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3-27(월)

공연소식
Home >  공연소식

실시간

실시간 공연소식

  • 12월 23일 부산 북구문화예술회관 - 풍류인과 함께하는 평화통일 송년 국악콘서트 '통일비나리, 하나의 달'
    1. 공연명 : 풍류인과 함께하는 평화통일 송년 국악콘서트 '통일비나리, 하나의 달'2. 장소 : 부산북구문화예술회관 (구, 북구빙상센터) ▶ 지도보기3. 날짜 : 2022년 12월 23일 (금요일)4. 시간 : 오후 7시 30분 5. 티켓료 : 전석 30,000원 (예매가 20,000원)6. 문의 : 010-2464-3312 (극단해풍)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 공연소식
    • 부산,경남
    2022-12-16
  • [무료초대] 12월 18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국악동화 ‘토끼, 용궁 구출 대작전’ (예술창작집단 소리하나 : 남지원, 윤준호, 정해성 등 출연)
    1. 공연명 : 국악동화 ‘토끼, 용궁 구출 대작전’2. 장소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어린이문화원 어린이극장 ▶ 지도보기 3. 날짜 : 2022년 12월 18일 (일요일) 4. 시간 : 오후 3시 5. 티켓료 : 전석 무료초대 (선착순 현장발권)6. 문의 : 010-8635-0597◆ 출연진 : 소리·연기 : 남지원, 타악 : 윤준호, 가야금 : 정해성, 신디 : 최희선, 무용 : 한명선, 배정화, 이반야, 김원선, 김보라 Collaboration : 국악실내악단 초화 / 나빌레라 예술단 예술창작집단 소리하나(대표 남지원)이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어린이문화원 어린이극장에서 정기공연 국악동화 ‘토끼, 용궁 구출 대작전’ 공연을 무대에 올린다.국악동화 ‘토끼, 용궁 구출 대작전’은 무분별하게 버려지는 쓰레기로 인해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아이들의 시각에 맞춰 표현한 국악 아동극이다. 어느날 환경지킴이로 숲속을 청소하며 살던 토끼에게 별주부가 찾아오게 된다. 별주부는 쓰레기로 인해 남해 바다가 오염되어 용왕이 병에 걸리게 되었다며 토끼에게 바다를 청소하는 걸 도와달라고 말한다.최근 무분별하게 버려지는 쓰레기로 인해 산이며 바다 등 자연 환경이 오염되고 있다. 나부터 쓰레기를 줄이고 재활용하는 것에 동참하면 누구나 깨끗한 공기로 숨을 쉬고 물을 마시며 살 수 있다는 걸 아이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기획된 공연으로 친근하면서도 깜찍한 토끼를 주인공으로 등장시킨다.예술창작집단 소리하나 대표 남지원은 “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과 지구 온난화로 갈수록 자연이 병들어 가는 게 마음이 아팠다. 나부터 실천하여 쓰레기를 줄이고 아이들에게 깨끗한 자연을 전해주고 싶은 마음에 이번 작품으로나마 의미를 담아보았다.”고 말했다. 예술창작집단 소리하나는 다양한 국악 콘텐츠를 확립하고 창의적인 국악공연 레퍼토리로 다양한 작품을 선보이고자 창단한 단체이다. 이번 국악동화 ‘토끼, 용궁 구출 대작전’ 이전에도 국악 아동극 ‘띵동, 누구일까요?’를 무대에 선보이는 등 아이들이 국악에 흥미를 느끼고 접할 수 있도록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 공연소식
    • 광주,전라
    2022-12-16
  • 12월 21일~23일 민속극장 풍류 - The story 인간문화재 '신영희'
