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8(목)

국악정보
Home >  국악정보  >  자료실

실시간

실시간 자료실

  • 강원도 아우라지에서 정선아리랑 소개 방송 [MBC] - 리포터 이호연 명창
    이호연 명창이 1997년3월27일 MBC'고향은 지금' 프로그램에서 강원도 정선의 정선아리랑을 소개하는 리포터로 출연한다.
    • 국악정보
    • 자료실
    2012-09-19
  • [PDF파일] 국악은 문화산업의 영역에 입성할 수 있는가?
    ↑ 다운로드 받으세요 김 훈 국악하면 떠오르는 것은 기본적으로 지루하다는 생각이 가득하다. 그것은 아마 국 악이 대중적이 못하다는 선입관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제 우리의 국악은 서양 음악에 비해 모든 접근 기회에 있어서 거리감이 큰 편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국악이 한류라는 미명에 의해 자의반 타의반 가능성을 견주어 보는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물론, 현재는 국악 스스로가 주가 되어 활약을 보여주고 있지는 못하다. 모든 것들이 그러하듯 대중적인 내용에 특이한 소재로써 그 첫 시작을 하면서 발전과정을 가지듯이 국악 역시 이러한 발전과정에 발을 들여 놓으려 하는 것 같다. 최근 한국의 국악은 Cross Over, Fusion 이라는 이름으로 다른 색의 옷을 입고 가 끔씩 대중들의 앞에 나타나고 있다. 여기서 잠시 국악이 변화하면서 보여주고 있는 일렬의 성과라 할 수 있는 내용들을 잠시 보고자 한다.
    • 국악정보
    • 자료실
    2012-09-12
  • [PDF] 일제강점기 이후 판소리 명창들의 활동과 공연형태의 변화 - 이보형
    ↑ 다운로드 받으세요 박록주 명창의 소리 특성 2010년 5월 20일 목요일 오후 2시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1동 **** 이보형 선생님 자택에서 이보형 선생님 구술채록 세 번째, 판소리 관련 선생님 말씀 계속되겠습니다. ............................................................................................................................................ 제16회 방일영 국악상 수상자인 국악 연구가 이보형(李輔亨) 선생이 2012년 6월, 민속음악 연구에 매진한 석학들에게 수여하는 일본 고이즈미 후미오 음악상을 수상했다
    • 국악정보
    • 자료실
    2012-09-10
  • 코멘트 입력
    오랫만에 최교수 글을 읽었네요. 우리 카페에도 글 좀 올려 주셨으면 좋으련만.....
    • 국악정보
    • 자료실
    2012-09-09
  • [PDF파일] 북한 '아리랑'의 현대적 변용 양상과 의미
    전영선교수 북한에서는 2000년을 전후하여 여러 아리랑이 창작되었다. 2002년 처음 공연된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아리랑은 2010년까지 공연되었다.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이외에도 가요 <통일아리랑>, <강성부흥아리랑>을 비롯하여 소설, 동시 군중공모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창작물이 발표 되었다. 북한에서 창작 <아리랑>을 통해 강조하는 것은 시대정신이다. 1994년 김일성 주석의 사망 이후 ‘김일성민족문학’, ‘태양민족문학’, ‘단군문학’ 등 민족의 상징적 코드를 정치와 결합하여 왔다. 2000년을 전후한 창작 아리랑은 민족제일주의의 연장선에서 새로운 코드로서 선택한 것이다. 대내외적 위기 상황에서 ‘아리랑’ 코드를 통해 북한 체제의 위기를 민족 문제로 전환하는 것이다. 동시에 아리랑의 종자를 ‘강성부흥’에 맞춤으로써 선군시대의 희망메시지를 각인시키고 있다. 이 과정에서 강조되는 것은 ‘아리랑민족’이다. 창작 아리랑은 북한이 민족적 정체성을 재구성하 고, 대중적 확산을 시도한 결과물이다.
    • 국악정보
    • 자료실
    2012-09-09
  • [PDF파일] 월드뮤직으로서의 국악 그 가능성의 모색 - 박애경교수
    ↑ 다운로드 받으세요 장사익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애경 박애경(朴愛景, Park, Ae-Kyung)은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조선 후기 시조의 통속화 과정과 양상 연구」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조선후기와 근대 초기의 시가를 문화적 맥락과 관련하여 해명하는 연구를 해오고 있다. 저서로 『가요, 어떻게 읽을 것인가』(책세상, 2000)가 있고, 공저로는 『조선 후기 문학의 양상』(이회, 2001), 『고전문학과 여성화자, 그 글쓰기의 전략』(월인, 2003), 『현대사회와 구비문학』(박이정, 2005) 외 다수가 있다.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 국악정보
    • 자료실
    2012-09-09
  • [PDF파일] 판소리 유파의 전승 구조
    ↑ 다운로드 받으세요 우리의 소리, 세계의 소리 판소리
    • 국악정보
    • 자료실
    2012-09-09
  • [PDF파일] 한국 전통음악의 분석 - 이혜구
    ↑ 다운로드 받으세요 한국 전통음악의 분석 국악학자 이혜구 (1909. 1. 10 ~ 2010. 1. 30)
    • 국악정보
    • 자료실
    2012-09-09
  • [동영상] 정선의 자연과 사람들의 생활을 그린 '정선아리랑 통하였느냐'
    대표적인 강원도 민요로 정선의 자연과 사람들의 생활을 그리고 있다. 특히 이 노래는 문학성 짙은 사설, 슬픔의 미학을 느끼게 하는 선율, 절제된 창법으로 이 지역뿐만 아니라 한국인의 심성을 대표하기도 한다.
    • 국악정보
    • 자료실
    2012-09-08
  • 우리나라의 지역별 민요
    민요는 주로 많이 불려지는 지역에따라서 경기 민요, 서도 민요, 동부 민요, 남도 민요, 제주 민요로 나누고 있다. 교통이 불편했던 옛날에는 큰 산맥 등을 기준으로 지역이나뉘었기 때문에 오늘날의 행정 구역과는 조금 다르다. 지역마다 자연환경이 다르고, 생활 풍습이 다르기 때문에 전래되는 민요의 형식이나 내용도차이가 있다. 박주만의 에루화둥둥 국악교육 이야기에서 자세히보기 --> http://blog.daum.net/jjoomani/179
    • 국악정보
    • 자료실
    2012-09-06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