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동영상Home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실시간
실시간 민속악(기악)
-
-
대구 고산농악 - 대구무형문화재 제1호
-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호인 고산농악은 마을 개척시기부터 전승되어 오면서 농악 원래의 소박성을 그 원형대로 비교적 잘 보존하고 있다. 대흥동에서는 매년 음력 정월 보름에 동제(上堂, 中堂, 下堂)를 지내는데 이 동제의 왕복길에 농악을 잡히며 동제가 끝난 뒤에도 풍물을 쳤다한다.고산농악의 특징은 한 자연촌락의 노인들 중심으로 구성되어 고유의 전통적인 미를 잃지 않고 마을 단위의 향토색 짙은 농악형태를 유지하는 점이다. 연행과정에서 '닭쫓기'놀이는 이 마을에만 있는 독특한 놀이마당이다. 고산농악은 상쇠 장이만(남. 사망)에 의하여 쇠가락이 전승·보존되어 왔다. 그는 기본적으로 부락마치, 조름세, 굿거리, 살풀이가락 등의 가락을 칠 수 있었다고 한다. ▶자료 더보기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농악.사물놀이
-
대구 고산농악 - 대구무형문화재 제1호
-
-
원주 매지농악 -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8호
- 강원도무형문화재 제18호 (예능보유자 강성태) ▶ 원주매지농악보존회 홈페이지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농악.사물놀이
-
원주 매지농악 -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8호
-
-
모듬북 연주 '비상' - 뿌리패 타악그룹예술단
- 뿌리패예술단 - 한국의 전통타악을 기반으로 1988년 4월 사물놀이 팀으로 창단하였고 2000년 전통예술의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과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세계 속에 널리 알림을 목적으로 문화체육관광부의 사단법인 인가를 받았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타악
-
모듬북 연주 '비상' - 뿌리패 타악그룹예술단
-
-
서공철류 짧은 가야금산조 - 송명숙
- 송명숙 -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수자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산조
-
서공철류 짧은 가야금산조 - 송명숙
-
-
2017 경산보인농악 발표회 - 경북무형문화재 제41호
- ◇ 경상북도무형문화재 제41호인 보인농악은 경상북도 남부지방에 보이는 전형적인 모의농사굿 형식이면서도 다른 지역과 달리 글자놀이가 발달한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 이에 덩덕궁 가락의 섬세함과 삼채가락이 조화를 이루고, 특유의 별다드래기장단과 덧뵈기장단이 가락의 주를 이루어 화려하고 웅장한 소리를 만들어내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보인농악의 특징들은 앞으로 보존하고 전승해야 할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파악되며,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인정된다. ▶ 자료 더보기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농악.사물놀이
-
2017 경산보인농악 발표회 - 경북무형문화재 제41호
-
-
지영희류 해금산조 - 김정림
- ▶ 김정림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산조
-
지영희류 해금산조 - 김정림
-
-
한갑득류 거문고산조 - 한정순
- 2013년 이리향제줄풍류 제31회 정기발표회 국가무형문화재 제83-2호 이리향제줄풍류 이수자 ▶ 한정순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산조
-
한갑득류 거문고산조 - 한정순
-
-
경북무형문화재 제8호 금릉빗내농악 상설공연 - 금릉빗내농악보존회
- ▶ 금릉빗내농악보존회 홈페이지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농악.사물놀이
-
경북무형문화재 제8호 금릉빗내농악 상설공연 - 금릉빗내농악보존회
-
-
평택농악의 자랑 '무동놀이' - 맞동니, 삼무동, 앞뒤곤두
- ▶ 국가무형문화재 제11-2호 평택농악보존회 홈페이지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농악.사물놀이
-
평택농악의 자랑 '무동놀이' - 맞동니, 삼무동, 앞뒤곤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