    1. 공연명 : 「The story 인간문화재 신영희」2. 일시 : 2022. 12. 21.(수)~23.(금)3. 시간 : 19:304. 장소 : 서울 민속극장풍류 ▶ 지도보기5. 가격 : 전석 10,000원6. 신청 : 네이버 예약(검색 : The story 인간문화재 신영희)https://booking.naver.com/booking/12/bizes/598814/items/47622567. 주최 : 한국문화재재단8. 예약문의 : 02-3011-17289. 공연소개○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보유자 신영희의 소리 인생 이야기를 스토리가 있는 드라마 내용으로 구성한 공연○ 소리꾼으로 살아온 70년 세월의 고된 여정과 삶을 봄․여름․가을․겨울 사계절에 이미지화하여 표현 <프로그램>○ 봄(어린 신영희) : 어린 신영희에 대한 아버지의 사랑 이야기- 판소리 곡 : 흥보가- 출연 : 변서영, 신영희○ 여름(젊은 신영희) :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의 집안의 가장 역할과 결혼 후 남편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는 판소리에 대한 열정 이야기- 판소리 곡 : 심청가- 출연 : 신시온, 신영희○ 가을(중년 신영희) : 성공한 후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 판소리 곡 : 심청가- 출연 : 김백송, 변서영○ 겨울 그리고봄(현재 신영희) : 세월이 무상하지만 변하지 않는 판소리에 대한 열정- 판소리 곡 : 흥타령, 춘향가- 출연 : 변서영, 신시온, 김백송, 신영희<출연진>○ 신영희(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보유자)○ 김백송(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이수자)○ 김장호(전 국립극단 단원, 연극 이층의 비밀)○ 신시온(뮤지컬 넌센스, 로미오와 줄리엣, 연극 보잉보잉)○ 변서영(제18회 사천 수궁가 전국 판소리 고법 경연대회 초등부 대상)
    • 공연소식
    • 서울
    2022-12-15
  • [무료초대] 12월 22일 대가야문화누리 우륵홀 - 고령군립가야금연주단 제7회 정기공연 (소리꾼 유태평양, 가수 정미애 등 출연)
    1. 공연명 : 고령군립가야금연주단 제7회 정기공연 2. 장소 : 경북 고령군 대가야문화누리 우륵홀 ▶ 지도보기3. 날짜 : 2022년 12월 22일 (목요일)4. 시간 : 오후 7시 5. 티켓료 : 전석 무료초대6. 문의 : 054-950-63137. 공연정보 더보기 ▶ 고령군 문화누리◆ 출연진 : 음악감독 강미선, ▶ 유태평양 프로필 , 장유경, 정미애
    • 공연소식
    • 대구,경북
    2022-12-15
  • [무료초대] 12월 17일 나빌레라 예술단(대표 한명선), 국립광주박물관에서 제9회 정기공연 ‘춘하추동’
    1. 공연명 : 나빌레라예술단 제9회 정기공연 ‘춘하추동(春夏秋冬)’2. 장소 : 국립광주박물관 대강당 ▶ 지도보기3. 날짜 : 2022년 12월 17일 (토요일)4. 시간 : 오후 4시 5. 티켓료 : 전석 무료초대6. 문의 : 010-3629-2560◆ 출연진 : 연출 ▶ 한명선 프로필 , 김보라, 김원선, 이은비 ‘춘하추동(春夏秋冬)’은 광주 지역을 대표하는 다양한 관광지를 한국의 사계절에 빗대어 스토리텔링한 무용작품으로 ‘무용+관광’이라는 콘셉트로 펼쳐진다. 광주에서 태어나 희로애락(喜怒哀樂)을 겪으며 살아온 음유시인이 이야기의 중심이 되어 전개해 나가는 방식으로 광주의 관광지를 돌아다니며 자신이 보고 듣고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를 관객들에게 전달해 준다.
