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동영상Home >  국악동영상
실시간
실시간 국악동영상
-
-
[퓨전국악 동영상] 박타령 - 송가인 & 서진실 (2022 설특집 조선팝어게인 송가인)
- ▶ 송가인 프로필 ▶ 서진실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신국악
-
[퓨전국악 동영상] 박타령 - 송가인 & 서진실 (2022 설특집 조선팝어게인 송가인)
-
-
[가요동영상] 판소리신동 넘어 국민가수 꿈꾸는 김태연 신곡 ‘수고했어요 오늘도’
- 국악신동 김태연의 2022 신곡 ‘수고했어요 오늘도’는 각자 세상을 살아가며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대중들에게 건네는 김태연만의 힐링송으로 김태연의 뛰어난 음악적 기량과 곡 해석력, 당차고 밝은 에너지가 더해졌다.
-
- 국악동영상
- 기타
- 가요
-
[가요동영상] 판소리신동 넘어 국민가수 꿈꾸는 김태연 신곡 ‘수고했어요 오늘도’
-
-
[국악동영상] 판소리 적벽가 中 새타령 - 소리 안이호, 고수 고정훈
- ▶ 안이호 프로필 ▶ 고정훈 프로필 병사들의 억울한 죽음을 대변해주는 대목으로 적벽대전에서 패한 조조가 도망을 가다가 자신을 둘어싼 새소리에 죽은 군사들의 울음이 떠올라 뉘우치며 탄식하는 내용이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성악)
-
[국악동영상] 판소리 적벽가 中 새타령 - 소리 안이호, 고수 고정훈
-
-
[국악동영상] 궁중무용 '춘앵전' - 김영숙
- ▶ 김영숙 프로필 궁중무용 (정재) 춘앵전 조선조 순조(純祖) 때 효명세자(孝明世子)가 모친 순원숙황후(純元肅皇后)의 보령(寶齡) 40탄신(誕辰)을 축하하기 위해 지은 창사를 노래하며 춤추는 독무이다. 이른 봄날 아침에 버드나무 가지에서 노래하는 꾀꼬리의 자태를 무용화한 것이다. 같은 시대에 창제된 무산향의 활달한 춤사위가 양강(陽剛)의미를 표현하는 춤이라면 춘앵전(春鶯囀)은 음유(陰柔)의 아름다움을 지닌 춤으로 서로 대조를 이룬다.
-
- 국악동영상
- 정악
- 궁중무용
-
[국악동영상] 궁중무용 '춘앵전' - 김영숙
-
-
[국악동영상] 창작 한국무용 '춘흥지무' - 안무/춤 박수정
- ▶ 박수정 프로필 춘흥지무 정몽주의 한시 '춘흥'을 상상하며 만든 작품으로 봄을 맞이하는 즐거움을 최진 작곡의 <철가야금과 첼로를 위한 '나위'> 에 맞추어 표현한 춤이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국악동영상] 창작 한국무용 '춘흥지무' - 안무/춤 박수정
-
-
[국악동영상] 심청가 中 심봉사 눈 뜨는 대목 - 송가인 & 남상일 (2022 설특집 조선팝 어게인 송가인)
- ▶ 송가인 프로필 ▶ 남상일 프로필 대한민국을 휩쓴 트로트 여신 송가인이 준비한 특별 국악콘서트. 옴니버스로 다채롭게 구성한 판소리 수궁가, 춘향가, 심청가의 눈대목들부터 전통을 소재로 한 창작곡들까지... 우리 음악에 대한 송가인의 깊은 애정이 담긴 명절 선물세트 같은 풍성한 무대로 2022년 2월 1일 KBS2TV에서 방영했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성악)
- 판소리.병창.창극
-
[국악동영상] 심청가 中 심봉사 눈 뜨는 대목 - 송가인 & 남상일 (2022 설특집 조선팝 어게인 송가인)
-
-
[국악동영상] 이건용 작곡 25현가야금을 위한 변주곡 '한오백년' - 추현탁
- ▶ 추현탁 프로필 한오백년은 강원도 민요 한오백년의 가락이 제시된 후 13번의 Variation으로 이루어졌는데 대체로 한번에 하나의 음형 또는 주법을 동원한다. 뒤에 갈수록 자유로워지며 마지막에는 카덴자처럼 허튼 가락의 기교적인 부분으로 마무리되는 곡이다.
-
- 국악동영상
- 신국악
- 창작국악
-
[국악동영상] 이건용 작곡 25현가야금을 위한 변주곡 '한오백년' - 추현탁
-
-
[국악동영상] 서도소리 '배뱅이굿' - 김시화
- ▶ 김시화 프로필 배뱅이굿 - 무남독녀 최정승의 딸인 배뱅이의 이야기를 다룬 내용으로 한 사람의 소리꾼이 장구 반주에 맞추어 소리, 아니리, 발림 등을 섞어 1인 창극 식으로 연행하는 종합예술 성격의 서도소리이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성악)
- 성악 기타
-
[국악동영상] 서도소리 '배뱅이굿' - 김시화
-
-
[국악동영상] 대금연주 '백다솜' - 보이지 않는 (Invisible)
- ▶ 백다솜 프로필 서울돈화문국악당에서 라이브로 펼쳐진 ‘보이지 않는’ 은 현대적이고 실험적인 음악의 창작자이자 연주자인 백다솜의 대금과 정주의 매력을 물씬 느낄 수 있다. 정주는 국악기 중 타악기로 진도씻김굿 등 남도지방 무악에서 쓰이는 금속타악기다. 여음이 길고 맑고 높은 소리가 나며, 근래에 와서는 창작 작품에 자주 활용되고 있다.
-
- 국악동영상
- 신국악
- 창작국악
-
[국악동영상] 대금연주 '백다솜' - 보이지 않는 (Invisible)
-
-
[한국무용 동영상] 장구춤 - 오솔비
- ▶ 오솔비 프로필 장구를 어깨에 비스듬히 둘러메고 다양한 장단에 맞춰 추는 춤으로 오늘은 장구의 자유로운 놀림과 단아하면서도 신명 넘치는 춤사위가 돋보이는 무대를 선보인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한국무용 동영상] 장구춤 - 오솔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