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국악서적의 번역 현황과 문제 분석 - 곽은주, 박정원, 김세정

입력 : 2019.03.13 15:19
이메일 글자확대 글자축소 스크랩

▲ 다운로드 받으세요~



최근 정부와 다양한 민간단체들이 전통문화의 부흥과 대중화를 위해 힘쓰고 있으며, 전통문화 중에서도 국악의 경우는 문화의 장벽을 넘어 소통할 수 있다는 장르 특성으로 인해 대중화에 점차 다가서고 있다. 국악의 대중적인  파급효과는 공연 횟수와 관객의 증가뿐만 아니라 관객 중 외국인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확인해 볼 수 있다. 외국인들의 국악에 대한 관심은 국악을 넘어서 한국음악 전반에 대한 관심으로 확산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고락 arirang@sori.me
Copyright ⓒ 2012 국악포털 아리랑 All rights reserved.

국악정보 많이 본 게시글

  1. 1[국악경연대회] 2023 제19회 홍주전국국악경연대회 개최 안내 (접수 7월 3일 ~ 8월 11일)
  2. 2[국악경연대회] 2023 제3회 정광수전국판소리경연대회 개최 안내 (접수 8월 15일 ~ 9월 6일)
  3. 3[공연소식] 9월 13일 김희수아트센터 - 수림아트랩 신작지원 2023 '김재우의 블랙국악'
  4. 4[KBS국악한마당 방송안내] 9월 2일 오후 12시 10분 (김예지,박소정,김주연,권새인,박다연,박상비,박정인,최슬아,장인숙,성윤선 등 출연)
  5. 5[KBS국악한마당 방송안내] 8월 26일 오후 12시 10분 (윤호세,서진희,신정아,김지애,서한우,최민정 등 출연)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PDF] 국악서적의 번역 현황과 문제 분석 - 곽은주, 박정원, 김세정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