    • 공연소식
    • 광주,전라
    2022-12-14
  • [무료초대] 12월 16일 서울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 - 세시절 동지행사 '동지팥티'
    붕어빵 나눔과 부적 만들기 체험, 신년운세까지! < 미리 맞는 동지, 파티처럼 즐겨요! 한국문화재재단 <동지팥티>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최영창)은 오는 12월 16일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서울시 강남구 소재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에서 전통 세시풍속을 알리는 행사 <동지팥티>를 개최한다. 22일 동지를 미리 기념하여 액운을 막는 무형문화재 공연과 동지팥죽 나눔, 동지 부적 만들기, 2023 신년운세 보기 등 다양한 행사가 펼쳐진다. 우리 선조들은 동지에 팥죽을 쑤어먹고 ‘뱀사(蛇)’자를 거꾸로 쓴 부적을 붙여 잡귀를 막았다. <동지팥티>는 이러한 동지를 연말 ‘파티’처럼 즐길 수 있도록 하여 젊은 세대와 국가무형문화재의 소통을 이끌어내기 위해 기획된 행사이다. 전통적인 풍습을 재현하고자 액운을 쫓아주는 팥죽과 함께 팥 붕어빵을 나누며, 각자장 전승자가 강사로 나선 각자 인출본 동지 부적 만들기 체험 등이 준비되어 있다. 또한 예약자에 한해 서울새남굿보존회와 함께 2023년 신년운세를 점쳐볼 수 있다.이번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의 8개 예능 보존회가 총출동하는 액막이 공연이다. 오후 3시부터 1시간 30분간 남사당, 북청사자, 봉산탈춤, 강령탈춤, 학춤 등 전통 예술 무대가 이어지고, 공연이 끝난 후 관람객에게 ‘한국의집’에서 끓인 팥죽을 무료로 나눠줄 예정이다.행사의 참가비는 모두 무료이며, 2023 신년운세 체험을 제외하고 사전 예약 없이 현장에서 즉석 참여가 가능하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문화재재단 누리집 (http://www.chf.or.kr), 문의 전화 (02-3011-2166)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공연소식
    • 서울
    2022-12-14
  • 12월 23일 서울 문화공간 아이원 - 김수인의 동초제 판소리 눈대목展
    1. 공연명 : 김수인의 동초제 판소리 눈대목展2. 장소 : 서울 금천구 문화공간아이원 ▶ 지도보기3. 날짜 : 2022년 12월 23일 (금요일)4. 시간 : 오후 7시 30분 5. 티켓료 : 전석 10,000원6. 문의 : 02-3286-0077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김수인 프로필
    • 공연소식
    • 서울
    2022-12-13
  • 12월 22일 서울돈화문국악당 - 김우정의 강산제 '수궁가 SUGUNG-GA' (고수 김태영)
    1. 공연명 : 김우정의 강산제 수궁가 SUGUNG-GA2. 장소 : 서울돈화문국악당 ▶ 지도보기3. 날짜 : 2022년 12월 22일 (목요일)4. 시간 : 오후 7시 5. 티켓료 : 전석 20,000원6. 문의 : 010-2530-9872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김우정 프로필 , ▶ 김태영 프로필
    • 공연소식
    • 서울
    2022-12-12
  • 12월 15일~17일 서울남산국악당 - 2022 판소리뮤지컬 욕망풍자극 '코인전' (한진수, 이재현, 이용전, 이지나 등 출연)
    1. 공연명 : 2022 판소리뮤지컬 욕망풍자극 '코인전'2. 장소 : 서울남산국악당 크라운해태홀 ▶ 지도보기3. 날짜 : 12월 15일 (목) ~17일 (토)4. 시간 : 목 19:30 / 금 11:00, 19:30 / 토 15:00,18:00 5. 티켓료 : 전석 20,000원6. 문의 : 02-2261-0500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한진수,이재현,이용전,이지나, 최미나,김정균,길혜빈,이상훈,윤희연,홍서연,최우석,박혜정
    • 공연소식
    • 서울
    2022-12-12
  • 대한제국 마지막 궁중잔치 ‘임인진연’, 120년 만에 국립국악원 송년공연으로 선보여 (12월 16일~21일)
