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8(목)

국악정보
Home >  국악정보  >  자료실

실시간

실시간 자료실

  • [PDF] 일제강점기 신민요의 문학정서 연구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다운로드 받으세요.. 이 논문은 노랫말을 통해 표출되는 일제강점기(1910~1945) 新民謠의 문학적 정서 연구를 목적으로 快 情緖와 不快 情緖 두 패턴으로 나누어서 신민요의 정서의 양상이 노랫말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노랫말의 정서를 중심으로 신민요의 문학정서 연구를 진행했다. 신민요는 1930년대를 전후해서 이면상, 형석기와 같은 직업 작곡가, 작사가들에 의해 한국의 전통음악과 서양음악이 접목되어 창조된 한 가요양식이다. 노랫말이 전통 민요에 비해 더욱 시적이며, 많은 노래들이 가사와 음악이 정서적으로 같은 시기 대중가요와 달리 밝고 명랑한 것이 특징적이다. 그러나 출발이 일제 학정의 일제강점기이니 만큼 신민요는 불쾌 정서를 말끔히 극복하지 못해 실패감, 아쉬움, 회한, 원망, 비통, 고뇌, 그리움, 슬픔, 체념 등을 통해 표출되는 不快 情緖와 긍정, 애착, 즐거움, 희망, 예찬, 흥겨움, 여유로움 등을 통해 표출되는 快 情緖가 혼재해 있는 양상이다. 신민요는 당시 한민족의 망국의 설움과 민족적 저항의 정서를 암유한 채 한국 전통음악에 뿌리를 내리고 선조들의 맥박과 숨결을 이어나가는 역사적인 사명과 역할을 충분히 이행했다. 신광호(申光浩) - 중국 연변대학교 예술학원 교수
    • 국악정보
    • 자료실
    2016-10-04
  • [PDF] 민요의 변화에 따른 전승 방향의 재고 - 국립국악원
    ▲ 다운로드 받으세요.. 민요는 노동이나 의식과 같은 기능의 소멸, 그리고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와 같은 매체의 등장으로 점차 사라지고 있다. 민요를 보존, 전승하기 위해 문화재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지만 오히려 공연예술화되고 고착화되는 단점이 발견되고 있다. 또 교통수단의 발달로 인한 지역적 특성의 붕괴와 혼용 양상, 식습관 변화로 인한 한국인의 체형변화와 마이크사용으로 인한 발성 및 음색의 변화, 기능에 대한 몰이해와 공연용 각색으로 인한 변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변화들이감지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민요의 전승 환경 변화에 따른 음악적 변화들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간단히 정리하고이들 변화에 어떤 자세로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인지 전승 방향을 재고해 보았다. 향토민요는 기록화를 통해 보존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그 지향이 민요라는 악곡에만 머물러서는 안되며 문화적배경과 전통 지식, 살아있는 문화로서 민요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입체적인 기록화가 시도되어야 한다. 반면 문화재 지정 민요는 정부의 지원금과 반복되는 공연으로 공연예술화되었으나 이를 부정적으로만 보지 말고 오히려 그러한상황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문화재 전승자를 자원으로 삼아 더 적극적으로 민요 전승을 활성화해 나가야 한다. 특히 교육적인 측면에서 교육자료로서의 활용, 교육 주체로서의 역할, 체험학습의 제공과 같은 부분들을 담당해줄 인적 자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무형문화재 지정 민요가 본래의 민요적 특성을 유지․보전하고 전승하기 어렵다는 점은 또 다른 과제를 남기고있다. 즉 전문가의 음악이 되어버린 문화재 민요 대신 또 다른 기층 음악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기층음악으로서의 민요는 또 다시 즉흥성과 유동성이 중요한 가치가 되어야 한다. 아울러 학문적으로는 민요의 변화에 대응하는새로운 학문적 접근과 정리가 필요하다. 김혜정 - 경인교대
    • 국악정보
    • 자료실
    2016-10-04
  • [PDF] 현행 중학교 음악교과서 소재(所載) 고찰 - 문주석
    ▲ 다운로드 받으세요.. 문주석 - 국립국악원 학예연구사 은 2012년 12월 6일 프랑스 세계유네스코 제7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등재된 이유에는 에 내포된 다양성이 중요사항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는 에 수반되는 다양성이 학교현장에서 어떻게 교육 내용으로 반영되어 있는가에 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학교에서 실시되는 음악교육 내용을 고찰하기 위하여 중학교 음악교과서 18종에 수록된 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의 다양성을 표출할 수 있는 교육내용이 음악교과서에 반영되어 있는가를 파악하는 부분이 본 연구의 주된 관점이며,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내용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의 다양성을 효율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국악정보
