로 편성된다. 연주자들은 흰 바지저고리에 홍·청·황의 삼색띠를 두르고 무동들은 여러 가지 색깔이 섞인 옷을 입는다. ▶ 자료 더보기 ▶ 강릉농악보존회 홈페이지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농악.사물놀이
-
강릉농악 (국가무형문화재 제11-4호) 정기공연
-
-
진주삼천포농악 (제22회 필봉마을굿 축제)
- 1966년 6월 농악부문 최초로 국가무형문화재 제11호로 지정되었던 진주삼천포농악은 진주·삼천포 지역에 전래되고 있는 농악으로 영남농악에 속한다. 진주삼천포농악에 쓰이는 악기에는 꽹과리, 징, 장구, 북, 법고가 있으며, 편성은 기수(旗手)와 쇠, 징, 북, 장구, 법고 그리고 양반과 포수로 되어 있다. 모두가 흰바지와 색깔있는 저고리의 농악복에 색띠를 두루고, 모자(상모)를 쓴 채 연주하는데 개인놀이가 비교적 발달하였다. 판굿에서는 채상모놀이가 돋보이며, 군사놀이인 팔진해식진(八陣解式陣)굿이 특이하다. 빠른 가락을 모는 경우가 많아 힘차고 가락이 다채로워 흥겹다. 진주삼천포농악은 판굿의 전통을 이어받고 있어 예술적 가치가 높으며, 팔진법이라든가 버꾸놀이, 상쇠놀이, 무동놀이(사내아이들이 노래하고 춤추는 것) 등의 개인기가 뛰어나다. ▶ 자료 더보기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농악.사물놀이
-
진주삼천포농악 (제22회 필봉마을굿 축제)
-
-
김영철류 철현금산조 - 서영호 (고수 김청만)
- ▶ 김청만 프로필 ▶ 서영호 프로필 철현금은 남사당 줄타기 명인인 故김영철 선생이 고안하여 기타를 거문고처럼 바닥에 눕혀서 연주한 악기이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산조
-
김영철류 철현금산조 - 서영호 (고수 김청만)
-
-
한갑득류 거문고산조 - 이재하
- ▶ 이재하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산조
-
한갑득류 거문고산조 - 이재하
-
-
2017 '평택농악' 상설공연
- 평택농악(平澤農樂)은 지역분류상 웃다리 농악에 속하는 농악으로, 1985년 12월 1일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제11-2호로 지정되었다. ▶ 평택농악보존회 홈페이지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농악.사물놀이
-
2017 '평택농악' 상설공연
-
-
강태홍류 가야금산조 - 신명숙
- ▶ 신명숙 프로필, 장구 구환석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산조
-
강태홍류 가야금산조 - 신명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