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3-27(월)

국악동영상
Home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실시간

실시간 민속악(기악)

  • 청도차산농악 -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4호
    경북무형문화재 제4호 '청도차산농악'은 천왕기싸움과 지신밟기를 기초로 발전한 악무로서 경상도를 대표하던 농악이다. ▶ 청도차산농악 홈페이지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농악.사물놀이
    2018-02-03
  • 부산농악 - 부산시 무형문화재 제6호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峨嵋洞)에 전승하는 농악.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6호. 1980년 2월에 지정되었다. 부산 농악의 발단은 해방 후부터 1950년 사이의 유삼용(柳三龍:1970년에 작고)의 '곱은돌이농악'이며, 이를 기초로 1953년 정초에 '아미농악단'이 창단되었다. 아미농악은 제21회 전국 민속예술경연대회를 비롯하여 여러 대회에서 입상함으로써 널리 알려졌다. 부산 농악의 특징으로는 집돌이 걸립농악을 바탕으로 하는 점, 지신밟기에 앞서 당산굿을 치면서 모듬굿과 기제(旗祭)를 지내는 점, 집돌이 때의 지신밟기 문서가 다양하게 발달한 점, 판굿의 연극적 농사굿과 북춤이 돋보이는 점, 버꾸놀음의 기능이 뛰어난 점 등이 꼽힌다. 굿꾼은 기수 3(농기 1, 영기 2)·꽹과리 4(상쇠, 부쇠, 종쇠, 끝쇠)·징 2(수징, 부징)·대북 4(수대북, 부대북, 종대북, 끝대북)·장구 4(수장구, 부장구, 종장구, 끝장구)·버꾸 8·소고 8·쇄납 1·가장 4(양반 광대, 포수, 각시, 화동)로 편성된다. 쇠가락에는 길굿·다드래기·사방굿·덧뵈기(늦은 삼채)·빠른 덧뵈기(자진 삼채)·마침굿가락·빠른 마침굿가락·마당굿가락·자진 마당굿가락이 있다. 지신밟기를 할 때는 먼저 당산굿(앞뜰에 기를 세우고 젯상을 차린 다음 굿꾼들을 모으기 위한 모듬굿을 침. 기제·길굿을 치면서 당산으로 가 이열횡대로 서서 당을 향하여 세 번 절한 다음 제자리에서 동서남북으로 절하고 지신밟기를 행함을 고함)을 치고 공동 우물에 도착하여 샘굿을 친 후 집돌이에 들어간다. 지신은 문굿·성주굿·조왕굿·장독굿·용왕굿·정랑굿(변소)·점방굿 순서로 밟는다. 판굿은 모듬굿·길굿·인사굿·맞춤굿·문굿·오방진·승전굿·마당굿·영산다드래기·호호굿·우물굿·농사굿·'ㄷ'자 대열의 풍년굿·소고놀음·개인놀이(쇠꾼의 상모놀이­버꾸놀음­장구춤­대북춤­열두발 상모 돌리기)로 구성된다.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농악.사물놀이
    2018-02-03
  • Beat DoDo (비트 도도) - 여성전통타악그룹 도도
    우리가락 우리문화 ▶ 여성전통타악그룹 '도도' 홈페이지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타악
    2018-02-01
  • 순환 - 월드타악그룹 '고리'
    제1137회 국악한마당 ▶ 월드타악그룹 '고리' 페이스북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타악
    2018-01-31
  • 이생강류 대금산조 - 최신
    ▶ 최신 프로필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산조
    2018-01-29
  • 4대의 꽹과리를 위한 타악 앙상블 '일식' - 윤용준
    무율악기인 꽹과리를 사용하여 음률을 가진 창작음악으로 구성. 작곡 : 윤용준 초연 : 2009년 6월 28일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타악
    2018-01-23
  • 강릉농악 (국가무형문화재 제11-4호) 정기공연
    국가무형문화재 제11-4호인 강릉농악은 강원도 태백산맥 동쪽에 전승되어 오는 대표적인 영동농악의 하나로 농경생활을 흉내내어 재현하는 농사풀이가 있기 때문에 '농사풀이농악'이라고도 한다. 유래에 관한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농경생활을 시작하면서부터 발생한 것으로 추측된다. 강릉농악은 농기, 쇄납(날라리), 꽹과리, 징, 북, 장구, 소고, 법고(불교의식 때 쓰는 작은북) 및 무동(사내아이)으로 편성된다. 연주자들은 흰 바지저고리에 홍·청·황의 삼색띠를 두르고 무동들은 여러 가지 색깔이 섞인 옷을 입는다. ▶ 자료 더보기 ▶ 강릉농악보존회 홈페이지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농악.사물놀이
    2018-01-20
  • 진주삼천포농악 (제22회 필봉마을굿 축제)
    1966년 6월 농악부문 최초로 국가무형문화재 제11호로 지정되었던 진주삼천포농악은 진주·삼천포 지역에 전래되고 있는 농악으로 영남농악에 속한다. 진주삼천포농악에 쓰이는 악기에는 꽹과리, 징, 장구, 북, 법고가 있으며, 편성은 기수(旗手)와 쇠, 징, 북, 장구, 법고 그리고 양반과 포수로 되어 있다. 모두가 흰바지와 색깔있는 저고리의 농악복에 색띠를 두루고, 모자(상모)를 쓴 채 연주하는데 개인놀이가 비교적 발달하였다. 판굿에서는 채상모놀이가 돋보이며, 군사놀이인 팔진해식진(八陣解式陣)굿이 특이하다. 빠른 가락을 모는 경우가 많아 힘차고 가락이 다채로워 흥겹다. 진주삼천포농악은 판굿의 전통을 이어받고 있어 예술적 가치가 높으며, 팔진법이라든가 버꾸놀이, 상쇠놀이, 무동놀이(사내아이들이 노래하고 춤추는 것) 등의 개인기가 뛰어나다. ▶ 자료 더보기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농악.사물놀이
    2018-01-20
  • 김영철류 철현금산조 - 서영호 (고수 김청만)
    ▶ 김청만 프로필 ▶ 서영호 프로필 철현금은 남사당 줄타기 명인인 故김영철 선생이 고안하여 기타를 거문고처럼 바닥에 눕혀서 연주한 악기이다.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산조
    2018-01-20
  • 한갑득류 거문고산조 - 이재하
    ▶ 이재하 프로필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산조
    2018-01-17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