    • 자료실
    2016-05-29
  • [동영상] 우리는 왜 아리랑을 부르는가? - UNI TV
    2014년 10월 1일 ′아리랑의 날′ 특집
    • 국악정보
    • 자료실
    2016-05-24
  • [동영상] 한민족의 혼과 뿌리 '아리랑'
    국민방송 KTV
    • 국악정보
    • 자료실
    2016-05-24
  • [PDF] 무구, 무악기, 무복 (巫具․巫樂器․巫服) - 이종철
    ▲ 다운로드 받으세요.. 이종철 - 민속학자 珍島地方의 巫儀式에 쓰이는 巫具․巫樂器․巫服에 관해서 다음과 같은 제보자들과의 면담자료와 이들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들을 바탕으로 하여 서술한다. 각 물건의 細目 서술에 文化財管理局의 기존 보고서(1987)를 참조하였다. ․ 채자녜 (女 77세, 단골) : 진도군 의신면 돈지리 거주․ 채둔굴 (女 71세, 단골) : 진도군 지산면 거제리 거주․ 함인천 (男 61세, 鼓人) : 채정례(女 62세, 단골) 부부 : 진도군 의신면 원두리 거주․ 채계만 (男 72세, 鼓人) : 진도읍 성내리 거주․ 김귀봉 (男 52세, 鼓人) : 진도군 임회면 송정리 거주
    • 국악정보
    • 자료실
    2016-05-22
  • [PDF] ‘가야금’의 한자표기에 대하여 - 김성혜
    ▲ 다운로드 받으세요.. 김성혜 - 신라문화유산연구원 학술연구팀장 ‘가야금’이란 명칭은 가야금 관계자들의 활동영역이 넓어지면서 더 많이 사용되는 악기명(樂器名) 가운데 하나이다. 예를 들면, 가야금산조·가야금병창·가야금명인·개량가야금·17현가야금·21현가야금·22현가야금·가야금악보·가야금 선생·가야금 전공자·가야금 연주회·가야금 단체 등 ‘가야금’이란 용어의 사용예는 매우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가야금을 이용한 음악문화의 확산으로 더욱 복잡한 형태를 띠고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 국악정보
    • 자료실
    2016-05-22
  • [PDF] 전국의 아리랑 악보집
    ▲ 다운로드 받으세요.. 전국의 아리랑 01 아리랑02 구아리랑03 밀양아리랑04 진도아리랑05 해주아리랑06 강원도아리랑07 정선아리랑08 엮음아리랑09 신아리랑
    • 국악정보
    • 자료실
    2016-05-01
  • [PDF] 문경아리랑 악보집
    ▲ 다운로드 받으세요.. 1896년 2월 미국 감리교 선교사로 한국에 파견된 호머 헐버트에 의해 아리랑 악보가 최초로 채보되면서 변하지 않을 우리 민족의 노래가 소개되었습니다. 문경새재와 박달나무 그리고 홍두깨 방망이가 바로 여기에 채록되어 세계에 알려진 것입니다. 이후 모진 역사 속에서 우리의 아리랑은 재탄생되기도 했고, 변화되기도 했습니다. 나운규의 영화아리랑, 정선아리랑, 진도와 밀양아리랑은 그간 국민을 한데 모으는 데 큰 역할을 했으며 앞으로도 반드시 민족을 결집하는 구심점 역할을 하리라고 봅니다. ● 2014년 10월 1일 문경시장 고윤환 Part 1. 문경의 아리랑01 헐버트아리랑 문경새재아리랑 (원본)02-1 문경새재아리랑 송영철 옹 창 (1985 문경 하초리 녹음) ver.102-2 문경새재아리랑 송영철 옹 창 (1985 문경 하초리 녹음) ver.2 문경새재 아리랑 (편곡본)03-1a 문경새재아리랑 송옥자 창 (2013 음반) ver.103-1b 문경새재아리랑 송옥자 창 (2013 음반) ver.203-2a 문경새재아리랑 안숙선 창 (2013 열린음악회 중) ver.103-2b 문경새재아리랑 안숙선 창 (2013 열린음악회 중) ver.203-3 문경새재아리랑 (2013 터키 이스탄불 공연) 김성진 편곡03-4 문경새재아리랑 세마치 이정호 편곡03-5 의병아리랑 송옥자 창 (2013 음반)03-6 찻사발아리랑 송옥자 창 (2013 음반)03-7 문경새재아리랑 Orchestra version 이현정 편곡03-8 문경새재아리랑 Rock version 이태선 편곡03-9 문경새재아리랑 (주흘난타 연주) 권준태, 한산 편곡03-10 문경새재아리랑 (2014 경북도민체전) 강학선 편곡 문경새재 아리랑 (창작) 04-01 새문경아리랑 이상만 작곡 04-02 돌담골아리랑 김보희 작곡
    • 국악정보
    • 자료실
    2016-05-01
  • [PDF] 전북민요에서 나타나는 경기, 동부민요적 음악현상 - 임미선
    ▲ 다운로드 받으세요. 임미선 - 전북대학교 교수, 한국음악학 전공 전북민요는 남도계면조의 권역에 속하지만, 인접지역의 음악적 상호작용에 의한 전이 양상을 보여주는 예가 많다. 이러한 전북민요의 특징적인 현상에 대한 논의가 이보형의 연구에서 부분적으로 다루어졌다. 이후 김익두는 ‘노동요’를 중심으로 전북민요의 권역을 5개로 설정하고 그 특성을 살핀 바 있다. 그는 전북민요의 권역을 동북부 산간권, 동남부산간분지원, 서북부평야권, 서남부 평야권, 서해 도서권 등 5개로 나누었다. 동북부 산간권은 메나리토리의 영향이 강한 지역이고, 동남부 산간분지권과 서남부 평야권은 육자배기토리가 강한 지역이며, 서북부 평야권은 메나리토리와 육자배기토리의 혼효현상이 나타나는 지역으로 보았다.
    • 국악정보
    • 자료실
    2016-05-01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