    국립국악원, 1902년 덕수궁에서 펼쳐진 대한제국의 마지막 잔치 ‘임인진연’ 120년 만에 공연 무대로 최초 재현해, 오는 12월 16일부터 선보여 □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실잔치가 120년 만에 최초로 공연 무대에 오른다.□ 국립국악원(원장 김영운)은 오는 12월 16일(금)부터 21일(수)까지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송년공연 ‘임인진연’(연출 박동우, 출연 국립국악원 정악단‧무용단)을 선보인다.□ 국립국악원은 올해 임인년을 맞이해 자주 국가를 염원했던 1902년 대한제국의 ‘임인진연’을 중심으로 찬란한 궁중예술의 가치와 의미를 소개하기 위해 이번 공연을 마련했다.□ 당시 국가를 상징하는 황실의 진연(進宴, 궁중에서 베푸는 잔치)이 기록된 ‘의궤’와 ‘도병(圖屏, 그림 병풍)’ 등 당대의 기록 유산에 근거해 국립국악원은 궁중예술을 전통 방식으로 무대에 되살린다.1902년 음력 11월 8일의 궁중잔치 ‘임인진연’대한제국과 조선왕조 500년의 시간이 응축된 궁중예술의 결정판□ 1902년 음력 11월 8일에 거행된 ‘임인진연’은 고종의 즉위 40주년과 나이 60을 바라보는 망륙(望六)인 51세를 기념하기 위한 잔치로, 황태자가 다섯 차례에 걸쳐 간청한 끝에 성사된 행사였으며, 500년 조선왕조와 대한제국 시기를 포함한 마지막 궁중잔치로 기록돼 있다.□ ‘임인진연’은 급변하는 개화기에 국제적으로는 황실의 위엄을 세우고 내부적으로는 군신의 엄격한 위계질서를 보이는 국가적 의례를 선보임으로써 자주 국가 ‘대한제국’을 대외적으로 과시하기 위한 수단이기도 했다.□ 당시의 진연은 크게 남성 신하들과 함께 공식적인 행사를 올린 ‘외진연’과 황태자와 황태자비, 군부인, 좌․우명부, 종친 등과 함께한 ‘내진연’으로 나뉘어 행해졌는데, 이번 공연에서는 예술적인 측면이 강한 ‘내진연’을 120년 만에 무대 공연으로 되살린다. 1902년의 내진연을 재현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의궤와 도병에 기록된 전통 방식 그대로 120년 만에 되살리는 ‘임인진연’흔들림 없이 지켜온 궁중 예술의 정수 전하는 국립국악원□ 국립국악원은 이번 공연을 위해 당시 진연의 상세 내역이 기록된 ‘진연의궤’와 ‘임인진연도병’ 등 기록 유산을 바탕으로 되살린다. 연출과 무대 디자인은 홍익대학교 박동우 교수가 참여해 내진연이 거행되었던 덕수궁 관명전을 도병에 남겨진 모습으로 무대 위에 재현한다.□ 특히 주렴(朱簾, 붉은 대나무발)과 사방으로 둘러쳐진 황색 휘장막 등을 활용해 황제의 공간과 무용, 음악의 공간을 구분해 실제 진연의 사실감과 생생함을 높일 예정이다.□ 전통 방식으로 꾸며진 공간에서 선보이는 국립국악원 정악단과 무용단의 공연 구성은 황제에게 일곱 차례 술잔을 올린 예법에 맞춰 선보인다. 궁중무용으로는 봉래의, 헌선도, 몽금척, 향령무, 선유락이, 궁중음악으로는 보허자, 낙양춘, 해령, 본령, 수제천, 헌천수 등 황제의 장수와 나라의 태평성대를 기원한 화려하고도 품격 있는 궁중예술의 정수로 무대를 꾸민다.황제의 시선에서 진연을 마주하는 특별한 순간궁중예술을 바탕으로 한 소중한 문화유산을 통해 국민과 화합 기원해□ 특별히 이번 무대는 극장에서 공연으로 선보이는 만큼 객석을 황제의 어좌로 설정해 관객이 황제의 시선에서 진연을 마주할 수 있도록 시야를 설정했다. 극장이기 때문에 가능한, 궁에서는 볼 수 없는 시선이다. 또한 음악과 무용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나치게 복잡하고 긴 의례와 음식을 올리는 절차 등은 과감히 생략해 진연을 공연 예술로 접할 수 있도록 꾸몄다.□ 박동우 연출은 “대한제국이라는 시대적 정서와 궁중예술의 아름다움을 전통 방식으로 무대에 재현하고자 했다.”고 밝히며 “황제의 시선으로 구성한 이번 공연을 통해 많은 관객들이 궁중예술의 멋을 깊이 있게 감상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김영운 국립국악원장은 “120년 전 자주 국가를 염원했던 대한제국의 찬란한 궁중문화를 통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소중한 문화유산의 가치와 문화를 통한 화합의 정신이 널리 전해지길 바란다.”고 언급했다.□ 국립국악원 송년공연 ‘임인진연’은 8세 이상 관람 가능하며,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12월 16일(금)부터 21일(수)까지 주중에는 오후 7시 30분, 주말에는 오후 3시에 진행한다.공연 예매는 국립국악원 홈페이지(http://www.gugak.go.kr)와 전화(02-580-3300)로 가능하다. R석 5만원, S석 3만원, A석 2만원, B석 1만원 (문의 02-580-3300, 12월 19일(월)은 휴관)
    • 공연소식
    • 서울
    2022-12-09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